리플은 국제 송금을 위해 태어난 암호화폐로 빠른 전송속도와 저렴한 전송 수수료를 자랑합니다.
리플의 처리 속도
리플의 처리 속도는 약 4초로 1 컨펌이 필요합니다. 처음 거래소에서 승인 -> 처리 (약 4초) -> 거래소 입금 까지의 총 프로세스는 거래소 마다 다를 것 같기는 합니다만, 빠른 전송 속도를 자랑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전송속도가 빠른 이유는 리플넷의 합의 시스템 때문인데 이는 뒤에 설명하겠습니다. 결제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이는 부분입니다.
리플의 전송 수수료
리플의 공식 사이트에 의하면 수수료는 0.00001 XRP 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리플의 시스템은 트랜잭션이 많아지면 비용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스팸 공격을 막기 위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송 빈도에 따라 수수료는 유동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소마다 리플의 수수료는 달라집니다.
한국의 경우 빗썸 1 XRP, 코빗 0.2 XRP (최소 송금 21 XRP), 코인원 1 XRP 입니다. 전송 수수료가 1 리플인 경우는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렇게 되면 송금은 크게 장벽이 없으나 결제에 활용될 수 있는 메리트가 사라집니다. 코빗이 유일하게 원래 취지에 따라 수수료를 책정하는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해외의 경우 바이낸스 0.25 XRP, 비트렉스 1 XRP, CEX 0.02 XRP 입니다. 역시 해외도 수수료가 유동적입니다.
리플 발행
총 발행량 : 1000억개
유통량 : 38,739,142,811 XRP (약 380억개)
에스크로 : 550억개 (유동성에 대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2017년 4월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에스크로에 예치)
시가 총액 순위 : 3위 (18.1.12 / $79.69 B)
* 리플의 에스크로에 대하여.
월간 10억개씩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것은 에스크로로 돌아감 [1]
리플은 채굴자가 없는데 그 이유는 리플사에서 리플을 일괄 발행했기 때문입니다. 채굴자가 없다면 거래를 전송 처리를 하는 주체 또한 없어 지는데 이는 리플넷의 합의 시스템으로 처리 합니다.
리플의 '합의' 시스템 (Consensus)
리플의 거래는 리플의 합의 시스템에 의해 진행됩니다. 비트코인은 마이닝과 모든 유저들간에 전파되는 검증 (P2P)로 이루어져 있는데 리플은 마이닝이 없고 P2P 대신에 노드들의 합의 시스템으로 거래를 검증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독립적인 여러 대의 서버가 서로 동기화하며 거래를 검증하는 시스템이며 이를 리플 프로토콜이라고 부릅니다. 저는 일종의 분산 장부 데이터 베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때문에 빠른 처리속도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탈중앙화는 약해지지만 효율성은 증대됩니다.
출처 : https://vimeo.com/channels/630807/63784865
XRP
XRP는 리플에서 쓰이는 통화이며 리플이라고 발음합니다. 송금과 결제 외에도 통화간의 교환 기능 (ex : USD->XRP->EUR, XRP->BTC), 통화 간의 다리 기능, 게이트 웨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특히 은행권에서 국제 송금에 사용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이는 제도권에 어느 정도 발을 맞추어 가려고 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은행권이 참여하거나 시험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2]
누구에 의해 만들어 졌는가?
리플은 크리스 라슨과 제드 맥캘럽이 호주 출신의 라이언 퍼거(Ryan Fugger)의 리플 페이에 영감을 받아 만들었으며 오픈 코인이라는 이름이었다가 다시 리플로 변경하였습니다.
여기까지 리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리플은 전송비와 전송 속도, 그리고 많은 거래소에서의 취급에서 이점을 가지며 비트코인의 중앙화 문제를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리고 너무 탈중앙화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형 합의 시스템에 기초하여 사회에 발을 맞춰가려는 모습도 보입니다.
하지만 많은 개수와 저렴한 가격 때문에 가격의 추이가 굉장히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잘 살펴봐야 하는 코인이기도 합니다.
이 포스트는 암호화폐에 좀 더 잘 알아 보기 위해 작성한 포스트로 투자를 독려하는 글은 아닙니다. 투자를 하실 때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리플 홈페이지
https://ripple.com/
리플 차트
https://xrpcharts.ripple.com/#/
리플 트랜잭션 확인 (거래 번호로 검색)
https://xrpcharts.ripple.com/#/transactions/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편의 연재만 남았네요.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업보트, 팔로우, 리스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Upvote, follow, resteem will be appreciated~! 😃
Follow me @hkmoon🌍
쉽게 보는 코인 시리즈
- 스텔라 루멘에 대해 알아봅시다. (XLM) 전송과 결제에 편하다!
- 대시와 마스터 노드에 대해 알아보자! (DASH) 개인정보 보호로 달려라!
- 뉴이코노미 무브먼트에 대해 알아보자. P2P 기반의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NEM)
- 아이오타에 대해 알아보자. 아이오타는 사물 인터넷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 ☆ (IOTA)
- 라이트 코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라이트 코인은 가벼운 비트코인! (Litecoin)
- 에이다 코인과 PoS (Proof of Stake) 에 대해 알아보자. 에이다는 블록 체인, 암호화 플랫폼
- 비트 코인 캐시에 대해 알아볼까요? 비트 코인 캐시는 비트코인을 세게 (하드) 포크한 버전!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래에 링크된 글들도 다 읽어보겠습니다~~!
오홋 감사합니다 ^^
덕분에 리플에 대해 좀 더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중앙화반 탈중앙화 반 의 코인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좀 더 알게 되었네요
센터링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합의 시스템이나 통화 교환의 개념은 흥미롭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