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통화(암호 자산)의 현상에 대해서, 중앙은행이나 감독 당국의 모임인 금융안정 이사회(FSB)가 지난 달, 정리된 보고서를 공표했다.일본 은행의 웹 사이트에서도 액세스 가능하며, 관심 있는 쪽은 읽어 주셨으면 한다.
가상화폐는 현재 각국의 투기대상이며 지불결제 수단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앞서 언급한 FSB 보고서는 역사상 유명한 거품, 예를 들어 튤립 버블, 남해포말사건(사우스시 버블) 등과 비교했을 때 지난해 가상화폐의 가치변동은 역사상 어떤 가치변동도 있었다.
누구나 갖고 있으면 가격이 오를 수 있는 물건을 지불에 사용하고 싶지 않고, 가격이 내릴 수도 있는 물건을 받고 싶지는 않다.또, 통화는 원래 정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자신 자신의 가치 변동이 심한 것으로는, 그러한 기능을 완수하는 것은 어렵다.즉, 가상화폐가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지불 수단으로서 사용되기 어려운 것과 배후의 관계에 있다.
가상화폐가 지불에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다른 각도의 설명도 가능하다.가상화폐는 지불수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뢰"를 제로로부터 만들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상당한 코스트가 든다.비트코인의 경우에는 마이닝을 위한 막대한 전력소비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중앙은행은, 이미 확립된 신뢰를 기초로, 통화를 스스로의 채무로서 저렴한 한계 코스트로 발행할 수 있다.이 때문에, 가상 통화가 엔이나 달러, 유로라고 하는 소블린 통화를 이기는 것은, 하이퍼 인플레등에 의해 소블린 통화에의 신뢰가 없어진 나라도 아닌 한, 꽤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있지만, 발행되는 가상 통화의 종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이 중에는 발행이익 획득을 위해 발행되는 것도 계속 많지만 스테이블(안정적) 동전을 주창하는 문구가 늘고 있는 것도 최근의 특징이다.
통화의 효율성은, 경제사회의 본연의 자세와 불가분
"스테이블 코인"에는, 소블린 통화를 증표 자산으로 하는 USC(Utility Settlement Coin) 등 다양한 것이 있다.이것을 "신뢰를 만드는 코스트"라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USC는, 중앙은행등이 이미 가지는 신뢰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뢰 구축의 코스트를 인하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중앙은행이나 금융당국, 나아가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스테이블"이라고 하는 말이 단순한 선전 문구가 아니고, 제대로 된 스킴에 근거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살펴 갈 필요가 있다(적어도, "하락은 하지 않지만 가격 상승하기 어렵다"라고 하는 좋은 가상 통화는 등,
예를 들어, "소버린화폐를 증인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면, 그러한 소버린통화가 잘 보관되어 있는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점은 결국, 예금의 건전성을 보는 시점에도 가까워진다.
결국 기존 지불 수단과 달라지지 않을까?
정보처리와 신뢰구축의 효율성은 법제도나 세제, 문화, 역사 등 경제사회를 구성하는 인프라 전체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중앙은행은 근대 국민국가의 산물이지만 이 틀에서 앵커가 되는 중앙은행과 은행 등 복수의 민간주체가 협력하면서 공통의 소버린 통화표시 지불수단을 공급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왔다.이러한 구조가 정보처리나 신뢰구축이라는 점에서 나름대로 효율적이었기 때문에 각국은 모두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완전히 분권적인 가상화폐라는 발상은 그 자체는 흥미롭다.그러나 현실세계에서는 미중 무역문제나 브레이크짓 등 오히려 국경이나 국민국가의 틀 재강화를 지향하는 듯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이와 같이, 현상의, 국민 국가를 전제로 하는 골조가 기본적으로는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가상 통화만이 분권적인 구조를 채택하려고 해도, 정보처리나 신뢰 구축의 코스트가 튀어 오르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현재 붐은 가라앉지만 종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가상화폐이지만 이 가운데 발행이익에 맞춰 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상화폐는 지급수단에도 본격적인 투자대상이 되지 않은 채 끝날 가능성이 높다.
만일, 가까운 장래에 지불 수단으로서 어느 정도 사용되는 가상 통화가 나타난다고 하면, 그것은 당초 상정된 완전한 분권형이 아니고, 기존에 있는 신뢰를 이용함으로써 신뢰 구축의 비용 경감이나 가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야마오카히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