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복식부기의 미래상으로 분산형 장부라고 이전글에서 언급하였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에는 어떤것이 기록되는가? 블록체인의 본질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블록체인에 어떤 정보가 기록되는지 본 글에서는 알아보고자 한다. 블록체인의 가장 기본에 해당하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가정하여 아래 글을 서술한다.
블록체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본질은 특정 주소에 얼마의 암호화폐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기록이다. 주소는 블록체인상의 모든 노드가 인정하는 온라인상의 논리 공간으로서 암호화폐의 입출금이 가능하며, Public Key로 불리기도 한다 (정확히 같은 개념은 아니나, Public Key에서 쉽게 생성된다고 보면 된다.)
한편, 블록체인상 실제로 기록되는 것은 특정 시점에, 특정 주소에서 또 다른 주소로 얼마의 암호화폐가 전송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이다. 이를 Transaction이라고 하며, 일정 개수의 Transaction이 묶여진 것이 Block이다. 그렇다면 암호화폐는 무엇인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의해 그 존재 및 유일성이 증명가능한 논리약속으로, 사라지지도 않고 Double Spending도 불가능한 논리수량이다. 특정주소와 연관해서만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간단한 Table을 상상해 보자. 첫번째 열에는 주소가 기록되고, 두번째 열에는 암호화폐의 수량이 기록된다. 주소는 계속 새롭게 생성가능하므로, 행의 개수는 증가한다. 주소들 간에 암호화폐의 Transaction이 일어날때마다 Table에 기록된 주소별 암호화폐 수량은 업데이트 된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단지 이 Table을 유지하기 위해서, 모든 Transaction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더리움의 창시자인 비탈릭 뷰테린은 이 Table을 State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특정 주소에 있는 암호화폐를 송금하기 위해서는 Key가 필요하고 이를 Private Key라고 부른다. 블록체인이 실제로 위와 같은 Table을 DB에 저장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특정 주소에 있는 잔고를 쉽게 볼수 있게 해 주는 Software를 Wallet이라고 한다. Wallet은 잔고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Private Key를 input으로 받아서, 해당 주소에서 입출금 명령을 블록체인에 전송해 주는 역할도 한다.
결국 블록체인(특히, 비트코인)은 거래기록의 모음에 불과하다. 비트코인 이후의 블록체인들은 스마트 컨트랙트(별도로 다룰 예정)를 포함하고 있어 그 기능이 비트코인 보다는 넓지만, 결국에는 다양한 Transaction의 모음이라고 볼수 있다. Transaction의 모음을 쉽게 해석하고 활용하게 해 주는 Software를 dApp (Distributed Application)이라고 부르며 Wallet등이 있다. 블록체인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블록체인은 일반 사람들이 한번에 쉽게 이해하기는 어려운 컨셉이다.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나, 블록체인에 투자를 하고자 하는 투자자, 또는 단순히 거래소에서 암호화폐에 투자하고자 하는 사람들 모두 블록체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블록체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어떤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가늠하게 하는 안목을 기르게 해 준다. 독자들은 향후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살펴봄에 있어, 블록체인은 거래기록의 집합일 뿐인데, 해당 사업이 어떻게 주장하는 바를 이룰수 있을것인지 그 개연성을 집중해서 보기 바란다. 블록체인이 구현해 줄수 없는 것이라면, 해당 사업의 주체는 별도의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