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돌이는 댓글살리는게 목적이라ㅎㅎ 사실 그런 부분은 정말 힘들것 같아요. 기존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외엔 정말 빅데이터를 쓰지 않는이상 일정수준이상 정확하긴 힘들거에요. 예를들어 웃긴 새로운 짤막한 유머다. 이런건 사실 판별이 현시점에선 거의 불가능한거니까. 그래서 steem-ua 도 이미 보상이 많이 찍히고 댓글이 많은 글에 점수를 더 부여하는 것처럼. 솔직히 랭킹자체는 큰 차이는 없는 느낌ㅎㅎ 아마 서서히 글 등수가 랭킹에도 반영될수있을것은 같아도. 곰돌이 글도 두개나 리스팀해주시고 좋은 글도 계속 써주시는데 곰돌이 파워 남을 때 보팅한번 더 해드릴께요ㅎㅎ
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감사합니다. 항상 곰도리를 응원하겠습니다.
곰도리가 인기쟁이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인형도 만들고 이모티콘, 피규어 등등도...ㅎㅎㅎ
그런날이 오면 재밌겠네요ㅎㅎ
펫연구소 문득 살펴보다 이게 steemconnect로 계정을 만들면 fabien계정이 계정을 생성하는건가요? 처음엔 이게 대체 어찌된거지 신기해하다 아마 그런것으로 추측을.
펫연구소에는 계정 생성 기능은 없어요.ㅎㅎ "보팅받기" 버튼 누르면 그냥 보팅만 하고 있어요.
fabien은 계정 생성해주는 계정인가봐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펫연구소가 계정생성을 했다는건 아니고 sisilafamille 계정을 보면 fabien이 생성했길래 신기해서요. 어떻게 계정을 생성하면 steem이 아닌 fabien이 생성을 하게 되는것인지 궁금해서 여쭤봤어요. fabien이 busy 특히 steemconnect관련된 사람인데 찾아보면 steemconnect로도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더라고요. 혹시 그경우 생성자가 fabien이 되나 궁금해서 여쭤본거에요.
저는 오픈소스에 있던 계정을 가져왔는데 그 계정이 fabien이 생성한 계정인가 봅니다.
그런데 블록체인스튜디오님 이야기듣고 보니 너무 신기해요. 스팀케넥트로는 계정을 어떻게 생성하나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아 이제야 궁금증이 풀렸네요. https://github.com/steemit/steem-ruby/blob/master/test/steem/transaction_builder_test.rb
같은데 보면 진짜 그냥 테스트로 쓰라고 열어둔 계정인거군요ㅎㅎ
https://steemit.com/news/@timcliff/new-tool-from-busy-org-create-new-steem-blockchain-accounts-with-steemconnect 여기 보시면 되요. 저도 해보진 않아서 잘은 모르겠지만ㅎㅎ 사실 저희같은 사람은 그냥 steempy로 생성하는게 가장 편한거니까요.
곰돌이가 @anpigon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5을 보팅해서 $0.008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503번 $8.118을 보팅해서 $7.573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그리고 하나더 신기한건 sisilafamille 계정을 살펴보면, 2개의 포스팅키를 멀티시그로 사용하고 있어요. 그런데 그 포스팅키의 소유 계정은 따로 있습니다. guest123과 hellosteem 포스팅키인데요. 다시말하면 sisilafamille가 소유하는 포스팅키는 없다는 말입니다. sisilafamille는 어떻게 생성된 계정일까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https://steemd.com/@sisilafamille 보시면 포스팅키 존재해요. fabien도 가지고 있고요. 제가 보기엔 그냥 fabien이 정상적으로 생성한 계정입니다. 그리고 그 계정이 fabien, hellosteem, guest123에 포스팅 권한을 부여했고요.
참 저는 sisilafamille 이 현재 포스팅하는 것도 anpigon님이 테스트중인건가 싶어서 질문댓글도 달았는데 이것도 아닐수도 있겠네요. 누군가 재밌는걸 하고 있긴하던데ㅎㅎ
아 저도 궁금증이 어느정도 풀렸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Posted using Partiko Andr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