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이아빠입니다.
매번 트윗만 번역하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는데
마침 저의방 방장님과 저와 친한 다른 한분이 버지 안드로이드 지갑 전송 테스트를 해보자는 제안이 있어서 오늘 아침에 실험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그림과 같습니다.
제폰에서 다른 폰으로 전송된시간 55초 수수료 0.1 XVG (약 4원)
거래금액과 상관없이 1 Transection에 0.1 XVG 즉 4원이죠.
※ 참고로 거래소간 지갑 전송은 2~5분 사이입니다. 거래소 입출금 시간을 감안해야 하니. 수수료는 동일하구요. 그래도 가장 빠른 리플 1분 컷. 수수료 1 리플에 비해서 가성비는 최고 입니다.
대단하지 않나요? 버지는 페이먼트 입니다. 지불 화폐.
예를 들면. 1천억을 상대방 계좌로보낼때 50초미만이 소요되며, 수수료는 현재 버지 가격의 0.1%이니. 지금 4원입니다. 결론은 1천억 송금수수료는 4원입니다.
당신은 해외송금시 어떤방법을 사용하시겠습니까?
시장원리에 따라 버지는 수요가 많아지게 되고, 공급보다 수요가 많게 되면 가격은 자연히 오르게 되어 있습니다.
리플이 1천원정도를 보는 이유는 은행에서 송금수수료 경쟁력에서 1천원 정도가 좋기 때문입니다.
버지가 수수료로 500원만 가더라도.. 버지는 5천원에 해당합니다.
현재 40원이 5천원간다고 생각해보십시요~
가격이 많이 오른다고 걱정되시나요?
오른가격에 바로 사서 상대방에게 보내고 바로 팔면 시세차익이 그닥 중요하지 않습니다. 현금 전송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추후 업데이트는 버지 지갑 설치 가이드를 작성 예정입니다.
즐거운 주말들 되시길.
그리고 이글은 많이 퍼뜨려 주세요. 팩트 그 자체이니까요. 화이팅 하시죠 버지팸.
스팀 가즈아!
스팀! 버지 가즈아! Virus707님 댓글 직접 쓰신건 처음 봅니다. 기분이 좋네요 ㅎㅎ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투자도 하지만 공부도 하는 학생입니다.
버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있는데 레이스 프로토콜 이적용된거 같은데
그게 가능한지 모르겠네요
가능합니다. 맥이랑 리눅스용 지갑에서는 스텔스모드 전송이 가능하며 현재 윈도우는 안됩니다. 곧 업데이트 예정입니다.![IMG_20180405_204643_546.jpg](https://images.hive.blog/768x0/https://steemitimages.com/DQmaZqbXZMAknBP31R3zmG5wgLD2XDPXfZEcwiRrxSvHTyA/IMG_20180405_204643_546.jpg)
아래가 맥용 지갑이며 3번째 스텔스모드 지갑주소가 따로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