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북한은 중국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션즈화는 그것을 북한이 중국과 소련과의 관계에서
중국편을 거들었다는 것으로 해석하면서 그 우호적 태도의 연장을 1950년대 중반까지로 늘리고 있다. 그러나 그런 태도는 합당하지 않다고 본다.
션즈화가 북중관계가 우호적이라고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국과 인도가 문제로 대립할때 소련이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 것과 달리 북한은 공개적으로 중국에 대한 지지를 밝히면서 양국 충돌의 책임이 전적으로 인도에 있다고 지적하고 중국의 방안대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47, 주 237, 인민일보, 1959년 9월 14일)(당시 노동신문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중국이 진행한 대약진 운동과 경제건설 총노선에 대해 북한은 중국의 입장을 일관되게 지지했다.
1961년 중국경제가 어려움에 빠졌을 때도 북한의 김정일은 여전히 중국의 노선과 정책이 정확하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중국의 대내외 정책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447, 주 240, 인민일보, 1960년 1월 25일, )
1960년 11월 모스크바 회의에서 중국과 소련이 서로 갈등을 할때도 북한은 알바니아, 베트남, 일본 등 대표들과 함께 공개적으로 중공의 견해를 지지했으며 소련을 비판했다.
모스크바 회의 이후 북한은 사대주의와 교조주의에 대한 반대 및 주체사상을 확립하기 위한 운동에서 맹목적으로 소련을 따라하거나 소련의 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중국을 따라 배워 자신의 특성을 살리자고 주장했다.
즉 소련의 수정주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지녔다는 것이다.
1961년 4월 유엔총회에서 남북한대표가 참가해서 한반도 문제를 토론하자는 의안을 통과시켰을 때, 1956년 중국과 소련이 이문제에 이견을 보였던 것을 고려해 북한은 대표를 출석시키면서 사전에 중국의 의견을 구했다. 션즈화는 이런 과정을 북한과 중국의 우호적인 협력의 예로 제시하고 있다.
@tipu curate
Upvoted 👌 (Mana: 20/25 - need rech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