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동전과 지폐가 돈으로 쓰이기 전, 조개껍질이나 쌀을 화폐로 쓰던 때가 있다. 비단과 같은 천뭉치도 다른 물건과 교환할 때 기준이 되는 물품, 곧 돈으로 쓰였다. 화폐는 이렇게 계속 변해온 것이다. 그렇다면, 미래에는 우리가 눈으로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코드가 돈으로 쓰이지 않을까. 이 막연한 생각은 ‘비트코인’이 나온 후 현실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를 낳았다.
비트코인은 가상화폐이자, 이 화폐가 작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쉽게 말해 싸이월드 ‘도토리’나, ‘네이버 캐쉬’와 같이 실제 돈은 아니지만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 이용료를 결제할 수 있는 돈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쓰는 돈처럼 손에 쥘 수 있는 물건은 아니다. 지금 이 글처럼 온라인에서 떠도는 코드일 뿐이다.
사실 가상화폐는 흔하다. 인터넷 서비스마다 자기만의 가상화폐를 만들곤 한다. 싸이월드는 ‘도토리’를 만들었고, 네이버는 ‘네이버 캐쉬’,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크레딧’, 카카오는 ‘초코’이라는 가상화폐를 만들었다. 그 외에도 자기 서비스 이름 뒤에 ‘캐시’라는 이름을 붙인 가상화폐를 만든 곳은 많이 있다. 이렇게 가상화폐가 많은데도 비트코인이 특별히 주목을 받은 건, 작동 방식이 특이하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은 주인이 없다. 특정 개인이나 회사가 운영하는 ‘캐시’가 아니다. 작동하는 시스템은 P2P 방식으로, 여러 이용자의 컴퓨터에 분산돼 있다. 비트코인을 만들고 거래하고 비트코인을 현금으로 바꾸는 사람 모두가 비트코인 발행주다. 그 중 누구 한 사람을 콕 집어서 ‘이 사람이 주인‘이라고 말할 수 없다.
비트코인용 계좌를 만들 때도 신분증 검사 같은 건 필요 없다. 비트코인에서는 계좌를 ‘지갑’이라고 부른다. 지갑마다 고유한 번호가 있는데 숫자와 영어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를 조합해 약 30자 정도로 이루어진다. 한 사람이 지갑을 여러 개 만들 수 있는데, 개수에 제한은 없다. 다만 지갑을 만들 수 있는 별도 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를 써야 한다
작년 12월달 비트코인 상황은?
비트코인 가격 폭등을 두고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고위 인사들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는 화폐가 아니라는 점에 분명히 선을 긋고 있습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현지 시각으로 13일 비트코인에 대해 "법정 화폐가 아닌 매우 투기적인 자산이며, 안정적인 가치 저장 수단이 아니다"라고 경고를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광풍에 가까운 투자 열풍이 불고 있지만 전통적인 화폐 범주 안에 비트코인을 포함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 것입니다.
옐런 의장은 또 "현재까지 비트코인은 지급결제 시장에서 아주 작은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의 금융시장 내 비중 확대 가능성을 낮게 봤습니다.
입 메르셰 유럽중앙은행 이사 역시 지난달 30일 ECB, 이탈리아은행이 공동으로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가상화폐는 돈이 아니다"라며 "유럽인들은 민간 가상화폐에 매달리지 말고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소액결제 시장을 형성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스티븐 폴로즈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는 14일 "가상화폐를 사는 것은 투자라기보다는 도박에 가깝다"고 좀 더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습니다.
폴로즈 총재는 "가상화폐는 신뢰할만한 가치 저장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 화폐로 볼 수 없다"며 최근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을 20년 전 IT 버블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일본이 비트코인 시장 큰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30~40대 남성이 비트코인 주요 투자 그룹으로 떠오르고 있는 탓이다. 일본은 투기 열풍으로 각종 규제에 나선 여타 국가와는 달리 인식도 긍정적이다. 한 인터넷서비스 회사는 비트코인으로 월급 일부를 지불하기로 했다.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외신은 도이치방크 보고서를 인용해 일본 30~40대 남성이 비트코인 시장 큰손으로 부상했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마사오 무라키 도이치방크 글로벌금융전략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 10월과 11월 비트코인 거래 40%가 엔화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 가격은 127% 폭등했다.
일본 비트코인 투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일본 외환거래가 비트코인 투자로 전환됐기 때문이라고 무라키는 분석했다. 그는 “일본은 FX마진거래 전 세계 시장의 54%를 차지할 정도 외환시장의 주요국”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비트코인 시장 큰손은 중국인이었다. 최근 중국이 비트코인 거래소 규제를 시작하면서 대형 거래가 일본으로 넘어간 것으로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풀이했다.
이 가운데 일본에는 임금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지급하기로 한 회사도 나타났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일본 GMO인터넷그룹은 내년부터 비트코인으로 임금 일부를 지불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회사는 암호화폐 투자사다.
GMO 직원들은 임금 중 1만~10만엔(한화 9만~96만원) 정도를 선택에 따라 비트코인으로 받도록 했다. 직원들은 또 월급의 10%를 인센티브로 추가로 받으면서 이를 비트코인으로 받을지 선택할 수 있게 됐다.
GMO가 직원들의 월급을 비트코인으로 주는 것은 시장 확대를 위해서다. 이 회사는 내년 새로운 암호 화폐 채굴을 시작하고 비트코인 거래에도 나설 예정이다.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I found similar content that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32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