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형 무선식별장치를 통한 동물등록
내장형 무선식별장치는 줄여서 '마이크로칩' 혹은 '내장칩'으로 부른다. 내장칩 형태의 등록 방법은 3가지 강아지 동물등록 방법 중 가장 주요한 방법이다. '16년 기준 전체 동물등록된 강아지 중 내장형 등록 비율은 65.2%에 달하였다. 이는 '14년 30.6%에서 계속 증가하는 추이다.
강아지 내장칩 부작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증가하는 내장칩 비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반려인들은 내장칩의 부작용에 불안해 하고 있다. 이러한 불안함이 근거 없는 불안감은 아니다. 내장칩을 통한 동물등록 정책 초기에 일부 중국산 불량 내장칩이 시중에 유통되면서 내장칩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었다. 또한, 비록 철회되었지만 내장형으로 동물등록 일원화가 논의되는 과정에서 부작용 관련 여러 부풀려진 사실이 아직까지 사실로 통용되고 있기도 하다.
부작용에 대한 사례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내장칩에 대한 부작용은 반려인들 사이에서 전반적으로 과대평가되어 있다.
강아지 내장칩 부작용에 대한 연구결과
영국 소둥물수의사회(BSCVA) 연구 데이터
영국 소동물수의사회(BSAVA)는 1996년 반려동물 내장칩 부작용에 대한 보고 시스템을 만든 후 데이터를 수집해왔다. 2009년까지 3백70만 반려동물 내장칩 등록 데이터 중 총 391건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었다. 단순 통계치로 0.01%에 해당한다.
또한, 총 391건의 부작용 사례에서 강아지의 건강된 연관된 부작용으로 볼 수 있는 감염, 부종, 암의 경우 45건이다.
0.01%의 부작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극히 낮은 확률이니 동물등록제를 내장칩으로 일원화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반면, 0.01%의 확률이라도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국내 및 해외 수의학계에서는 극소수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안전하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연도 | 2009 | 2008 | 2007 | 2006 | 2005 | 2004 | 2003 | 2002 | 2001 | 2000 | 1999 | 1998 | 1997 | 1996 |
인식실패 | 5 | 1 | 2 | 7 | 6 | 1 | 7 | 4 | 1 | 1 | 1 | |||
털빠짐 | 1 | |||||||||||||
감염 | 1 | 1 | 5 | 1 | 2 | 1 | 1 | 1 | 2 | 1 | 2 | 1 | 1 | |
분실 | 3 | 3 | 7 | 6 | 6 | 2 | 3 | 34 | 7 | 1 | ||||
위치이동 | 3 | 16 | 16 | 12 | 27 | 33 | 12 | 7 | 9 | 33 | 28 | 24 | 9 | |
부종 | 1 | 3 | 8 | 1 | 3 | 2 | 1 | 1 | 2 | 1 | ||||
암 | 1 | 1 | ||||||||||||
미확인 | 1 | 1 | 3 | 1 | 2 | |||||||||
합계 | 4 | 18 | 29 | 32 | 38 | 50 | 29 | 13 | 21 | 75 | 41 | 29 | 11 | 1 |
농림축산식품부의 안전성 검증 결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08년부터 '12년 8월까지 시범 실시 한 180,201건 시술에 부작용 14건(0.008%)에 그쳤다고 한다. 또한, 발생한 부작용들도 일시적인 부어오름 등 경미하였다고 한다.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한 내장칩 부작용 통계치
내장칩의 위험을 설파하는 주장에서 종종 생쥐 등의 실험동물에 대한 사례가 언급된다. 생쥐 등의 실험동물에서 내장칩에 의한 암 유발률은 적게는 0.7%에서 많게는 10%에 달한다.
가장 높은 암 유발률을 보였던 실험에서는 177마리의 생쥐 중 총 18마리(약 10%)의 생쥐에서 내장칩과 연관된 암이 발병했다. 하지만 이 실험에 사용한 내장칩을 유전이 다른 2,000마리 이상의 생쥐에 4년에 기간 동안 사용하였는데, 해당 생쥐들에서는 내장칩 관련 암이 생기지 않았다.
즉, 앞서 10%의 암 유발률을 보였던 실험 사례는 내장칩이 암을 유발했다기 보다 해당 실험군의 생쥐들이 외부 물질에 의한 암에 취약한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실험의 특수성 감안해야
생쥐 등의 실험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들의 다수는 암 관련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행해진 실험들이다. 실험동물 간 구분을 위해 내장칩을 사용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내장칩 관련 암 유발 통계가 도출되기는 한다. 하지만, 이들 실험의 경우 내장칩의 부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이 설계되지 않았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일부 실험동물들의 경우 특정 암에 취약하게 설계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실험동물들을 통하여 도출된 내장칩 암 유발 수치를 강아지나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내장칩의 암 유발 통계에 인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각 지자체 내장형 등록 적극 지원 예정
서울시·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서울시수의사회의 업무협약에 따라 올해 1월부터는 서울시 900개 동물병원에서 1만원으로 내장형으로 강아지 등록이 가능해진다. 기존의 경우 내장형으로 강아지 등록을 할 시에 4~5만 원이 소요되었다.
경기도의 경우 2년간 내장형 동물등록을 유지할 경우 내장형 동물등록 수수료 1만원과 마이크로칩 비용 1만원을 지원해준다. 단, 해당 지원은 '19년과 '20년 각각 선착순 5만 마리에 대해서만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내장칩 등록해도, 인식표 착용은 필수
많은 반려인들이 잘 모르고 있는 사실이다.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내장칩 방법으로 등록을 해도 인식표의 착용은 필수다. 동물보호법 시행규칙은 인식표 착용과 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등록대상동물을 기르는 곳에서 벗어나게 하는 경우 해당 동물의 소유자등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표시한 인식표를 등록대상동물에 부착하여야 한다.
- 소유자의 성명
- 소유자의 전화번호
- 동물등록번호(등록한 동물만 해당한다)
또한, 인식표 등의 외장형 식별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강아지를 잃어버렸을 때 되찾기에 효과적이다. 내장칩만 삽입한 상태에서 유실하였을 때 칩 리더기가 있지 않은 일반인이 강아지를 소유주에게 찾아주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비마이펫에서 더 보기
짱짱맨 호출에 응답하여 보팅하였습니다.
울깜지도 내장칲 4년째인데 작년까진 아무렇지 않아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쭈욱 괜찮길 바래봅니다
일년에 한번정도는 잘 감지 되는지도 테스트 해보는데 잘되더라구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