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적 시스템은 인정하면서 의료계가 예방에 초점을 맞추도록 유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놓은 사람이 있군요. 첨 들어보네요. 예방 중심의 인센티브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치료진 입장에서도 더 신명날 거 같아요.
다만 증상이 생기기 전에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려면 말씀하신 대로 국가가 나서야 하고 예방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형성이 돼야 하는데, 국가뿐만 아니라 우리네 보편적인 의식도 병을 개개인의 문제로 간주하는 수준에 그쳐 있어서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사실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고 누구나 중증 질환에 걸릴 수 있죠. 개인의 문제 때문이 아니라 일종의 확률적인 문제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든 신체적 질병이든 간에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려는 경우를 너무도 많이 봤네요. 개인적인 차원에서든 의료기관의 차원에서든. 이건 국가가 의료비를 삭감하고(ex 치료진에게 합당한 처우를 안 해주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예방 정책에 힘을 쏟지 않는 것과 맞닿아 있는 것 같아요.
이 글 보니 생각이 많아집니다. 치료를 한다는 것이 증상이 생긴 한 개인에게 사후발생적으로 접근한다는 개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예방까지를 포괄하는 개념이라는 데 대한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기를 바랍니다. 사회적 합의가 형성돼 이 글에서처럼 예방 전략에 어떻게 인센티브를 줄 것인지,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악용할 가능성을 어떻게 원천 봉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뒤따른다면 예전과는 조금 다른 차원의 사회가 펼쳐질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