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의 유효기간은 얼마나 될까?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지 알 수 있고, 결과가 어떻게 될지 보장만 있다면 설령 오랜 시간이라도 참아낼 수 있으리라. 하지만 기약 없는 기다림 앞에서 끝까지 버틸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지치고, 포기하고, 결국엔 다른 길을 찾게 된다.
그런데, 여기 무려 72년이나 기다렸던 사람이 있다. 생활고를 견디다 못한 아내가 집을 나가고, 배를 곯은 날이 허다한 속에서 실력을 키우며 미래를 준비한 사람이 있다. 평균수명의 두 배를 넘길 정도로 늙어갔지만, 마음속에 품은 큰 꿈은 결코 꺾이지 않았다. 오늘날 낚시꾼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는 이름, 강태공(姜太公)의 이야기다.
강태공의 본명은 강상(姜尙)으로, 선조가 여(呂) 땅을 식읍(食邑)으로 받았다고 하여 여상(呂尙)이라고도 불린다. 주나라 문왕이 강태공을 초빙하며 선왕 태공이 바라던(望) 성인(聖人)이라고 일컬었기 때문에, ‘태공망(太公望)’이라는 이름도 얻었다.
강태공은 일흔두 살이 될 때까지 매우 빈곤하게 살았다. 극진(棘津)이라는 나루터에서 지내며 하는 일이라고는 독서와 낚시뿐이었다. 그렇다고 물고기를 잘 잡은 것은 아니다. 그가 드리운 낚시에는 바늘이 없었다. 바늘이 있었지만 곧게 펴져 있었다는 말도 있다. 어느 쪽이든 그의 목적은 물고기를 낚는 데 있지 않았던 것이다.
강태공이 낚시터에서 기다린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때’였다.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고,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그런 시간. 강태공은 그 ‘때’를 낚기 위해 무려 72년의 세월을 기다린 것이다.
더욱이, 강태공이 평생을 숨어 살았다고 하여 무명의 은둔 선비였던 것 같지는 않다. 은나라 조정에 잠시 출사했었다는 설도 있고, 맹자는 그가 당시 ‘천하의 큰 어른(大老)’이었다고 설명한다. 강태공의 능력과 인망은 이미 알 사람은 다 알았던 상황이었을 수 있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영달할 기회가 있었지만, 아직 때가 이르지 않았다고 판단했기에 곤궁함을 감내하며 세상과의 인연을 끊었다.
주 문왕과 강태공의 운명적 만남
주 문왕과 강태공의 첫 만남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어느 날 문왕이 사냥을 가기 전에 점쟁이가 이런 점괘를 주었다고 한다. “이번 사냥에서 사로잡을 것은 용도 아니고 이무기도 아니며 호랑이도 아니고 곰도 아닙니다. 임금을 보좌할 신하를 얻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사냥길에 나선 문왕이 도중에 강태공을 만났다는 것이다.
강태공과의 조우를 초월적인 계시에 의한 것처럼 묘사하고 있지만, 실상 강태공의 소문을 들은 문왕이 그를 찾은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두 사람은 깊은 이야기를 나눈 끝에 의기투합했는데, 문왕은 “나의 선왕 태공께서는 ‘성인(聖人)이 주나라에 나타나게 되면, 주나라가 그로 인해 크게 흥성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선생이 정녕 그 성인이 아니십니까? 선생을 기다린 지가 오래되었습니다”라고 기뻐했다고 한다.
아무튼 강태공은 그길로 문왕의 신하가 되었고, 뒤를 이어 보위에 오른 무왕까지 계속 섬기며 뛰어난 용병술과 기묘한 계책을 발휘했다. 나이가 여든을 넘긴 뒤에도 임금과 신하들을 독려하며, 은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다.
당시 인구로 봤을 때 신빙성은 약하지만, 4만 5000명의 병력으로 은나라 72만 대군을 격파했다는 일화까지 전해진다. 그는 그 공로로 동쪽 땅 제(齊)나라를 다스리는 제후에 봉해졌는데, 길쌈을 장려하고 생선과 소금을 유통시켰으며, 인적·물적 교류를 활성화하여 제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관중과 안영 등 명재상을 배출하며 중국 문명에 큰 영향을 끼친 제나라의 시작이다.
만약 강태공이 중도에 포기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생계를 꾸리기 위해 다른 삶을 선택했다면 언제 올지 모를 ‘자신의 시간’을 끝내 기다리지 못한 채 섣불리 세상으로 나아갔다면, 역사는 지금과는 다른 모습이지 않았을까? 그 오랜 세월을 견뎌내며 자신이 쓰일 때를 기다리고, 준비했기에 ‘강태공’, ‘태공망’이라는 불멸의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도망갔던 아내 찾아왔으나…
끝으로 남은 이야기 하나.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도망간 강태공의 아내는 그가 재상이 된 후 다시 찾아왔다. 말없이 전 부인을 바라보던 강태공은 옆에 있던 물그릇을 바닥에 엎었다.
“이 물을 다시 담을 수 있겠소?” 당황해하는 그녀에게 강태공은 말했다.
“한번 쏟은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는 법이오. 마찬가지요. 그대도 한번 떠났으니 다시 돌아올 수 없소.”
한번 저지른 일은 되돌릴 수 없다는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이라는 고사가 바로 강태공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buk-articles 는 미출판 콘텐츠를 가장 처음 만날 수 있는 글모음 채널입니다.
기다리다 수명이 다해 죽었을 나이인데 그때의 평균수명으로는 장수했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