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SIK / ⟪법성게⟫ 이야기 #3 "증지소지비여경"

in #kr7 years ago

보살의 지혜라만 알 수 있는 것일 뿐, 다른 차원으로는 불가능합니다.

證智所知非餘境

증지證智. 오랫동안 우리가 매달려왔던 지혜란 말에 '증거'라 고 할 때 쓰는 '증'이란 수식이 붙었다. 그렇다면 그게 없는 보통 '지혜'도 있다는 말인가. 표현하기 쉽게 우리는 지식지혜를 구분해서 써 왔다. 그러니까 지식知은 여러가지 경로로 습득한 정보이고, 지혜는 본인이 스스로 터득한, 어떤 깊이가 있는 것이라고 구분했다. 그래서 지식과 지혜는 글자를 구분해서 썼다. 하지만 정작 부처님이 살았던 인도에는 이런 명확한 구분이 없다.


같은것 을 알았는데, 스스로 알게 된 건 지혜이고, 습득을 통한 건 지식이라고들 여긴다. 선종에서는 그래서 진리를 알게 되면 이치를 깨달은 '해오解悟, 깨달은 이치를 스스로 확인해서 체득하는 '증오證悟'라고 한다. '깨달음'과 '깨침'이 다른 것이 라고 구분해야 한다고 하는 특이한 구분법도 있더라만.


진리의 세계를 봤다고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모두 우리 세상을 무대로 벌어진다. '파랑새'와도 다를바가 없다. 무엇인가를 찾겠다고 어딘가에서 헤메다 찾지 못하고 돌아오니까 그게 출발점에 있더라고 다들 말한다. 그래도 직접 보고 온 것과는 다르니 갖다오는 것은 좋은데, 그 진리에 세계에서 계속 살면 그건 '구도'라기 보다는 '도피'쪽에 가깝다. 물론 민주주의 사회에서 도피 또한 자유니 가라마라 뭐라 할 수는 없지만, 그게 우리가 찾는 답이 아닐 뿐더러 가장 좋은길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부처의 지혜'가 아니라 왜 '보살의 지혜'라고 했을까. 또 왜 증지를 보살의 지혜라고 번역했을까. '' ⟪화엄경⟫을 강의하는 이는 부처가 아니라 보살이다. 우리는 대개 보살이란 부처가 되기 전의 단계로 부처보다 낮은 존재라고 여기지만, 화엄경이란 철학에 대한 셜명을 하는 이는 비로자나란 부처님이다. 비로자나불은 몸이 없다. 진리 그대로를 우리가 접근하기 좋게 인격화 해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가 설법을 하지만 육성으로 말하지 않으니까 귀로만 듣는 우리는 이를 들을수가 없다.


그러니 비로자나란 부처님을 찾아 떠날 필요는 없다. 아, 오해는 하지 말자. 뭐 그렇다고 비로자나불은 엄청 대단하고 우리가 미천해서이기 때문은 아니다. 그냥 사이클 혹은 주파수가 다른 영역에 있기 때문일 뿐이다. 우리가 높은 주파수의 곤충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과 비슷하다. 비로자나란 부처님은 사실 종교적으로 진리가 상징화 된 것일 뿐이다. 그래서 진리의 세계에 대한 설명은 모두 보살들이 대신한다. 그래서 보살들을 비롯해서 등장 인물이 수없이 많다. 그 수많은 인물들은 우리가 그 스토리에 몰입할 때만 생겨나고 의미있는 존재가 된다. 그들이 우주공간 어디엔가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 UHD수준의 고화질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인물들이 그 티비화면 뒤에 있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우리에가 의미를 부여할 때 존재하고, 신경을 끄면 모두 가상의 캐릭터가 되어버린다.


또한 동시에 우리 각자의 마음상태가 관세음보살이 되기도 하고 보현보살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수없는 관세음보살, 수많은 보현보살이 동일한 시공간에 중첩으로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책읽기를 멈추었을 때 우리는 생각 속에서 그 주인공들도 책과 함께 떠나보내야 한다. 게임을 하다가 게임의 화려한 능력의 주인공이 마음에 든다고 해서 게임이 끝난 뒤 현실로 그 캐릭터를 데리고 나올수는 없는 일 아닌가. 게임속 캐릭터와 우리의 실재는 전혀 다른 공간에서 실재하기 때문이다.


드라마나 소설을 보며 우리가 그 인물들의 역사성을 ’구하지 않는 것처럼, 대승불교 경전에 나오는 인물들은 모두 진리의 매개체 혹은 그 자체로 상징이다. 그래서 대승경전을 읽는 사람은그 정보를 알기 위한 분석력과 이해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스토리의 감성적인 흐름에 공감하고 그 흐름에 몰입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이야기가 주는 실질적인 메시지도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보살의 지혜란 대승불교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 중 하나이다. 그들은 가장 뛰어난 지혜를 갖추고도 진리의 세계를 향해 떠나지 않는다. 아직도 자신의 능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쓰여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나중에야 밝혀진 것이지만, 이 세계가 바로 바로 진리의 세계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특별히 떠나야 할 진리의 세계따위는 존재하지 않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냥 보살의 지혜다. 그게 증지이며 그 지혜로 다르마의 세계에는 상대적인 둘의 세계가 아니라는 것을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사실 여기서 말하는 증지란 적어도 물리적인 대상으로 시작하고 있으므로 앎의 지혜체험의 지혜냐를 따지는 증지가 아니다.
세상의 모든 다르마의 존재가 상대적이므로 딱 잘라서 '생성과 소멸', '같음과 다름', '전체와 구분'이란 기준으로 나눌 수 없다는 사실, 그 것을 볼 수 있느냐 없느냐에 관한 것이므로 '보살의 지혜'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물리적인 세계에서 다르마-원자는 이제 보살의 지혜가 없어도 원자현미경을 통해서 볼 수 있다. 그러니 이제 '증지'의 외연을 더 넓히거나 다른 경계에선 불가능 하다는 '비여경'이란 구절을 고쳐야 할 지도 모르겠다. 대개 진리는 변함이 없다고 여긴다. 그러나 변하기 때문에, 변한다는 사실 자체가 바로 진리다. 진리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니 변하지 않는 세계에 있는 진리따위는 없다. 지금 보고 듣는 것이 그대로 가상의 세계이며 진리의 세계이고 그 둘이 활발하게 섞여 돌아가는 차원인 걸 인정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보살의 지혜로 보는 것과 현미경으로 보는 것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다. 현미경을 통해서 볼 때는 관찰자와 대상이 있지만, 법성원융무이상을 보는데는 관찰자와 대상의 구분도 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원래 주객전도 主客顚倒 란 말은 여기서 온 것이다. 둘이 뒤엉켜서 구분이 안된다는 뜻이다. ⟪반야심경⟫의 '꿈과 현실이 뒤바뀐 세상'이란 의미의 전도몽상보다 높은 경지의 이야기인가 싶다. 반야심경은 꿈이 현실인줄 안다는 착각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법성게⟫는 꿈과 현실조차 다 섞어버리니까. 물론 지금은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는 전혀 엉뚱한 의미로 쓰이고 있지만.

n4o2cextfpaostdgw6su.png

Sort:  

스팀잇에 가입하고 1주일만에 불교관련 포스팅을 만났습니다.
스팀잇에서 불교는 좀 낯설다고 느껴졌습니다.
저도 불자라 자주 방문하고 공부하겠습니다.()

반갑습니다.^^ 낯설 수도 있겠습니다. 사실 저희 편집부도 종교적인 주제로 스팀잇에서 활동하는게 약간 낯설답니다.^^ 자주들러주시고요~ 스팀잇에 오신것도 환영합니다. 왕성한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아, 그럼 아이디도 바라밀이신건가요?

예 사람들이 부르기 좋을거 같아서 바라밀로 정했습니다. 스팀잇에서는 종교적인 냄새를 풍기지 않으려 했는데 들켰네요..^^

바라밀을 paramil로 사용하시는것을 보니 불교에 관련이 많이 되시는 분 같습니다.

불교와 관련된 일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아!! 좋으시겠습니다.

The Vote For Your Awesome Post Has Just Arrived!


This post has been voted with the use of SteemiTag. Feel free to upvote this comment if you’d like to express your support for our cause. Conversely, if you don’t want to receive any more votes from SteemiTag, please respond to this comment by writing NOVOTES.

SteemiTag is an innovative program that helps users increase their gains in the curation rewards by voting on posts that are likely to get high payouts. It maximizes the chance of a user to be rewarded through an accurate selection algorithm that works 24/7 and eliminates "no rewards" problem for users with low Steem Power. You can participate in our program by clicking on this link and confirming your delegation. Your rewards will be sent to you in the form of weekly dividends. Thank you and keep up with your great work!

저는 이 부분이 좀 어렵더군요. 종교적인 영역 석가모니가 설한것과는 상관없는 비로자나불, 관세음보살등의 많은 부처와 보살들에서 더 깊이 못 들어가는 이유인가 봅니다. 그냥 좋은 가르침만 취하면 되는데...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석가모니의 가르침과 우리가 말하는 불교(대승) 는 다른 영역의 얘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진리야 다를수가 없겠지만요. 잘 배우고 갑니다.

교학적인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 많이 겪게되는 갈등 같습니다. 석가모니란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것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만, 불교는 교조주의가 아니기에, 일상에서 우리의 필요에 의해 탄생한 보살이란 캐릭터들의 존재에 대해 너무 불편해 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

불편한것은 없는데 가르침을 받을때 이건 이런것이다. 저건 저래서 유래 되었다. 하고 명확하게 가르쳐주면 혼란이 없을텐데... "그런건 몰라도 된다." 라던다가 "이 사람 신심이 부족하구만" 이란 소릴 들을때 "아! 나는 불교도가 확실히 아니구나" 라는걸 명확하게 느낍니다. 막혀있던 어둠을 걷어낸건 불과 몇달이 되지 않아 이제서야 불교를 바로 바로보고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명확하게 불교 신자가 아니란걸 알게 되었고요. 감사합니다. 불식님 덕분에 공부가 더 잘 되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설명을 할 수 없다면 능력부족이지 설명이 안될만큼읨 문제가 있어서는 아닐텐데 말입니다. 아무래도 한국불교가 지식과 정보에 있어서는 좀 소외시키고, 안보이는 것을 집중적으로 추구해 오다보니 이제 와서 부작용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불식을 구독해주시는 @gaeteul님에게 저희 불식은 최선을 다해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따뜻한 관심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아, 아울러 저희 불식과의 대화에서 누군가로붙터의 '신심'따위의 감정적인 요구사항은 무시하거나 잠시 꺼두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