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USD): 매우 강한 매수세

in #kr7 years ago (edited)

SmartSelectImage_2018-02-20-10-57-00.png
더블탑을 형성하고, 심지어 하락다이버전스까지 뜬 상황에서
매수를 받아 더블탑을 뚫어버렸습니다.

SmartSelectImage_2018-02-20-10-58-43.png
그로인해 숏물량이 손절을 일부 나간 모습이 보이고요

SmartSelectImage_2018-02-20-10-59-56.png
다음 저항매물인 13000근방까지 가격을 열어둘수 있습니다.

엘리엇파동관점으로 해석이 가능한부분인지 아닌지 애매한 시점이 왔습니다.
아직 웻지5파동이나 확장4파동을 고려해볼수도,
4파동이 완료되고 5파동으로 들어선것으로 볼수도 있으나
명확한 기준을 잡는데 도움이 되지는 못하고있습니다.

기술적인 하락요소인 매물대저항, 파동저항, 하모닉패턴저항, 다이버전스신호 등 하락가능성이 있는 모든 요소를 무시하고 가격이 상승중입니다.

일반인들의 FOMO구간은 이미 지나서 대부분 포지션진입이 완료된 상황으로 보이고
의도적으로 어마어마한 자본으로 가격을 끌어올리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트코인이야 워낙 불가능해보이는 상승을 지속해왔기때문에 계속적인 상승이 불가능하다고 단언할수는 없겠습니다만

기술적 분석으로서는 11000근처에서 마땅한 저항이 나왔어야하고
13000 근처에서도 마땅한 저항이 나오는게 옳다고 많은 트레이더들이 생각할것입니다.

0.382비율에도 오지 않거나, 382만 딱 채워주는 아주 강력한 상승파동을 이어가고있습니다.

비트코인에 대한 믿음과, 배짱이 있으면 큰 수익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차트상으로 엄연히 저항이 존재하고 적정한 조정이 될수있다는 입장을 말할수밖에 없겠네요.

어떤분이 댓글을 달아주셨는데 왜 하락만 이야기하느냐?라고요.
저는 떡락을 이야기하는게아니라 건강한 조정을 이야기하는것입니다.
지금은 거의 수직으로 올라가는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저항발생구간에서 적절히 조정을 거치고 올라가는것이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지금의 상승기울기는 11월말, 12월초의 그것과 맞먹는 수준이고
이런 가파른 상승 뒤에는 1월의 하락장이 펼쳐졌다는 점을 염두해 둘수밖에 없네요.
가파른 상승 뒤에는 가파른 하락이 옵니다.

비트코인의 현재 상승세는 통상적인 기술적분석의 범위를 넘어선 굉장히 강력한 불장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저항요소들을 고려하여 안전을 택할것인지,
강력한 매수세를 믿고 수익을 택할것인지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비트코인이 모든 저항요소를 무시하고 그냥 올라가버리는것은 가능한 시나리오이긴 하지만
어떠한 규칙에 의해 기술적분석으로 설명을 할수 있는 요소는 아니고
그냥 가즈아~ 외치는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굳이 제가 아니더라도 많은분들이 말씀해주시기때문에
비트코인의 모멘텀을 믿으면 됩니다.

기술적분석으로 가즈아~에 대한 확신을 얻기는 힘들겁니다.
저항레벨은 계속 존재하고 조정이나 하락의 가능성을 고려해보라는 분석이 나올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저항가능한 지점에서 저항이 나오지 않았으니, 다음 저항인 13000까지는 열어둔다는 분석이
상승을 말하는것일까요? 하락을 말하는것일까요?
받아들이기 나름이겠죠.

Sort:  

deadcatbounce 님의 분석은 대응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하락장이 올꺼라고 하면 왜 화를 낼까요?? 자신이 판단해서 조심하면 될꺼 같은데.. 참 어렵네요 ㅎㅎ

좀 다른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 사람들은 상승장이면 사고, 하락장이면 팔고, 이 두가지만 하고 나서 지켜보고싶은 심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항을 뚫는지 지켜보고, 지지선에서 반등하는 지 확인하는 것은 성가시죠. 그리고 뚫었다 하더라도 더 큰 레벨에서 다음 구간은 어디인지 확인하고 하는 것은 사실 끝이 없는 일이라 피곤할 수 밖에요.
그냥 매월 적금을 붓는 것은 한달에 한번 트레이딩이라 볼 수도 있지만, 실은 자동이체 걸 때 한번만 의사결정을 하면 되거든요.
그냥 사람의 심리라는 게 그런 것 같네요. 생각하기 귀찮아 하는..ㅎㅎ
저는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deadcatbounce 님의 분석이 도움이 됩니다. 시장자체를 객관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 쉽지 않아서, 여러 사람의 의견에 귀를 귀울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