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이코노미에 대한 고찰, 그 첫걸음.

in #kr7 years ago (edited)

Token Economy ?


암호화폐 생태계 안정화를 위해.

ICO, 그리고 암호화폐가 만들어가는 토큰 이코노미의 핵심은 암호화폐를 발행한 주체가 스스로 벌려놓은 판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 한국블록체인협회 김진화 이사 -

엊그제 암호화폐 전망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자 김진화 이사님의 강연에 참석했는데, 제 머릿속을 때리는 한 구절이 있어 인용을 먼저하고 글을 씁니다 :) 저는 어떤 대단한 정의감을 가지고 이런 글을 쓰고자 하지 않습니다. 그저 우리나라의 블록체인 섹터 선점을 원하는 한 대학생으로서, 올바른 비즈니스 생태계를 확립시키고자 비정상의 정상화를 이루려고 하는 것 뿐이지요.

저는 짧게나마 우리나라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현주소를 피부로 체감한 경험이 있습니다. 적어도 소비자들, 투자자들 상대로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사기극을 비즈니스라고 포장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Whitepaper는 당장 자기네들 돈 땡기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Domain Knowledge와 결합해 실제로 구현해낼 수 있어야 하는 사업계획서여야 합니다. Cryptocurrency가 등장한 이유는 최대한 평등한 P2P 보상구조와 상생의 자본주의를 꿈꾸기 위해서지, 또 다시 자본세력과 소비자들의 대결구도를 만들기 위함이 아닙니다.

상반기 동안만큼은 제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문송합니다"에서 공대생의 길로 한 발짝 다가가고는 있지만 제가 지금 시점에서 블록체인을 기술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공학적 소양은 개인적으로 쌓되, 국내 블록체인, ICO 비즈니스에 대한 저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토큰 이코노미의 합리적 방향성을 찾고자 합니다. 이론적, 합리적 근거에 의해 잘 설계된 토큰 이코노미를 최대한 공부하고 찾아서, 우리나라 블록체이너들에게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지금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들은 예컨대 다음과 같습니다.

Coin 가치평가 모델

코인밸류.png

ICO 프로젝트에서 Whitepaper를 보완하는 작업을 했을 때, 투자자들이 보유한 코인의 가치가 어떻게 변동될 것인지에 대해 설명이 있었으면 좋을 것 같다는 바람이 있었습니다. 유틸리티 코인, 에쿼티 코인 모두 기존의 주식과 유사한 점들이 많습니다.

이 부분에 착안해서 주식을 평가하는 방법과 코인 가치평가 방법은 어떻게 다르고, 어떤 방향으로 코인 가치평가 방식이 산정돼야 하는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암호화폐 가치평가에 앞장서고 있는 크리스 버니스케의 모델링 방법을 많이 참고할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g4vv3TUE0DoB12diyc8nRfZuAN13k3aRR30gmuKM2Y/edit

화폐경제학 측면에서 바라본 암호화폐

양적완화.jpg

MV = PY 라는 화폐수량방정식을 근간으로 다양한 암호화폐 발행 정책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제가 가장 흥미로워하고 있는 부분은 크게 두 가지 입니다. 첫 번째는 화폐의 가치 안정화를 위해 만들어진 Stable Coin이고, 두 번째는 인터체인 프로젝트가 활성화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암호화폐 전쟁의 가능성입니다.

Cryptocurrency라는 새로운 화폐경제의 패러다임이 펼쳐졌을 때, 제가 바로 흥미를 느꼈던 부분은 '여기서도 화폐 전쟁이 나올까'였습니다.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2013년부터 미국은 양적완화 정책을 줄여가며 테이퍼링 과정에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신흥국은 물론이고 주요 경제 대국들끼리 보이지 않는 환율 전쟁을 치른 적이 있습니다. 환율이라는 것은 한 국가의 대외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변수인데,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이런 측면이 어떻게 비춰질지 궁금하네요.

기업재무론 측면에서 바라본 ICO

ico ipo.jpg

어쩌면 가장 재밌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재무관리 중에서도 기업금융과 자금조달을 다루는 기업재무론을 가장 재밌게 공부했는데, 갑자기 새로운 자금조달 방식인 ICO라는 것이 뿅 튀어나왔습니다. 이건 당췌 주식처럼 지분을 갖게 되는 자기자본의 조달도 아니고, 돈을 꿔서 자금을 조달(채권 발행)하는 타인자본 조달도 아니더군요. 도대체 어떤 재무적 평가를 내려야할지 고민해보고 있습니다. 엔젤투자 단계에서 조달받는 ICO와 Exit 단계에서 조달받는 IPO를 어떻게 비교할지에 대해서도 많은 흥미가 생깁니다.

맺으며

글을 쓰면서도, 제가 앞으로 어떤 토큰이코노미 아키텍트를 보고 배울지 많은 기대가 됩니다. 상반기 동안 블록체인 비즈니스와 토큰 이코노미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저는 블록체인을 마이크로파이낸스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P2P 금융 기술로서 확신한 후로, 아직까지 그 매력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기에 해당 주제에 대해서도 간헐적으로 글을 쓸 수도 있습니다..ㅎㅎ

논외로 저는 세무학을 전공하고 있는데, 각종 조세 정책이나 암호화폐 관련 법/경제 정책들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얕고 넓게 Review나 Preview를 하고자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많이 배워야하고 알고 싶기에 많은 소통과 배움이 이루어지길 희망합니다 :)

P.S ) 아직 마크다운이 익숙하질 않아 가독성이 좋지 못한 것 같습니다. 상반기 동안 많이 배우고 발전시키도록 하겠습니다 !

Sort:  

응원합니다. 저도 비슷한 접근법으로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좋은 교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많이 배우고, 공유하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ㅎㅎ

저도 토큰이코노미에 대해서 요즘 많은 관심을 갖고 있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좋은 글 기대합니다^^

와우 재밌는 이야기 기대합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시네요. 앞으로의 포스팅 기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