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좀 근사하지요? 말 그대로 가슴 뛰는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돈은 버는 게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그 근거를 말해 볼까요? 저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공부하면서 그 혁신성 때문에 잠을 설칠 정도였습니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여기서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누구나 돈을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어떻게 해서 이런 결론에 도달 할 수 있을까요? 돈이란 ‘믿음’을 기초로 합니다. 이를테면 만 원짜리 종이돈을 만든다고 할 때 거기에 든 실제 값은 얼마가 될까요? 해마다 다르겠지만 기껏 천원 남짓 할 겁니다. 그런데도 만원이라는 값으로 거래가 되는 것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믿음 때문입니다. 그 차액인 9000원에 해당하는 이득을 누가, 어떻게 보는가를 따져 묻는 이는 드뭅니다. 그러다가 은행이 파산한다거나 금융위기를 겪게 되면 이 믿음이 급속히 흔들립니다. 쉽게 말해 돈이 똥만도 못되는 상황이 오거든요. 똥은 거름이라도 되잖아요. 그러다보면 사람들은 금과 같은 현물로 쏠립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는 이 부분을 혁신적으로 해결합니다. 돈을 중앙은행과 같은 권력 기관이 아니라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찍어 낼 수 있게 한 거지요. 그러면서도 거래에 따른 믿음은 더 크게 한 거니까요. 그렇다면 실제 이게 얼마나 가능할까? 저 개인의 현실에서는 막연했습니다. 제가 채굴기를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암호를 풀 실력은 더욱 안 되는데....
그러다가 스팀잇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돈을 벌자고 가입한 건 아닙니다. ‘블록체인이라는 시스템이 실제 어떻게 굴러가나?’ 이 부분이 가장 궁금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란 이를 받아들이기에 따라 다양한 기회를 또 다시 얻을 수 있으리라 보거든요.
저는 아직 뉴비라 모르는 것 투성이지만 이 글 제목에 맞는 이해를 어느 정도 한 거 같습니다. 제가 여기서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세세한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영감입니다. 자, 어디 봅시다. 두 가지로 나누어 이야기할 수 있겠네요.
첫째, 스팀잇에서는 모두가 생산자입니다. 채굴자도, 창작자도, 큐레이터도 다 생산자입니다. 모두가 생산을 함으로써 플랫폼이 굴러갑니다. 게다가 창작자에게 가장 높은 비율이 배분된 걸 보면 스팀잇 생태계는 생산자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건 누구나 보상을 받는 구조라는 겁니다.(보상 방식이 불공평하다며 따지고 드는 것은 이 글 주제와는 다른 부분입니다.)
채굴자나 창작자가 생산자라는 건 쉽게 이해가 되나 큐레이터마저 생산자라면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분도 있으리라 봅니다. 생산의 개념을 좀 넓게 가지면 좋겠습니다. 저는 이 곳 생태계가 선순환 하기 위한, 소중한 생산자로 봅니다. 창작자를 격려하거나 적절한 조언을 함으로써 공동체에 기여를 하는 거지요. 그러니까 큐레이터는 개별 생산자 개념보다 공동체 생산자 개념이 더 맞지 않나 싶습니다. 투자자 역시 생산에 기여하니 넓은 뜻에서 생산자라고 해도 되겠지요? 그리고 현실에서는 창작자, 큐레이터, 투자자가 딱히 나누어지는 게 아니잖아요. 길게 보자면 이 셋은 사실 하나라도 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자신의 지갑에 0.01스팀달러만 갖고 있더라도 투자자인 거니까요.
둘째, 스팀잇에서는 중간자가 없으며, 모두가 재생산자입니다. 보통 돈벌이는 중간 고리가 존재합니다. 그게 직장이나 시장일 수 있습니다. 일(생산)을 하고, 그 결과물을 시장에 내어놓으면 소비자가 사게 됩니다. 더 많이 팔기 위해 광고라는 게 끼어들기도 합니다. 그 과정에서 다툼이 생기면 법이 중재를 합니다.
하지만 스팀잇에서는 소비자가 없습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모두가 생산자이기에 만일 ‘소비’를 한다면 그건 재생산을 위한 투자일 뿐입니다. 이걸 쉽게 이해하려면 화폐 발생의 바로 전 단계인 원시 물물교환을 떠올리면 됩니다. 그 사회에서는 ‘소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삶에 꼭 필요한 걸 생산하고, 자신이 미처 생산하지 못한 것과 바꿉니다. 재생산을 위한 ‘온전한 투자’가 됩니다.
그런데 여기 스팀잇에서는 물물교환을 넘어, 획기적인 도약을 합니다. 도약을 넘어, 혁명이라 해도 좋으리라 봅니다. 물물교환과 크게 다른 게 하나 있거든요. 물물교환에서는 교환이 끝나면 본래 가지고 있던 자신의 물건은 이제 더 이상 내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보세요. 스팀잇에서는 자신의 것은 그대로 있으면서 나눔은 열 번, 백 번, 만 번 그 이상도 가능하다는 겁니다. 많이 나눌수록 자신의 것은 더 커지게 됩니다. 콘텐츠를 올리는 사람마다 ‘리스팀’을 바라는 이유가 되겠지요. 게다가 블록체인 방식이라, 나눌수록 자신의 소유권이 더 공고화됩니다. 리스팀을 많이 받은 콘텐츠는 표절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야겠지요?
스티미언이 백만을 넘어, 천만 그리고 일억일 때를 상상해봅시다. 가슴 뛰지 않나요? 때문에 우리는 콘텐츠 하나를 올릴 때마다 70억 인류 전체와 같이 나눈다는 마음이 꼭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돈벌이란 말도 바꾸어야겠습니다. 아니, 우리를 괴롭히던 돈벌이란 말을 아예 버립시다. 우리를 지겹게 하던 ‘밥벌이’란 말도 버립시다. 이 참에 새로 말을 하나 만들까 합니다. 뭐가 좋을까요? ‘돈만이’, 돈을 만드는 사람. 아니면 ‘돈주인’, 누구나 돈을 만들어낼 수 있으니까요. 돈벌이는 돈이 주인, 돈주인은 사람이 주인입니다.
다시 강조하면서 마치겠습니다.
돈은 버는 게 아니라 만드는 것.
우리 모두 돈을 만들고,
그 돈의 주인이 됩시다.
Interesting post.
Thank you.
동의 합니다. 그런데 저는 돈을 벌러 왔네요.ㅋ busy 태그 쓰시면 0.3정도 받아요
고맙습니다. 돈벌이에 조금이라도 도움 되시라고 보팅합니다 ㅋ
감사합니다 그럼 저도 ^*
공감합니다. "우리의 돈은 우리가 만든다!"
같이 만들어가요^^ 고맙습니다
정말 탁월한 통창력이시네요. 저도 '블록체인 혁명'이라는 책을 보면서 마음이 얼마나 설렜는지 모릅니다. 깊은 통찰력을 나눠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스팀해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저도 그 책을 보고나서 너무 설레이어, 블록체인 공부 모임을 꾸린 적이 있습니다. 닉네임이 참 좋습니다. 저도 팔로하며 배우겠습니다.^^
와...스타디까지...대단하십니다. 전 하고 싶었는데...결과적으로 못했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글 이네요. 팔로우와 업보팅(미약합니다.ㅜ.ㅠ) 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저도 플랑크톤이라 보팅이 미약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팔로우 하고 가요^^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댓글 보고 놀러왔습니다^^
저도 돈좀 만들고 싶네요ㅋ
반가워요. 어느 새 제법 돈을 만드셨네요^^ 앞으로 같이 만들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