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지드 OLED | 커브드 OLED | 폴더블 OLED |
---|---|---|
커버윈도우(유리) | 커버윈도우(유리) | CPI |
편광필름 | 편광필름 | 편광필름 |
터치센서 | 터치센서 | 터치센서 |
봉지(유리) | 박막봉지 | 박막봉지 |
R G B | R G B | R G B |
TFT기판(유리) | TFT기판(PI 바니쉬) | TFT기판(PI) |
베이스 필름(PET) | 베이스 필름(PI) |
현재까지의 OLED 종류는 리지드타입과 플렉시블타입인 커브드, 폴더블이 있는데
리지드는 딱딱한 커브드는 곡선의 폴더블은 접을수 있는 이런 의미를 내포하고있습니다.
현재 리지드 OLED는 누구나 구현 가능하고 (대표적으로 중국 스마트폰)
커브드OLED는 기술력 때문에 삼성이나 LG 애플 등 소수기업밖에 못하는 기술력 입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가 대표적인데 커브드 공정으로 넘어오면서 기판자체가 잘 휘어져야 합니다.
그에따른 유리 대체재로는 PI (폴리이미드)라는 필름인데 플라스틱 소재이면서도 열에 강하고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판 자체를 액체상태의 PI 바니쉬(액체상태의 폴리이미드)로 대체해야 합니다.
PI 바니쉬는 일본업체인 에스유머트리얼즈가 독점하고 있다.
허나 SKC코오롱PI이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올 9월해 준공 예정입니다.
폴더블은 더 낳아가서 앞에있는 커버윈도우를 기존에 있는 유리에서 유리처럼 투명하고 강도가 세면서 수십만번 정업다 펴도 흠집이 나지 않는 소재인 CPI 필름으로 대체합니다.
CPI 필름의 정확한 해석은 기존의 PI 필름의 내열성과 기계물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단점인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질과 원래색인 황갈색을 제거한 필름 입니다.
이필름은 폴더블에 꼭 필요한 소재입니다.
현재 코오롱 인더스트리 SKC가 최초로 올해 양산할 예정입니다.
Cheer Up!
We need a steemit language translation to easily understand posts globally. Not so @kongkakku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팔로우 꾸욱.
반갑습니다 글 잘읽었어요~
팔로우&보팅하고 갑니다~^^
시간나시면 맞팔 부탁 드릴께요!
CPI필름에 대한 기대가 큰 것 같습니다만 폴더블이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겠네요;; @홍보해
폴더블은 나오죠 안그러면 기술 발전이 없는걸요
3D 낸드 플래시가 앞으로의 미래 기술이고 꼭 필요한 기술처럼 폴더블도 OLED 기술이 더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 이라고 생각 됩니다.
cpi 의 내구성이 궁금해지네요..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