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스테이크 및 램 마켓에 대한 도면과 간단한 설명

in #kr7 years ago

아래 그림은 블록원의 토마스 콕스가 제공한 컴퓨팅 자원을 위한 마켓 및 스테이크 과정을 보여줍니다.

자원 스테이트 방법.jpg

EOS 코인이 자신의 계정에 들어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스테이크가 안된 상태(Liquid/Unstaked), 즉 이체가 가능한 상태이다. 이것은 스팀잇에서 스팀코인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 EOS 홀더는 1) 램 마켓에 램을 구매하거나 또는 2) CPU/Network에 각각 CPU와 네트워크를 스테이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램 마켓에 램을 구매/판매하면 각각 1%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즉, 램은 램 시장에서 팔고 삽니다. 따라서 팔 때 가격이 오르면, 돌려받는 코인의 수가 증가합니다.
이와 달리, CPU/Network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홀더가 이들에 각각 EOS 코인을 스테이크해야 합니다. 이를 언스테이크(unstake)하면, 스테이크했던 동일한 EOS를 돌려받지만, 3일간의 락업기간이 있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동결 기능으로 언스테이크를 한 후 3일 후에 한번에 돌려주는 것입니다.

만일 홀더가 CPU와 Network에 각각 10 EOS를 스테이크하면, 이를 합한 20 EOS에 대한 투표권이 생깁니다. 이것으로 BP 투표에 참여하여 최대 30명까지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EOS는 수수료는 없지만, 홀더가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자원에 스테이크를 해야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스팀잇과 같습니다. 스팀잇의 경우 스팀파워에 일정한 스팀코인이 있어야 보팅, 글쓰기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즉, 특정 기간동안 보팅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은 스팀파워의 코인수에 따라 정해집니다.

이와 같이 EOS에서 자원을 사용하(거래를 발생시키)려면, CPU와 네트워크에 일정한 EOS 코인을 스테이크해 놓아야 합니다.

추측하기로는, EOS에서 홀더가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RAM도 아주 조금을 구매를 해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초기 메인넷을 런칭의 단계인 ABP(Appointed BP) 단계에 계정에 코인을 입금되면, 자동적으로 0.1 EOS는 램을 사고, 나머지는 50%씩 CPU와 네트워크에 스테이크되기 때문입다. 이 스테이크된 코인으로 BP 투표에 참여를 합니다.

Sort: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항상 노드원 응원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만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1. 그럼 투자자들이 BP투표에 참여하게 되면 다시 투표에 참여했던 이오스를 활용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스테이킹에 참여하고 투표를 하게 되면 자동으로 출금 및 자산 이동이 막힌다고 알고 있습니다.

3일 뒤 인가요? 3개월 후인가요?

  1. 이오스 홀더들이 bp들에게 투표하는 것처럼 자신이 원하는 댑을 투표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동일한 원리인가요?
    댑들은 어디 공개되고 어디서 투표 가능한가요?
    이 과정이 나와있느 링크 있으면 참고 할 수 있을까요?

  2. 6월 2일 23:59분이 되면 BP 투표가 가능한 사이트가 등장하나요?

감사합니다!
풀보팅 드렸습니다^^

  1. 스테이트는 CPU와 네트워크에 할 수 있고, 이들은 3일 후에 한번에 돌려줍니다.
  2. 초기 EOS 백서에서는 홀더들이 댑에 투표를 해서 상위 3위에 든 댑에게 보상하는 것이 포함되었지만, 그 뒤의 백서에는 이 내용이 삭제되었습니다. 따라서, 댑에 투표를 해서 보상하는 것은 없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3. 몇몇 대형 거래소에서 BP 투표가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 홀더들이 메인넷을 런칭하기 위한 투표를 하기는 현재 힘든 상태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메인넷을 설치 후 일반 홀더들이 투표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