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세계(한국)경제 성장전망

in #kr5 years ago

경제협력개발기구는 경제전망보고서에서 기후변동과 기술 등 시스템 문제, 무역관련 분쟁은 세계경제 질서의 커다란 이동이며 통화와 재정정책만으로는 일시적 처방이 어려움을 강조한다. 한편 세계경제는 경기침체보다 구조문제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무역분쟁 등 다수 Risk가 억제됨을 가정하여 내후년(2021년)에는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위 그림은 참고용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세계경제 전망을 나타냄.

  • 세계경제의 성장률 전망

위 그림에서 보듯이 OECD 즉 경제협력개발기구는 올해 세계경제의 GDP성장률 전망을 2.9%로 유지한다. 그리고 내년도 전망은 기존 3.0%에서 0.1% 내린 2.9%, 2021년은 3.0%이다. 전기(前記)한 세계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는 세계 금

융위기 이후 10년 만의 최저치로서 美中무역분쟁 등을 주요 요인으로 분석한다. 2018년부터 시작된 美中무역 분쟁이 지속되면서 세계교역은 작년 3,7%에서 올해 1.2%로 위축(萎縮)된 이후 내년은 1.6%, 2021년은 2.3%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한편 OECD는 각국 정부들이 투자를 되살리는 역할을 중앙은행에 맡겨놓고 있음을 지적하며 기후변화, 경제의 디지털화, 탈(脫)냉전 이후 출현한 다자간 질서의 붕괴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주문한다.

  • 주요국가의 성장률 전망

주요국별 전망치로는 미국의 올해 GDP(국내총생산)성장률이 지난 9월보다 0.1% 내린 2.3%에 그치고, 내년에는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금리인하는 경기하방 시에만 정당화된다고 평가한다. 중국은 올해 6.2%, 내년 5.7%로

2019년 수치를 이전보다 0.1% 올리지만 무역마찰과 내수주도 성장의 구조변화로 2020~21년에는 5%대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한다. 인도는 올해 5.8%, 내년 6.2%로 전망한다. 유로 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은 올해 1.2%, 내년 1.1%로 모두 이전보다 0.1% 올리지만 ECB(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 완화로 투자확대

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국은 올해 1.2%, 내년 1.0%로 브렉시트(Brexit, 유럽연합 이탈) 위험이 약화되면서 2019~20년 GDP성장률을 9월에 비해 모두 상향조정한다. 일본은 올해 1.0%, 내년 0.6%로 전망한다. 한편 Global 투자은행

(IB)인 골드만삭스는 세계경제 및 아시아지역 전망보고서에서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올해(3.1%)보다 0.3% 높은 3.4%로, 아시아/태평양지역 GDP성장률을 4.9%로 전망하면서 무역관련 갈등의 해소와 금융완화 기조로 지난해(2018년) 초반부터 이어진 세계경제의 성장둔화가 조만간 종료될 것으로 분석한다.

  • 한국경제의 성장률 전망

위 그림에서 보듯이 올해 한국경제의 GDP성장률 전망치(2.0%)를 소폭 하향 조정한다. 이는 지난 9월 경제전망치 2.1%보다 2개월 만에 0.1% 낮춘 것이다. 그리고 내년과 내후년 성장률은 올해보다는 높은 2.3%로 예상한다. 이는 올해와 내년 모두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추정한 잠재성장률(2.5~2.6%)에 못 미치

는 수치다. 정부의 확장적인 재정정책을 높이 평가하는 한편 완화된 통화정책이 추가적으로 나올 것으로 예측한다. 참고로 OECD는 지난해 11월 경제전망에선 한국경제의 2019년 경제성장률을 2.8%로 전망하지만 올해 5월 2.4%, 9월 2.1%로 차례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한국경제 관련 목표(2%)에 미달하는

낮은 물가수준과 내년엔 GDP의 1.2% 수준인 재정부양책이 예정된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내년에 추가적으로 완화책(금리인하)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OECD

상위 50% 국가의 절반수준에 불과함을 지적하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골드만삭스 올해와 내년의 한국경제의 실질 국내총생산 경제성장률을 각각 1.9%와 2.1%로 제시한다. 내년도 전망치는 지난 8월 발표한 2.2%보다 0.1% 낮은 수치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19년 대비 다 낮아지는데 우리나라만 내년이 올해보다 올라가는게 고무적이네요.

정부지출이 늘어나서죠. 방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