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모델 알아보기 1탄: 공감형, 양성형, 동기부여형>

in #kr7 years ago (edited)

스팀 커뮤니티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에 얘기했던 원조를 목적으로 한 타국 거주 모델과 마찬가지로, 비영리 단체 운영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모델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바로 비영리 단체의 재정 모델 구축입니다.

수많은 단체 중, 정부,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비영리 단체들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굉장히 다양한 재정 방법으로 운영되는 비영리 단체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른 누군가에게 원조를 지원하려고 한다면, 재정 흐름의 중요성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러다 보니 저희 런(RUN)에서 추구하는 것처럼, 전 세계의 비영리 단체들도 지속 가능성에 대해 많은 토론을 하고 있습니다. 익숙하실 테지만, 이번 기회에 현재 존재하는 비영리 단체들의 재정 모델들에 대해 알아보고 대화해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비영리 단체 재정 모델은 크게 10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오늘은 가장 흔하게 보이는 3가지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1

첫 번째는 공감형입니다. 공감형에 속하는 비영리 단체들은, 모든 소득 수준의 많은 사람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기존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 관심사들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자금 조달을 해나가는 것이 모델입니다. 예를 들자면, 한국에서는 ‘사랑의 열매'로 잘 알려진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있습니다. 다른 공감형과 마찬가지로, ‘사랑의 열매'는 어려운 이웃들을 돕고 지원하고 싶어 하시는 많은 분을 연결해주며 기부금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2

두 번째는 수혜자 양성형입니다. 이 부류에 해당하는 비영리 단체는, 특정 개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상환 및 추가 기부를 통해서 받습니다. 특정 서비스의 혜택을 과거에 받은 사람들에게 의존하는 게 특징입니다. 특성상, 대학교나 병원이 좋은 예입니다. 학교에서 장학금을 받거나 혜택을 받고 졸업한 학생들이 나중에 학교 기금에 기부하는 식처럼, 혜택이 순환되는 시스템이 바로 이 부류에 해당합니다.

#3

세 번째는 회원 동기부여형입니다. 이러한 비영리 단체의 회원은, 문제 해결 및 집단적 이익 창출을 위해 기부하게 됩니다. 여기서 대부분의 문제는, 회원들의 일상에 큰 영향을 주는 문제들입니다. 이미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같은 단체를 찾아, 함께 지원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거나 지원하는 것이 운영 방법입니다. 동기부여형의 예를 찾아보자면, 미국에서 존재하는 야생 칠면조 보호 단체입니다. 이 단체는 야생 칠면조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유가, 더욱 중요한 목적인, 야생 칠면조 사냥을 조장하기 위해서입니다. 대부분의 회원이 칠면조 사냥꾼들이며, 이들은 단체의 활동에서 즉시 공동 이익을 얻다 보니 동기 부여 및 단체에 대한 충성심이 높은 편입니다.

<야생 칠면조 보호 단체 (National Wild Turkey Federation) 로고>

오늘은 이렇게 3가지 종류에 관해 얘기한 걸로 마칠게요~ 생각해보지 않으셨다면, 한번 주변의 비영리 단체들을 떠올려 보며 배워가는 건 어떨까요? 오늘 이야기했던 3가지 부류의 예는 또 어떤 단체들이 있을까요? 답글로 알려주세요!

이야기는 계속됩니다..

Homepage
RUN USA
RUN Korea

SNS
RUN USA Facebook
RUN Korea Facebook
RUN Korea Instagram

Sort:  

오 저도 이런 사업에 관심이 있어요. 비영리 단체의 운영에 관심이 많은데 이런 단체들은 블록체인 기반 코인을 만들면 자금운용에 더 쉽지 않을 까요. 관심있는 사람들이 꽤나 많을 거고, 자금운용도 투명하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솔직히 비영리 단체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한번 생각해볼 필요는 있겠군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면 투명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명확한 시스템 구축과 적절한 운영비 구성도 가능해 보입니다.

필리핀에서는 가끔 유치원에서 하는 행사가 있는데요
장애 단체가 와서 초상화나 원하는 그림을 그려주고 그 자리에서 경매를 하여 수익을 창출하더군요~
아이들에게 교육도 되고~ 도움도 줄 수 있는 행사입니다 ^^

재정모델이 어떻든 많은 고민을 하고 고민해서 최적의 모델을 만들었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부자들 입장에서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기부금이 어떻게 투명하게 쓰여지는지...(운영비 포함)

그 기부가 어떤 의미있는 결과로 도출되었는지가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

그 돈이 가장 이상적인 방향으로 쓰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만들어진다면 그 조직은 더 신뢰받게 되겠죠.
(사람의 도덕성은 항상 도전받게 되어 있습니다.)

@runorg님께서 한번 이 주제로 posting해 주신다면 너무 기쁠거 같습니다.^^

비영리단체의 형태는 아마 목적에 따라서 다르지않나 싶네요
여러사람을 한번에 도울때와 한사람만 도울때
그리고 많은힘이 필요할때 와 몇사람의 도움이 안필요할때 등등..
다른예는
네이버에서 생긴포인트로 기부를 할수있는 형태등도 있겠네요 :)

왠지 우리나라 단체들은 너무 베일에 싸인거 같은 느낌입니다
앞으로는 좀더 투명해졌으면 하는 바렘입니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하고 팔로우하고 가겠습니다
맞팔 부탁 드릴게요 ㅎ

나는 한국의 복지재단들이 좀 더 투명했으면 좋겠습니다

시작하는 방법?
나는 조금 혼란 스럽다.

다음 이야기도 기대하겟습니다
편안한밤 되세요^^

Okay mr @runorg, great article, best, iam so be support to you... Bravo mr, help me, to vote me please

잘 읽었습니다

글 감사합니다!

첫번째로 생각할 만한 공감형이 중요하다생각합니다.
좋은글 잘보았습니다!

Hmm I always visit @runorg blog
Because I like the post.
Thank you

Congratulations @runorg, this post is the third most rewarded post (based on pending payouts) in the last 12 hours written by a Superuser account holder (accounts that hold between 1 and 10 Mega Vests). The total number of posts by Superuser account holders during this period was 1526 and the total pending payments to posts in this category was $13342.72. To see the full list of highest paid posts across all accounts categories, click here.

If you do not wish to receive these messages in future, please reply stop to this comment.

The fed, like the creature it is (from Jekyll Island you can say) will probably strike out like as a wounded animal would if attempts are made to bring it down.

You can already see them doing this in attempt to either bring down or control crypto currencies. You can also see this in how (through large banks in their system ) they keep gold and silver from moving as it would normally otherwise do. Lastly you can also see this in the bank policies that continue to Ben implemented that are geared towards moving into a cashless society.

투명하게 잘 운영되는곳이 어떤곳인지 알고싶어용 ..

고맙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첫번째 경우가 제일 많이 보는 형태인것 같아요! 투명성 보장이 가장 중요하기도 하구요.
3번째 예시인 NWTF는 와우.... 사냥을 조장하기 위해서 보호한다는게 참 아이러니하네요.

저는 후원에 의존하는 비영리단체보다는 공익의 목표를 갖는 영리단체가 더 좋다고 봅니다.

비영리 임의 단체는 재정도 그렇고 지속성도 그렇고 어려운 점도 많고 잘만 운영되면 사회의 큰 활력소가 될 수 있죠.. 올라오는 포스팅을 잘 읽고 비영리 단체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글쎄요.
취지는 좋지만, 아주투명하게 해야하지 않을까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