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세 군인

in #kr6 years ago

<제주도의 세 군인>
4.3 기념 <딸에게 들려주는 역사 이야기> 리바이벌

.
오늘은 네게 참 하기 힘든 얘기를 들려줘야겠구나 1948년 4월3일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 반대를 외치는 제주도민들이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무장봉기라고 하지만 무장은 빈약하기 이를 데 없었어. 구식 일제 소총 27자루, 권총 3정과 죽창이 그 ‘무장’의 전부였으니까. 실제 봉기에 참가한 이들도 수백명에 불과했어. 그나마 공산주의 이념에 충실한 이들은 소수였고 미군정의 그릇된 행정과 경찰들의 만행에 분노한 제주도민이 대부분이었지.
.
이 사태를 꿰뚫어본 사람이 있었어. 제주도 주둔 9연대장 김익렬 중령. 그는 4·3을 이렇게 파악했어. “이는 미군정의 감독 부족과 실정으로 인해 도민과 경찰이 충돌한 사건이며 관의 극도의 악정에 견디다 못한 민이 최후에 들고일어난 폭동이다.”
.
4·3 이전부터 미군정은 육지의 경찰대는 물론이고 좌익이라면 이를 갈아붙이는 북한 출신 월남민으로 구성된 서북청년단을 제주도에 투입했고 이들은 가혹한 진압으로 제주도민들에게 원성을 사고 있었거든.
.
특히 서북청년단의 만행은 상상을 넘어섰어. 그들에게 ‘빨갱이’란 곧 악마였고 제주도는 악마의 섬 같은 곳이었단다. 대부분 개신교인이었던 서북청년단원들은 “하나님!”을 부르짖으며 사람의 몸에 죽창을 꽂고 산 채로 불태우는 악행을 태연하게 자행했어. 공산주의의 기역자도 모르는 제주도민이라도 그들의 만행 앞에서는 치를 떨 수밖에 없었지.
.
미군정은 무장봉기를 즉시 진압하라고 명령하지만 김익렬 중령은 제동을 건다. “극렬분자는 200~300명에 불과한 만큼 화평 선무 귀순 공작을 펴보고 그 뒤에 토벌해도 늦지 않습니다.” 그뿐 아니라 그는 실로 대담한 ‘선무 귀순’ 공작을 펼친다. ‘인민유격대’ 사령관이라는 김달삼을 직접 만나기로 한 거야.
.
1948년 4월28일 오후 1시 제주도 주둔 국방경비대 최고 지휘관 김익렬은 운전병과 장교 한 사람만 거느리고 인민유격대가 지정한 회담 장소로 향해. 5시간의 밀고 당기는 협의 끝에 그들은 즉각적인 전투 중지, 무장해제 및 투항, 범법자 명단의 자발적 제출(명단 외의 사람은 수사와 처벌 대상에서 제외) 등 파격적인 합의를 끌어냈어. 이 약속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김익렬 중령은 또 한번 결단을 내린다.
.
“내 가족을 인질로 삼으시오.”
.
그러자 인민유격대 사령관 김달삼은 이렇게 대답한다. “노인을 산중에 머물게 할 수는 없으니 우리 무장대가 감시할 수 있는 민가에 머물도록 하시오.”
.
이 협상이 순조롭게 이뤄졌다면 제주 4·3은 소수 희생자를 낳았던 며칠간의 소요 사태로만 역사에 기록됐을지도 몰라. 공권력에 맞서 일어선 이들일망정 궁극적으로 자신이 보호해야 할 대상임을 포기하지 않았던 국군 지휘관과, 무기를 들었을망정 최악의 사태는 피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이는 인민유격대 사령관은 제주 바다를 바라보며 술잔을 나눴을지도 모르지. 그러나 그 평화를 못마땅해 하는 사람들이 있었어. 좌익들과의 평화란 있을 수 없으며 그들을 근절해야 진정한 평화가 온다고 믿는 이들이었지.
,

5월1일 오라리(里)라는 마을에 방화가 일어나 민가 10여 채가 불탔어. 경찰은 좌익들의 소행이라고 우겼지만 김익렬 중령 측의 조사 결과 우익 청년단이 경찰의 비호 아래 저지른 짓이었지. 또 봉기에 가담했다가 평화 협상에 따라 마을로 복귀하던 이들이 총격을 받는 일도 벌어졌어. 이것도 경찰과 우익의 소행이었는데, 미군정은 이를 무시했어.
.
미군정은 김익렬 중령을 제주 주둔 국방경비대 9연대장에서 해임하고, 9연대도 11연대에 편입해버려. 이 11연대장으로 새로이 부임한 사람이 박진경 중령이라는 군인이었어. 김익렬과는 달리 박진경 중령은 미군정과 공권력에 저항하는 이들은 물론 그들에게 동조하는 이들 모두를 적으로 돌려버리는 사람이었지. 그의 취임 훈시는 이랬다. “대한민국의 독립을 방해하는 제주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서는 제주도민 30만명을 희생시켜도 무방하다.”
.
군인 특유의 과장된 표현을 감안하더라도 그의 말은 엄청난 살기를 띠고 있었지. 그는 행동으로 자기의 취임사가 과장이 아니었음을 증명했어. “폭도와 구분이 애매하기 때문에” 한라산 중턱의 중산간 지역 주민들을 쓸어 담다시피 체포해버렸으니까. 부임한 지 불과 한 달 열흘(1948년 5월6일~6월18일) 만에 10대와 부녀자 그리고 노인들인 ‘포로’가 무려 6000여 명에 달했다고 해. 제주지구 미군 책임자 브라운 대령에 따르면 “제주도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휩쓸어버리는 작전”이었지.
.
“경비대의 힘을 과시함으로써 일반 민중에게 두려움을 심어주고, 유격대와 그들을 분리시켰으며 유격대를 더욱 깊은 산속으로 몰아넣었다는 점에서는 성공이었다. 그러나 그의 작전은 민중이 그때까지 갖고 있던 경비대에 대한 상대적 호감을 반감으로 전환시켰으며, 경비대 내부를 동요시켰고, 유격대에게 경비대도 경찰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적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더 큰 대립과 갈등을 불러일으켰다(박명림, <제주 4·3 민중항쟁 초기 전개 과정에 관한 고찰>).” 미군정은 박진경에게 대령 계급장을 달아주며 공로를 치하해. 박진경 대령은 제주도 유지들과 거창한 진급 축하연을 벌이고 크게 취해서 부대로 돌아와 잠들었는데 다음 날 아침 그는 깨어나지 못했어. 휘하 3대대장 문상길 중위 등 부하들이 그를 암살해버린 거야.
.

박진경 대령을 암살한 이들은 남로당, 즉 남조선노동당의 조직원들로 알려져 있어. 하지만 주범이라 할 문상길 중위는 독실한 개신교인이었어. 즉 최소한 유물론을 받아들인 공산주의자는 아니었다는 얘기지. 하지만 그는 자신이 지켜야 할 국민을 적으로 몰고 그 삶의 터전을 초토화해버린 공로로 승진한 상관을 용서하지 못했어. 그의 최후진술을 들어보자.
.
“우리와 박진경 연대장과 이 자리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저 세상 하나님 앞에서 만나게 될 것이다. 이 인간의 법정은 공평하지 못해도 하나님의 법정은 절대적으로 공평하다.” 문상길은 사형선고를 받고 처형된다. 대한민국 성립 후 사형 1호였어.
,
4·3의 폭풍이 몰아치던 제주도에 있었던 세 군인의 삶과 죽음을 곱씹어보자. 그들의 행적은 이후 우리나라가 맞닥뜨려야 했던 상황과 얼추 비슷해. 해방 공간을 장악했던 것은 결국 우리 편 아니면 죽여야 할 적이라는 극단적 논리였어.
.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희생도 불사할 수 있고 그에 반하는 이들을 악마로 몰아 전멸시킬 수도 있다고 살기등등했던 세력과, 그 반대편에서 그들을 타도하자고 부르짖던 세력이 자석의 양극처럼 버티고서 있었어.
.
엉거주춤 주변에 널려 있던 보통 사람들은 자력에 휩쓸리는 쇳가루처럼 양극 주변으로 빨려 들어갔지. 김익렬처럼 양극의 중간에서 조율해보려던 이들은 설 곳을 잃었고 끝내 박진경과 문상길처럼 죽고 죽이는 참극으로 치달았단다.
.
제주도에서만 수만명이 죽어갔고, 한반도는 전면전이라는 끔찍한 운명을 맞이하게 됐던 거지. 우리가 4·3을 제주도에 국한된 사건으로 기억해서는 안 되는 이유야. 우리가 4·3을 처절하고도 철저하게 돌아봐야 하는 까닭이란다.
.
이에 더하여 가장 중요한 것. 1948년 4·3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자신이 돌보고 지켜야 할 국민들을 팽개치고 학살했던 범죄를 저질렀음을 인정해야 해.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이고 인간의 존엄성을 근간으로 한 민주주의 국가라면 과거와 마주하고 머리 숙이는 일에 게으르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야.

사진 맨 오른쪽이 김익렬 중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