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enta 데일리 뉴스 - 4월 12일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날마다 새로운 소식들로 가득한 블록체인 세계의 흥미로운 해외/국내 뉴스를 요약하여 전해드리는 Talenta 데일리 뉴스입니다. 

4월 12일 Talenta 데일리 뉴스

 

1. 하버드 기부금 운용하는 HMC, 블록스택 토큰에 투자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기부금을 운용하는 ‘하버드매니지먼트컴퍼니(Harvard Management Company, 이하 ‘HMC’)’가 암호화폐에 투자했다. HMC는 2018년 6월 30일 기준 392억달러(44조7,350억원)의 기부금을 운용하고 있다. HMC가 투자한 암호화폐는 ‘블록스택(Blockstack)’이라는 스타트업의 토큰이다. 더불어, 11일 블록스택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에 토큰 판매 승인 신청을 받기 위해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찰리 사라비아(Charlie Saravia) HMC 상무이사가 블록스택 토큰 판매 자문위원회의 대표를 맡았다. 정확한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HMC를 포함해 럭스캐피털, 파운데이션 캐피털 등 3개 기관이 구매한 블록스택 토큰은 총 9,583만 개로, 이는 약 1,150만달러(한화 약 131억)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투자에 대해 언론들은 기관투자자들이 주요 암호화폐가 아닌 ‘마이너’ 토큰에도 투자하는 등 암호화폐 투자 위험을 감수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블록스택 측은 자사가 미국 연방증권법상 ‘Reg A+’ 조항을 통한 합법적 토큰 판매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투자 유치에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디센터]

중요도: ✩✩✩✩✩

https://www.decenter.kr/NewsView/1VHU53RMWB/GZ02


2. 미국 의원 21인, 국세청에 암호화폐 세금 신고 지침 요청 서한 보내

미국 하원의원 21명이 이달 15일 소득신고 마감을 앞두고 국세청(Internal Revenue Service, 이하 ‘IRS’)에 암호화폐 신고를 진행하기 위한 분명한 방안을 제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의원들은 공동 서한을 통해 “신생 자산 유형에 대한 과세 방침 중 모호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하며 IRS가 더 명확한 세금 산출 방식과 신고 요건 등의 지침을 제공해줄 것을 촉구했다. 앞서 2014년 IRS는 암호화폐 관련 세법에 대한 지침을 발표한 적 있으나 그 이후 암호화폐 공간에서 일어난 포크 등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이에, 서한은 암호화폐 관련 세법과 관련하여 명확성을 가려야 할 부분이 많이 있지만 우선 암호화폐 원가기준 산출, 요율 및 하드포크와 같은 특수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번에 서면을 작성한 하원의원들은 IRS가 관련 지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서면 답변을 5월 15일까지 줄 것을 요청했다. 

[출처: 토큰포스트]

중요도: ✩✩✩✩

https://tokenpost.kr/article-7756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의 미래’ 책자 발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블록체인 기술이 향후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논의한 결과를 담은 ‘블록체인의 미래’ 책자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소개, 국내외 기술정책 동향과 향후 블록체인 기술이 미칠 영향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서술한 이번 책자는 "가상통화 투자에 대한 거품이 걷힌 지금이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에 집중할 때이다"면서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이에,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들로 블록체인 산업의 각종 참여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협업 환경,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Blockchain as a Service, BaaS)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플랫폼 및 5G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위한 공공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이나 인력 재교육 방안 마련 등을 들었다. 또한, 해당 책자는 세계 각국의 블록체인 기술 진전 수준에 대해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라고 평가하며, 미국의 기술수준을 100%로 봤을 때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76.4%이며, 기술격차는 2.4년이다. 우리나라를 제외한 주요국들의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과의 기술격차는 유럽 0.5년, 일본 1.3년, 중국 1.8년이다."라고 진단했다.

[출처: 코인리더스]

중요도: ✩✩✩✩

http://www.coinreaders.com/3918


4. 서울시, 올해 블록체인 행정서비스 6개 추가 개발

서울시가 이달부터 시작해 올해 안에 6개 분야의 블록체인 기반 행정 서비스를 확대 개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에 따른 것으로, 서울시는 오는 2022년까지 총 14개의 블록체인 기반 행정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며 앞서 지난 3월 블록체인 기반 투표 시스템 ‘엠보팅’과 장안평 중고차 시장 매매 시스템 운영을 시작한 바 있다. 이번에 추가로 블록체인 서비스가 개발될 분야는 서류 없는 온라인 자격검증, 마일리지 통합 관리, 서울시민카드 서비스 확대, 시간제 노동자 권익 보호,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민주주의 서울 등이다. 서울시는 현재 서류 없는 온라인 자격검증, 마일리지 통합 관리, 서울시민카드 서비스 확대 등 세 가지 서비스 개발을 위한 입찰 공고를 진행 중이며 4월중 사업자를 선정해 10월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과 민주주의 서울 등의 서비스 개발은 하반기에 별도 추진한다. 2019년 국가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으로 선정돼 4월 개발에 착수한 ‘시간제 노동자 권익보호’는 오는 10월까지 개발을 완료한다.

[출처: 코인데스크 코리아]

중요도: ✩✩✩✩

https://www.coindeskkorea.com/%EC%84%9C%EC%9A%B8%EC%8B%9C-%EC%98%AC%ED%95%B4-%EB%B8%94%EB%A1%9D%EC%B2%B4%EC%9D%B8-%ED%96%89%EC%A0%95%EC%84%9C%EB%B9%84%EC%8A%A4-6%EA%B0%9C-%EC%B6%94%EA%B0%80-%EA%B0%9C%EB%B0%9C/?utm_source=blockchainhub&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link&utm_content=article


5. 업비트, "암호화폐 거래량 세계 3위ㆍ국내 1위"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블록체인 투명성 연구소(Blockchain Transparency Institute, 이하 ‘BTI’)가 공개한 4월 암호화폐 거래소 마켓 리포트에서 거래량 기준 글로벌 3위, 국내 1위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BTI는 워시 트레이딩을 통해 부풀린 거래량을 제외하여 거래소들의 거래량 순위를 매겼으며, 이 순위에서 업비트가 세계 3위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업비트는 BTI가 지난 30일간 워시 트레이딩의 양이 10%를 넘지 않은 거래소에게 수여하는 ‘BTI Verified’ 라벨을 받았다는 것이다. 업비트를 비롯해 ‘BTI Verified’ 프로그램에 선정된 거래소는 총 9곳으로, 크라켄(Kraken), 코인베이스(Coinbase), 폴로닉스(Poloniex), 비트렉스(Bittrex)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업비트 관계자는 “투명한 거래 환경 구축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 온 만큼 글로벌 거래량 분석에 있어 가장 정확도 높은 BTI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며 “더욱 투명한 거래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더비체인]

중요도: ✩✩✩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01


6. 필링크(FLK), 공공선도 블록체인 사업자 선정

무선 인터넷 전문업체 필링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추진하는 블록체인 사업자로 선정됨에 따라, 주식회사 NDS, 지오매틱스와 함께 NDS컨소시엄을 구성해 스마트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블록체인 및 어플리케이션 구축사업에 참여한다고 11일 밝혔다. NDS컨소시엄은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HACCP의 인증관리 및 정보활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며, 구축 후에는 한국식품안전인증원을 중심으로 HACCP 인증관리 및 정보활용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HACCP 인증 절차와 과정은 웹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해당 플랫폼 구축은 오는 12월 최종 평가를 마친 후 내년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출처: 이데일리]

중요도: ✩✩✩

http://m.edaily.co.kr/news/Read?newsId=02873286622455136&mediaCodeNo=257


7. 70만명 이용 구직사이트, EOS 블록체인에 둥지 튼다

프리랜서들이 일감을 찾는 구직 사이트로 70만명이 넘는 회원을 가지고 있는 문라이팅(Moonlighting)이 EOS 블록체인으로 옮겨간다. 최근 문라이트는 사용자층을 확대하고 기존 인프라를 EOS 블록체인으로 통합할 목적으로 핀랩AG(FinLab AG)와 블록원(Block.one) 재단이 함께 세운 핀랩 EOS 벤처캐피털(Finlab EOS VC)이 주도한 펀딩 라운드에서 500만 달러(한화 약 56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문라이팅의 CEO 제프 테너리(Jeff Tennery)는 이번 EOS 네트워크로의 이전에 대해 “지난 2017년 말부터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집중적으로 탐색해왔는데 최종적으로 EOSIO 소프트웨어를 채택하기로 했다. EOSIO는 블록체인 거래 시 확장성이 보장되며 거래 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자 계정 관리가 쉽다는 것이 장점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에 대해서는 “매우 세분화되어 있는 오늘날 긱(gig) 경제 시스템에서 프리랜서 구직자들이 자신의 프로필을 직접 관리하면서, 단 한 번의 로그인으로 어디로든 쉽고 빠르게 프로필을 전송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그는 투자금의 일부가 프로필 감사 절차 및 인증 기능 개선에 쓰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코인데스크 코리아]

중요도: ✩✩✩

https://www.coindeskkorea.com/moonlightingeos/?utm_source=blockchainhub&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link&utm_content=article


Talenta의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웹사이트: http://talenta.com/ 

트위터: https://twitter.com/TalentaSG_ko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alentasgkor/

텔레그램: https://t.me/TALENTA 

위쳇: https://mp.weixin.qq.com/mp/profile_ext?action=home&__biz=MzUzNDk0OTAxOQ==&scene=124#wechat_redirect

Sort:  

Congratulations @talentagroup!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received more than 500 upvote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1000 upvote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