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enta 데일리 뉴스 - 4월 4일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날마다 새로운 소식들로 가득한 블록체인 세계의 흥미로운 해외/국내 뉴스를 요약하여 전해드리는 Talenta 데일리 뉴스입니다. 

4월 4일 Talenta 데일리 뉴스

 

1. 미국 SEC, 암호화폐 새 규제 지침 발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이하 ‘SEC’)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3페이지 분량의 '디지털 자산의 투자 계약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 for “Investment Contract” Analysis of Digital Assets)’를 발표했다. 이는 토큰 발행업체를 위한 새로운 규제 지침으로, SEC는 해당 규제 지침이 “특정 암호화 자산의 증권 분류 및 관련 법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도구”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SEC의 윌리엄 힌먼(William Hinman) 위원은 SEC의 암호화폐 관련 규제 지침 작업 소식을 알리며, 발표될 지침이 토큰 발행업체로 하여금 증권 분류 여부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지침은 네트워크와 토큰의 증권법 적용 · 미적용 사례들을 기술하고 토큰 발행업체가 자체 상품의 증권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고려할 요건들을 제시했다. 또한, 증권 판단 기준인 ‘하위 테스트(Howey test)’도 집중적으로 다뤘으며, 발행업체가 이전에 매도한 토큰을 증권으로 등록했어야 하는지 여부, 이전에 증권으로 매도한 토큰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지 여부 및 재평가 기준도 기술했다. 한편 해당 지침은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 암호화폐 자산 운용에 대한 부분도 다뤄지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SEC가 자산 운용 규제를 위한 전문가 자문을 구하고 있다. 

[출처: 토큰포스트]

중요도: ✩✩✩✩✩

https://tokenpost.kr/article-7231


2. 유럽 연합(EU), 신뢰 기반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국제 협회 출범  

유럽 연합(European Union, EU)이 지난 3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신뢰 기반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국제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rusted Blockchain Applications, 이하 ‘INATBA’)의 출범을 알렸다. INATBA에 가입한 100여개가 넘는 회원들 중에는 IBM, 액센츄어(Accenture), 도이치 텔레콤(Deutsche Telekom)과 같이 낯익은 대기업들 외에도 블록체인 관련 기업인 이오타(Iota), 리플(Ripple), 컨센시스(Consensys), 소브린 재단(Sovrin Foundation) 등이 포함돼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현재 이들 외에도 48곳의 단체가 추가로 가입을 신청한 상태이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INATBA는 신생 기업, 중소기업(SME), 규제 기관 및 표준 체제 설립 기관들을 결집하여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Decentralized Ledger Technology, DLT)을 주류로 끌어들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INATBA는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협력, 규제 수렴, 법률적 예측 가능성 촉진 및 시스템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규제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Cointelegraph]

중요도: ✩✩✩✩✩

https://cointelegraph.com/news/european-union-launches-international-association-of-trusted-blockchain-applications


3. 암호화폐 스타트업 Liquid.com, 일본의 두번째 유니콘 기업되다. 

일본 소재 암호화폐 플랫폼인 리퀴드닷컴(Liquid.com)이 자사의 시리즈C 펀딩을 성공적으로 마쳤음을 알렸다. 이로써 해당 암호화폐 거래소는 불과 5년도 안돼 회사의 총 가치가 10억 달러를 달성하며 일본의 스타트업 산업 분야에서는 두 번째로 유니콘 기업의 타이틀을 달았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한화 약 1조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말한다. IDG 캐피탈(IDG Capital) 및 비트메인 테크놀로지(Bitmain Technology)가 주도한 이번 펀딩 라운드에서 모인 자금은 글로벌 확장 및 제품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리퀴드닷컴의 CEO인 마이크 카라모리(Mike Karamori)는 이번 펀딩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금융 서비스 분야가 디지털 혁신의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소비자들은 디지털 자산 및 신뢰성과 편의성을 갖춘 기술에 점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다”고 설명하며 이에 따라 자사의 비전이 금융 서비스, 특히 디지털 자산 관련 서비스에 대한 사람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밝히고 이번 펀딩 라운드가 리퀴드닷컴이 세계로 진출할 수 있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출처: Bitcoinist]

중요도: ✩✩✩✩

https://bitcoinist.com/cryptocurrency-startup-becomes-japans-2nd-billion-dollar-tech-unicorn/


4. 미국 SEC, 턴키젯(TurnKey Jet) 주도 ICO에 무제재 확인서 첫 발급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이하 ‘SEC’)가 턴키젯(TurnKey Jet, Inc.)이라는 회사의 토큰 판매에 대하여 무제재 확인서(no-action letter)를 발행했다. 턴키젯은 비행기 택시 등 항공 여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이번 무제재 확인서는 턴키젯이 발행한 사업차 다니는 각종 출장 경비를 지불하는 데 쓰는 턴키젯 토큰(TKJ)에 대해 나온 것이다. SEC는 무제재 확인서에 TKJ가 증권으로 분류되지 않기 위해 토큰을 판매한 수익금은 (앱과 같은) 회사의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는 데 쓰여선 안 되며, 토큰은 구매하는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토큰의 가격은 미화 1달러로 고정돼야 한다는 등의 조건을 명시했다. 이외에도, 토큰의 사용 목적은 항공 운송료 지불로 한정되며, 토큰을 되살 때 가격은 토큰 액면가를 따라야 하고 턴키젯은 토큰의 잠재적 이윤을 암시하는 어떤 행위도 해서는 안 된다. 규제 전문가들은 이번 무제재 확인서 발급에 대해 우선, 턴키젯의 변호사가 먼저 보낸 질의서에 곧바로 보내온 답장 형태로 무제재 확인서가 발행됐다는 점에서 규제적 큰 진전으로 평가하면서도 무제재에 많은 조건이 달렸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는 경계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출처: 코인데스크 코리아]

중요도: ✩✩✩✩

https://www.coindeskkorea.com/secnoactionletters/?utm_source=blockchainhub&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link&utm_content=article


5. 케이사인, 공동주택 관리비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

케이사인(KSIGN)이 산업통상자원부의 ‘2019년도 IoT(사물인터넷) 가전 기반 스마트홈 실증형 기술개발사업’ 중 ‘공동주택 공용부 관리비 절감 및 블록체인 기술 기반 투명한 관리비 운영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총 사업비 68억원(국비 46억원, 민간 22억원) 규모의 예산으로 2022년까지 3년간 진행될 이 사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사업은 IoT 센서를 통해 공동주택 설비를 관리하는 스마트 설비 관리(Smart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관리비 집행과 관련된 모든 과정에 위변조를 방지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관리비와 관련된 부정행위를 차단한다. 해당 사업은 종료 시점에 400대 이상의 실거주 공동주택 단지에 시범 적용돼 타당성을 검증 받을 예정이다. 

[출처: 이데일리]

중요도: ✩✩✩

http://m.edaily.co.kr/news/Read?newsId=01876166622452512&mediaCodeNo=257


6. 블룸버그, "알고리즘 트레이딩이 암호화폐 가격 반등 한몫"

미국 블룸버그통신이 알고리즘 거래 증가, 브렉시트의 영향, 그리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를 승인했다는 만우절의 허위보도 등이 암호화폐 거래 및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고 3일 보도했다. 이중 눈길을 끄는 것을 ‘알고리즘 거래(Algorithm Trading)’로, 알고리즘 거래란 자동화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시장 흐름과 가격동향을 파악한 뒤 매수와 매도를 결정하는 거래 방법이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알고리즘 기법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는 지난 9월 이후 이와 같은 기법으로 운영하는 17개의 새로운 펀드가 설립되면서 대폭 증가했다. 이번 암호화폐들의 가격 급상승 배경에 대해 블룸버그는 지난 2일 아시아 시장이 열리자마자 미국 소재 코인베이스와 크라켄, 그리고 룩셈부르그 소재 빗스탬프를 중심으로 쏟아져 나온 1억 달러의 주문 물량에 영향을 받은 봇(bot)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알고리즘 거래를 시작하여 가격과 거래 물량을 더욱 끌어올렸다고 분석했다. 알고리즘 거래가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편, 몇몇 전문가들은 시장 및 가격조작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출처: 더비체인]

중요도: ✩✩✩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98


7. 올해 1분기 디앱 데이터, 사용자는 '트론', 거래량·거래건수는 '이오스'가 가장 많아

세계 최대 블록체인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디앱리뷰(DappReview)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생태계 중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퍼블릭 체인(public chain)은 트론(Tron, TRX)인 반면, 이오스(EOS)가 가장 많은 거래량(Volume)과 거래 건수(transaction)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트론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오스와 이더리움(ETH)이 따랐다. 거래량과 트랜잭션 측면에서는 이오스가 1위를, 트론과 이더리움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1월 디앱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디앱닷컴(dapp.com)이 발표한 지난해 디앱 관련 수치 보고서와 조금 달라진 결과이다. 디앱닷컴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디앱 제공자는 이더리움이었으며, 가장 많은 거래량과 거래건수를 기록한 것은 이오스였다. 가장 활동적인 디앱 카테고리는 작년과 올해 1분기 모두 게임(Game)과 겜블링(Betting)이 차지했다. 

[출처: 코인리더스]

중요도: ✩✩✩

http://www.coinreaders.com/3855

 

Talenta의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웹사이트: http://talenta.com/ 

트위터: https://twitter.com/TalentaSG_ko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alentasgkor/

텔레그램: https://t.me/TALENTA 

위쳇: https://mp.weixin.qq.com/mp/profile_ext?action=home&__biz=MzUzNDk0OTAxOQ==&scene=124#wechat_redirect

Sort:  

아름답군요. 팔로우 등록 꼭 부탁드립니다. feed에 매일 뜨므로 항상 보팅 해드릴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