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날마다 새로운 소식들로 가득한 블록체인 세계의 흥미로운 해외/국내 뉴스를 요약하여 전해드리는 Talenta 데일리 뉴스입니다.
6월 25일 Talenta 데일리 뉴스
![](https://images.hive.blog/768x0/https://cdn.steemitimages.com/DQmRDyHw8onutKUdMGKTRXaz5cbPCUD3ssEaUzbdSUYpyFo/1_ChEESzI04Op3SHvQTrgAHg.jpeg)
1. 미국 상원·하윈, 7월 16일과 17일에 연달아 페이스북 암호화폐 청문회 연다
미국 하원 위원회에 속한 금융서비스위원회(House Financial Service Committee)가 오는 7월 17일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한 청문회를 연다고 밝혔다. 앞서 상원에 속한 은행위원회 또한 7월 16일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한 자체 청문회를 연다고 밝힌 바 있어, 7월 16일과 17일 이틀간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청문회가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의 상원과 하원은 2018년 각각 두 차례 암호화폐 관련 주제로 청문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 청문회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가 주제인만큼 페이스북 측을 상대로 프로젝트의 자세한 내용을 묻는 질문이 다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청문회에선 리브라 암호화폐의 발행과 활용 방식, 리브라 프로젝트의 운영주체인 리브라 협회(Libra Association)의 역할, 리브라가 기존 금융 시스템에 미칠 영향 등 다양한 쟁점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서비스위원회는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 백서 출시 직후 리브라 프로젝트를 중단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피력한 바 있는 막신 워터스(Maxine Waters) 위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출처: 디센터]
중요도: ✩✩✩✩
https://www.decenter.kr/NewsView/1VKJZUIJEJ/GZ01
2. SKT, 도이치텔레콤과 ‘5G 합작회사’ 만든다
SK텔레콤이 독일 이동통신사업자인 도이치텔레콤과 연내 5G 기술을 개발하는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지난 2월 MWC19에서 양사가 체결한 기술협력 업무협약의 연장선이다. 합작회사는 최우선 과제로 5G 초저지연 영상 전송기술(MMT, MPEG Media Transport), 5G 중계기 및 인빌딩솔루션, Multipath UDP 등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Multipath UDP는 유무선 인프라를 동시에 이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통신 기술이다. 이와 더불어 양사는 모바일엣지컴퓨팅(MEC), 애플리케이션 마켓, 블록체인 분야에서도 협력을 통해 5G 킬러 콘텐츠로 꼽히는 클라우드게임·AR·VR 등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러한 협력과 더불어 도이치텔레콤 산하 전문 투자회사 DTCP(Deutsche Telekom Capit)가 운영하는 펀드에 3천만달러(347억원)를 투자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이에 대해 “5G 시대 유망 ICT 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이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출처: 지디넷 코리아]
중요도: ✩✩✩✩
http://www.zdnet.co.kr/view/?no=20190625082910
3. 오갑수 전 금감원 부원장, 한국블록체인협회장 만장일치 선출
한국블록체인협회가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만장일치로 오갑수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을 차기 협회장으로 선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오갑수 신임 회장은 과거 금감원 부원장을 지낸 후 SC제일은행 부회장, 한국스탠다드차타드금융지주 부회장, 영국 스탠다드차타드그룹 특별고문, 서울대 경영대학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글로벌금융학회장을 맡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금융과 경제에 정통한 오 회장은 정부기관 및 금융기업 고위직을 역임하며 쌓은 경륜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생태계의 조성 및 관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선출 배경을 전했다. 오 회장은 취임인사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이 포용경제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사회 전반에서 수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하며,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성심성의껏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출처: 토큰포스트]
중요도: ✩✩✩✩
https://www.tokenpost.kr/article-12556
4. 스위프트, R3와 개념증명 완료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이하 ‘스위프트’)가 실시간 결제를 위해 블록체인 기업들이 자사의 글로벌 결제 혁신(Global Payments Innovation, 이하 ‘GPI’)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스위프트는 지난주 발행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1월부터 기업용 블록체인 컨소시엄 R3와 진행해 온 개념증명(PoC)의 완료를 알리며 “곧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기반의 거래 플랫폼들에서 GPI 결제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7년 초에 출시된 GPI는 속도, 투명성, 거래 추적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일 결제, 24시간 해외자금 경로 추적 등의 기능을 스위프트의 기존 결제망에 더한 것이다. 스위프트는 지난 1월 개념증명 시작 당시 GPI 링크 게이트웨이와 R3의 코르다(Corda) 플랫폼을 연결하여 결제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SWIFT 및 ISO 표준은 물론 API를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 당시, R3의 CEO인 데이비드 루터(David E. Rutter)는 “SWIFT GPI는 급속도로 결제의 세계적인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코르다에서 운영되는 모든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들이 SWIFT GPI 은행들이 제공하는 빠르고, 안전하며 투명한 결제 방식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출처: Coindesk]
중요도: ✩✩✩
5. 테라, 미국 헤지펀드 율리시스 전략적투자 유치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가 1조 7000억원 규모의 운용자산을 보유한 미국 율리시스 캐피털(Ulysses Capital)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24일 밝혔다. 테라에 대한 정확한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투자는 글로벌 IT와 블록체인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율리시스의 첫 국내 핀테크 투자로, 율리시스는 테라의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과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율리시스의 이준효 이사는 “테라의 블록체인 기술은 국내 간편결제 앱에 이미 접목됐고, 출시 열흘밖에 안 되었지만 벌써 10만 유저를 모았다”며 “이는 블록체인 업계에서 보기 힘든 숫자인만큼 블록체인 기반 테라의 비즈니스 모델이 시장에서 검증된 것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국내 뿐 아니라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의 시장 확장과 이커머스 업체들과의 파트너십 체결 등 테라의 활약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출처: 블록인프레스]
중요도: ✩✩✩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8847
6.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악성코드도 증가, 안드로이드 주 타겟
최근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하면서 암호화폐를 겨냥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공격도 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4일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는 2019년 2분기 ASEC 리포트를 공개하고 ‘암호화폐 관련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유형별 분석’ 내용을 소개했다. ASEC는 “지난해 다소 주춤하던 암호화폐 관련 악성코드는 올해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상승함에 따라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경고하며, “PC뿐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에서 암호화폐 관련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가운데,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노린 공격자들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주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ASEC는 이 같은 암호화폐 관련 악성코드의 증감 추이가 비트코인 시세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만큼 악성코드 증감을 미리 예측해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악성코드 피해 방지를 위해 앱을 다운로드할 때는 공식 앱 마켓을 이용할 것을 당부했다. 덧붙여, 최근 구글플레이를 통한 악성 앱 유포도 종종 발생하고 있어, “앱 평판이나 순위 변동 사유 등을 살펴보는 등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피해 예방 노력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출처: 더비체인]
중요도: ✩✩✩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50
7. 블록체인 모빌리티 서비스 엠블, 바이낸스 체인 도입한다
블록체인 모빌리티 생태계 엠블(MVL)을 추진하고 있는 엠블파운데이션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바이낸스 체인을 자사 비즈니스에 도입한다. 엠블파운데이션은 바이낸스 체인과의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자사의 블록체인 기반 차량호출 서비스 타다(TADA) 사용자들이 MVL 토큰 외에도 바이낸스 자체 암호화폐인 BNB 토큰으로 이용료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덧붙여, 기존에 유통되고 있는 MVL 토큰 중 일부가 바이낸스 체인 기반의 토큰으로 스왑(Swap)될 예정이며, 바이낸스의 모바일 지갑 앱인 바이낸스 트러스트 월렛을 타다 블록체인 플랫폼에 연결, 바이낸스 사용자들이 타다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향후 타다 사용자들은 바이낸스 트러스트 월렛과 바이낸스의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 덱스(Binanace DEX)를 통해 간편하게 MVL 거래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창펑자오(Changeng Zhao) 바이낸스 창립자는 엠블의 타다 서비스가 암호화폐가 실제로 사용되는 결제의 좋은 예시라고 말하며, 엠블과 함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암호화폐 실적용을 시작할 수 있게 된 것에 대한 기대감을 표했다.
[출처: 파이낸셜 뉴스]
중요도: ✩✩✩
http://www.fnnews.com/news/201906250822418615
Talenta의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웹사이트: http://talenta.com/
트위터: https://twitter.com/TalentaSG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talentasgkor/
텔레그램: https://t.me/TALENTA
위쳇: https://mp.weixin.qq.com/mp/profile_ext?action=home&__biz=MzUzNDk0OTAxOQ==&scene=124#wechat_re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