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읽었습니다. 농아인과 농아는 어감만큼이나 받아들이는 뉘앙스의 차이가 큰 것을.. 잘 몰랐네요. 작년에 수화통역사분과 작업을 하면서 이야기를 몇 번 나눈 적이 있었어요. 수화도 엄연한 시각 '언어' 라고 하시면서 음성 언어가 아니라는 이유로 비언어 취급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하셨어요. 따라서 '언어 장애인' 이라는 표현도 앞에 괄호 치고 (음성)이 생략되었다는 생각은 드네요.
잘 읽었습니다. 농아인과 농아는 어감만큼이나 받아들이는 뉘앙스의 차이가 큰 것을.. 잘 몰랐네요. 작년에 수화통역사분과 작업을 하면서 이야기를 몇 번 나눈 적이 있었어요. 수화도 엄연한 시각 '언어' 라고 하시면서 음성 언어가 아니라는 이유로 비언어 취급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하셨어요. 따라서 '언어 장애인' 이라는 표현도 앞에 괄호 치고 (음성)이 생략되었다는 생각은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