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1장: 도가도 비상도 (현상보다는 본질)
도가도 비상도 ( 道可道 非常道)
道 : 길 도 可 : 가히 가 非 : 아닐 비 常 : 항상 상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제1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 地之始 有名萬 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 지지시 무명만 물지모
말로써 설명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며,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무명'(분명히 존재하지만 무어라고 이름 붙일 수 없는 어떤 것. 즉 '도')은 하늘과 땅의 기원이요, '유명'(이름을 붙일 수 있는 사물, 현상)은 만물을 기르는 단순한 양육자일 뿐이다.
故常無欲 而觀其妙 常有欲 而觀其徼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고상무욕 이관기묘 상유욕 이관기요 차양자 동출이이명 동위지현
玄之又玄 衆妙之門
현지우현 중묘지문
그러므로 늘 욕심에서 벗어나 있는 자만이 '묘'(감추어져 있는 본질)를 볼 수 있으나 욕망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는 '요'(밖으로 드러난 결과)밖에는 볼 수가 없다. 이 두 가지(묘와 요)는 같은 '근원'에서 나오지만 이름이 다르다. 이 '근원'을 '현'이라 한다. 이 <현 보다 더 현>이 모든 묘들이 나오는 문이다.
*욕(慾): 인위적으로 꾸미는 마음. 무언가를 바라거나 하고자 하는 마음. 의지.
*차양자(此兩者): 무명(無名: 이름 붙일 수 없는 것)과 유명(有名: 이름이 있는 것).
*현(玄) : 그윽하고 신비로운 것, 아득하고 심오한 것.
사물의 본질을 보지 못하고 껍데기만 보는 것은 '무언가 하고자 하는 마음' 즉 '의지'가 있기 때문이므로 의지(욕심)를 버리고 보면 우주의 감추어진 진리가 보이지만 꾸며진 마음으로 보면 겉으로 드러난 겉모습만 보입니다. 즉 자기가 원하는 것, 자기의 이익만 보이는 것입니다.
같은 곳에서 나온 것이 보는 관점에 따라서 두 가지 모습으로 보이게 되는데 하나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본질, 참 진리이고 하나는 겉으로 드러난 겉모습인 거짓 진리이므로 이름이 다르게 됩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곳에서 나온 거지요. 즉 참 진리와 거짓진리는 같이 그윽하고 심오한 현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이렇게 그 결과인 이름이 '묘'와 '요'로 달라지는 것은 '욕'을 버리고 바른 눈으로 보느냐, 자기가 바라는 것만 보려 하는 '욕'을 가진 눈으로 보느냐의 차이 때문입니다.
나름대로 풀이 (본질과 현상)
모르는 사람에게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고 일단 알고 나면 잊기가 힘듭니다. 깨달았으면 행동으로 옮겨서 몸으로 직접 경험해야 합니다. 생각으로 이해하고 몸으로 경험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자연처럼 행동하게 됩니다. 그것이 무위입니다.
우리들 주위에 있는 모든 것들이 다 도인 것을 눈 앞에 두고 찾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도 (진실)은 있는 그대로 보고 실천하는 것부터 시작입니다.
그리고 사물에 이름을 주면 우리가 사물을 볼 때 한계를 두게 됩니다. 이름이라는 감옥에 사물을 집어넣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내 영세명이 토마스입니다. 이름을 듣지 전에는 그냥 사람이었지만 이름을 듣는다면 이름을 듣는 사람마다 선입견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이름을 모르고 직접 만났다면 스스로 판단을 할 수 있었을 텐데 이름을 들어서 선입견이 생겼다면 …
영화 관상 중에서
난 사람의 얼굴만 봤을 뿐, 시대의 모습을 보지 못했소,
시시각각 변하는 파도만 본 격이지.
바람을 보아야 하는데 파도를 만든 건 바람인데 말이오,
당신들은 그저 높은 파도를 잠시 탔을 뿐이오.
우린 거저 낮게 쓸러 가는 중이었소만,....
뭐, 언젠가 오를 날이 있지 않겠소?
높이 오른 파도가 부서지듯이 말이오....
본질이 중요한데 우리는 현상만으로 판단하려고 합니다. 그렇지만 현상으로 본질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요?
파도는 보이는데 바람은 느껴야 합니다. 그런데 바람이 부는 방향이 자주 바뀝니다. 어떤 경우에는 cross wind도 발생하고 여기도 아니고 저기도 아니고 아니면 여기인 것 같기도 하고 저기인 것 같기도 하고
바람 부는 날 골프를 치다 보면 항상 바람이 반대로 부는 것 같습니다. 확률상 그럴 수가 없는데 그렇지만 확률상 80%는 바람이 반대로 부는 것 같습니다. 이유는 정면으로 바람이 부는 확률도 20%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바람은 대부분 옆에서 불어오게 됩니다. 정면으로 불어 어렵게 할 확률도20% 뒤에서 불어와 도와 줄 확률도 20% 나머지 60%는 옆에서 불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기다리다 보면 멈추기도 하고 아니면 갑자기 불어 무슨 일이 발생할지 모릅니다. 그렇게 본질을 이해하거나 관찰하기가 힘들 겁니다.
영화 타짜 중에서
영화 마지막에 악귀와 마지막 판을 하게 되는 주인공 고니. 실력을 겨뤄보니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고니는 현상을 잊으려고 합니다 그리고 악귀의 본질에 집중을 합니다.
악귀가 원하는 것은 고니의 팔목입니다. 돈을 다 잃던지 아니면 기술을 부리다가 걸리면 팔목을 해머로 부셔버립니다.
고니는 기술 (밑장빼기)을 써서 악귀에게 걸립니다. 그렇지만 자신이 이기게 기술을 쓴 것이 아니고 지는 기술을 써서 악귀를 속입니다.
본질을 꿰뚤어 보고 응용하는 겁니다. 그래서 최고의 타짜가 됩니다. 최고의 타짜는 최고의 기술자가 아니고 상대의 본질을 이해하는 자입니다.
최고로 존재하려면 도전자들의 본질을 이해해야 합니다. 쉽지 않을 겁니다. 도전자들은 챔피언을 알고 덤비지만 챔피언은 도전자들을 알 수가 없습니다.
결국 도가도 비상도 = 지피지기 가 됩니다.
도를 이해한다는 것은 자신을 알아가는 길은 아닌가 합니다.
노자 도덕경에서 제일 알려진 구절인 '도가도 비상도' 는
손자병법에서 제일 알려진 구절일 '지피지기'와 같은 선성에 있습니다.
도덕경의 첫 시작에 대해 토마스 님의 이름을 비유로, 또한 영화 관상과 타짜의 대사를 이용해 풀어낸 내공이 깊은 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미안해요 보팅파워가 바닥이라
슬프다 그림도 3장이나 삽입했는데...이렇게 손님이 없다니
미안해요 보팅파워가 바닥이라 1전도 안되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