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面楚歌
사방(四方)에서 들리는 초(楚)나라의 노래라는 뜻으로,적에게 둘러싸인 상태(狀態)나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는 고립(孤立) 상태(狀態)에 빠짐을 이르는 말
출전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
유래
초(楚)나라의 패왕(覇王) 항우(項羽)와 한(漢)나라의 유방(劉邦)이 천하(天下)를 다투던 때, 항우(項羽)에게 마지막 운명의 날이 다가오고 있었다. 아끼던 슬기로운 장수(將帥) 범증(范增)마저 떠나 버리고, 결국 유방(劉邦)에게 눌려 한(漢)나라와 강화하고 동쪽으로 돌아가던 도중 해하(垓下)에서 한(漢)나라의 명장(名將) 한신(韓信)에게 포위(包圍) 당(當)하고 말았다. 빠져나갈 길은 좀체로 보이지 않고, 병졸(兵卒)은 줄어들며 군량미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한군과 제후(諸侯)의 군사(軍士)는 포위망(包圍網)을 점점 좁혀 왔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사방에서 초(楚)나라 노래가 들려왔다. 가뜩이나 고달픈 초(楚)나라 병사로 하여금 고향(故鄕)을 그리게 하는 구슬픈 노래였다. 한(漢)나라가 항복(降伏ㆍ降服)한 초(楚)나라 병사들로 하여금 고향(故鄕)노래를 부르게 한 것이다. 항우(項羽)는 깜짝 놀라면서 「한(漢)나라가 이미 초(楚)나라를 빼앗았단 말인가? 어찌 초(楚)나라 사람이 저렇게 많은고?」하고 탄식(歎息ㆍ嘆息)했다. 그는 진중에서 마지막 주연(酒宴)을 베풀었다. 그리고 유명(有名)한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의 시를 지어 자신의 운명을 탄식(歎息ㆍ嘆息)했고, 총애(寵愛)받던 우미인(虞美人)도 그의 시에 화답하고 자결(自決)했다. 항우(項羽)는 800기(騎)의 잔병을 이끌고 오강(烏江)까지 갔다가 결국 건너지 못하고 그 곳에서 자결(自決)하고 마니, 그의 나이 31세였다 한다.
[네이버 한자사전]
项羽和刘邦原来约定以鸿沟(在今河南荣县境贾鲁河)东西边作为界限,互不侵犯。后来刘邦听从张良和陈平的规劝,觉得应该趁项羽衰弱的时候消灭他,就又和韩信、彭越、刘贾会合兵力追击正在向东开往彭城(即今江苏徐州)的项羽部队。终于布置了几层兵力,把项羽紧紧围在垓下(在今安徽灵璧县东南)。这时,项羽手下的兵士已经很少,粮食又没有了。夜里听见四面围住他的军队都唱起楚地的民歌,不禁非常吃惊地说:“刘邦已经得到了禁地了吗?为什么他的部队里面楚人这么多呢?”说看,心里已丧失了斗志,便从床上爬起来,在营帐里面喝酒;并和他最宠爱的妃子虞姬一同唱歌。唱完,直掉眼泪,在旁的人也非常难过,都觉得抬不起头来。一会,项羽骑上马,带了仅剩的八百名骑兵,从南突围逃走。边逃边打,到乌江畔自刎而死。因为这个故事里面有项羽听见四周唱起楚歌,感觉吃惊,接看又失败自杀的情节,所以以后的人就用“四面楚歌”这句话,形容人们遭受各方面攻击或逼迫的人事环境,而致陷于孤立窘迫的境地。凡是陷于此种境地者,其命运往往是很悲惨的,例如某人因经常与坏人为伍,不事生产,游手好闲;但后来却破那些坏人逼迫的无以为生,求助于别人时,别人也应他平日行为太坏,绝不同情更不理睬,这人所处的境地便是“四面楚歌”。又如学校里讨论学术问题,其学生不学无术(成语,意即没有学术)、信口雌黄、颠倒是非,同学们群起而攻之,这学生便完全处于孤立地位,这也可叫做“四面楚歌”。在我们的人生历程上,在我们的日常生活中,好好的做人,脚踏实地的做事,若是行差踏错,就未免要遭受“四面楚歌”的厄运了。
[文学网 成语词典]
#四面楚歌 sì miàn chǔ gē
[成语解释]
比喻陷入四面受敌、孤立无援的境地。
[典故出处]
《史记•项羽本纪》:“项王军壁垓下,兵少食尽,汉军及诸侯兵围之数重。夜闻汉军四面皆楚歌,项王乃大惊,曰:‘汉皆已得楚乎?是何楚人之多也。’”
#山穷水尽 shān qióng shuǐ jìn
[成语解释]
山和水都到了尽头。比喻无路可走陷入绝境。
[典故出处]
宋•陆游《游山西村》诗:“山重水复疑无路,柳暗花明又一村。”
#腹背受敌 fù bèi shòu dí
[成语解释]
腹:指前面;背:指后面。前后受到敌人的夹攻。
[典故出处]
《魏书•崔浩传》:“裕西入函谷,则进退路穷,腹背受敌;北上岸则姚军必不出关助我。”
#十面埋伏 shí miàn mái fú
[成语解释]
意思是设伏兵于十面以围歼敌军。
[典故出处]
元•无名氏《抱妆盒》第二折:“从今后跳出了九重围子连环寨,脱离了十面埋伏大会垓。”
●공유해두셨다가 시간나실때 보세요●
@좋은 정보는 공유 알쥬
▶ 소식받기 하시면 매일매일 꿀팁 배달됩니다.
스토리채널>> https://goo.gl/wEux6X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I found similar content that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jd392766&logNo=221190849806&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