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에서 컨센서스는 빠질 수 없으며
거버넌스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들으셨을겁니다.
혹은 한쪽귀로 듣고 한쪽귀로 흘리셨겠죠
저도 그렇습니다.
태생적으로 한글친화적이라 저런 고급영어를 접하게 되면
정보가 도착하기 전에 뇌가 피해버립니다
이는 굉장한 기술이긴 하지만
놀랍게도 여러분 역시 하이레벨로 기본장착하고 있을겁니다.
보통 이 기술을 익히지 못한 사람들은
노벨상을 타거나 하니까요
여튼 지금까진 열심히 피해오셨겠지만
오늘은 한쪽 귀에 귀마개를 해도 됩니다.
사실 엄청 쉬운거거든요.
컨센서스(consensus) : 합의
거버넌스(governance) : 통치, 관리
단어 자체는 사실 다들 알고 있는 것들입니다.
이것도 몰랐다면 지식 회피기술 내공이 1갑자에
달한 나름 회피계의 장로라고 할 수 있겠네요
참고로 전 장로입니다. 글쓰면서 네이버 검색했어요
한데 사실 단어보다는 그것의 사용법이나
실제 사용법을 모른다.. 라는 것이 맞을겁니다.
그래서 다시 용법으로 쉽게 얘기하면
컨센서스는 말그대로 합의고
거버넌스(통치) 시스템은 합의를 전달하는 방식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것을 좀더 넓게 이야기하면
합의를 전달하고 수행하기 위해 조직이 만들어지고
하는 것이죠.
예를들어 우리나라의 거버넌스 시스템의
기본은 투표입니다.
그것으로 대변자들을 뽑아서 빅똥을 싸죠.
근데 이게 왜 블록체인에 쓰이느냐..
이유는
블록체인이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게임에서 업데이트가 없는 없뎃 게임이면
얼마안가서 폭삭망합니다.
암호화폐의 경우는 그거 이상입니다.
처음부터 갈길이 멀었죠.
당연히 앞으로 계속 개발되고 변해야합니다.
문제는 '어디로 변하는가' 라는 방향키를
누가 잡느냐 입니다.
운영자가 모든 것을 운영하는 게임과 달리
이쪽은 참가자들이 공동운영하기 때문에
누구 한명이 정한다고 그 방향으로 쉽게 가질 못합니다.
만약 업데이트를 거부한다면
업데이트 한 유저들과 안한 유저들로 갈라져 버리죠.
이더와 이더클래식처럼..
유저가 반쪼가리나면 당연히 타격이니
블록체인의 사용자들은 모두가 한방향으로 가길 원합니다
그러므로 컨센서스(합의)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럼 이번엔 합의는 어떻게 할까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모두가 참가하는 방법이
블록체인 프로그램인 지갑이나 채굴기 같은 거니까
그 프로그램에 번호 투표기능을 심어두고
모두가 보는 게시판에다가 정책을 적어두는 것입니다
탕수육 정책에 대한 방향
- 부어
- 찍어
- 주면 암거나 먹음
그리고 게시판 아래에는 위 정책을 내장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를 걸어둡니다.
그 프로그램을 받은 사람들은 이제
자신이 원하는 정책을 프로그램에서 투표해서
날립니다. 그리고 그 투표가 설정한 조건..
예를들어 전체 찬성률이 80%가 넘으면
같은 것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잠금해제되어 발동하게 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발방향이 합의로 잡히게 되죠
이렇게 합의에 관한 얘기들을 컨센서스라고하고
투표같은 방법론을 거버넌스라고 합니다.
컨센서스를 잡기위한 거버넌스 시스템이라고
봐도 되겠죠.
그런데 이도 참 쉽게쉽게 가진 않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부먹파가 80%를 넘기가 힘드니까요
50% VS 50% 면 최악이죠.
그래서 조건을 완화(60%)하거나
최악의 경우 합의 없이 업데이트를 배포합니다.
그것이 작년의 UASF 같은
유저 주도의 업데이트 같은거죠.
'우리의 정책을 지지하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라'
라는 것이었습니다.
한편 이같은 합의와 합의방식은
우리들의 현실 거버넌스 시스템에 비하면 단순합니다
현안들을 놓고 직접 투표하는 방식이니까요.
현실은 모든 현안을 두고서 전부 투표하지 않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같은 것에선 송금기능뿐이라
투표할꺼리가 적으니
아무 문제없이 적용되지만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팀잇이 그렇죠.
그래서 이쪽은 좀더 다른 거버넌스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그에 대해선 다음에 설명하겠습니다
(OR 다음은 없음)
아주 좋은 게시물, 나는 upvote 및 resteem
아주 좋은 댓글, 나도 upvote 및 comment
쟤네들도 참 꾸준..-ㅅ-
아주 좋은 대댓글, 나도 upvote 및 comment
아주 좋은 대대댓글, 나역시 upvote 및 comment
ㅋㅋㅋㅋㅋㅋㅋㅋ
아주 좋은 댓ㅡ대대대대댓글(잭팟?)
나도 역시 upvote 및 comment
고마워요. 많은 친구들이 그렇습니다.
이해가 쏙쏙. 재밌게 읽고 갑니다.~
알고보면 상당히 쉬운 의미였었군요. 뜻을 몰라서가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몰라서 어려운 거겠죠.
네. 합의를 한다.. 라는 것만 있고 실제론 왜 뭐땜시는 거의 설명을 찾기 힘들죠
정말 재밌게 읽게되는 @twinbraid 님 글
오늘도 감사히 웃으며 잘봤습니다.
놀라운 기술을 모르는 나...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군요
저는 오늘 잇님덕분에 렙업했습니다.
이해가 쏙쏙 됩니다ㅎ
이 기회에 영어강사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ㅎ
스팀잇만이 가지고있는 거버넌스과제를 적절히 잘 해결하면서 운전대를
잡은 사람들이 좋은 방향성을 가지고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주 좋은 게시물, 나는 업뵷 너는 리스팀
머리를 탁치고 갑니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간결한 설명이네요...보팅& 리스팀~
초보 코인 시리즈를 보면서 배우는 점이 많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ㅎㅎㅎ
거버넌스와 컨센서스에 대한 명쾌한 설명 감사드려용 ㅋㅋㅋㅋ 오늘도 읽어나가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