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말하면 매우 밝다.
이유는 별거 없다.
현실적으로 실전에서 활용을 통해 검증된 블록체인이 스팀 빼고 없기 때문이다.
바이낸스 거래소 대표가 이오스 블록체인이 40,000 TPS 가 실제 가능하냐고 물었다고 한다. 만일 40,000TPS 가 가능하다면 자신은 바이낸스 거래소를 이오스 블록체인에 올리겠다 라고 했다고 한다.
현 시점에서 적어도 블록체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실전에서 검증된 TPS 다.
이더리움이 요즘 맥을 못추는것은 ICO 금지가 원인이 아니라 크립토 키티 라는댑을 통해 실전 TPS 가 적나라하게 들어났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은 확장성으로 불리는 이 TPS 를 늘리지 못하는 한 미래가 밝다고 하기 어렵다.(물론 언젠가는 해결될 것이다)
반면에 스팀은 현 시점에서 가장 높은 실전 TPS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봐야 100TPS (위 데이타로 보면 최대값은 23.94 TPS 정도임)미만이다. 물론 시뮬레이션상으로는 100,000 TPS도 가능하다고 한다. 스팀은 자신의 현재 성능에 0.15%만(위 데이타를 이용해서 역산해보면 1,822,605:0.15=X:100을 하면 14,064TPS 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어디까지나 이론이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되면 증인들의 서버비용은 꽤나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스팀이 가진 페브릭인가하는 기능을 활용하면 병렬처리가 가능하고 댄라이머가 글에서 밝힌바는 있으니 이론적으로는 100,000TPS가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니다. )을 사용하면서도 이더리움의 3배에 해당하는 트랜젝션을 처리하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은 자신의 성능 100%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스팀 블록체인의 1/3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처리하고 있다. 스팀은 DPOS여서 가능하고, 이더리움은 POW 여서 그렇다는 말은 하지 말자. 블록체인을 활용할 기업은 그런거 안따진다.
이론상 가능하다는 주장은 아무리 해봐야 다 허당이다.
기업들이 해당블록체인을 활용하려면 실전에서 검증된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엄밀히 말하면 지금 스팀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어뷰징이건, 댓글보팅이건, 좋은글이건, 허접한글이건, 셀프보팅이건, 봇을 사용하던 가릴 거 없이 실전에서 50,000 TPS 가 가능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무지 어려운거다. 전 세계에서 5만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글을 올리거나 업보팅을 하거나 다운보팅을 하거나 이체를 하거나 등등을 해야 하는데 동시에 이렇게 하는게 어렵다. 이것을 한번만 해서 되는 것도 아니고 매 초당 그렇게 해야하는일이니 보통일이 아니다. 이론상 한 블록(3초블럭)에 300,000건의 데이타를 올릴수 있다고 스팀은 주장하지만 이것은 한번도 검증된 적이 없다.
그러함에도 스팀은 적어도 현재 실전에서 활용되고 있고 동시접속자수가 자장 많은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미래가 가장 밝다.
만일 50,000 TPS (1일 4,320,000,000 거래를 처리하면 50,000TPS가 된다.)를 실전에서 보여 주고도 버벅거림이 없다면 1스팀의 가치는 1비트코인을 넘어선다고 보아도 된다.
장문의 글이라고 더 많은 TPS를 차지하는게 아니다.
점하나를 찍던 5만 글자수의 글을 쓰던 둘 다 1TPS일 뿐이다.
이더리움은 그렇게 많은 채굴기가 붙어 있는데도 태생부터 속도의 한계가 있나보네요
채굴 해시와 속도는 비례하지 않는건가요?
Good information @leesunmoo.. thanks for share it
3월에는 가입에 최소 2주가 걸릴 정도로 뉴비들이 밀어 닥쳤지만 하락장이어서인지 뉴비들의 모습이 예전처럼 활발하지는 않은 듯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더 열심히 활동이 필요한듯 해요. 오늘 들른 진해에는 벚꽃이 피어오릅니다. 따뜻한 봄날처럼 인내하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새로운 길을 가는 블럭 체인이 이런거구나 싶네요.
아직 누구도 가보지 않은것을 간다는것이
쉽지않네요.
이선무님, 간만에 스팀의 대한 밝은 미랠 예측하는 포스팅이라 넘 반갑습니다. ^^
이선무님 글을 다시 볼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이런 장에서 행복회로를 돌릴수 있는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은 태초의 텀퓨터 같은 느낌이구요. 다른 암호화폐는 도스 같은 느낌입니다. 스팀은 윈도우 초기 버전 느낌이거든요.
어려운 시기 잘 견디시는 시지짱님이 존경스럽습니다.
저희도 블럭체인을 준비하며 SMT 을 코어망으로 검토하는 이유와 동일합니다. 여러 다른 방식으로 메인넷과 연결되는 트렌젝션수를 감소하더라도. 전체망의 트렌젝션에 영향을 주고 받는 부분에서... 절대적인 빠르기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결국 SMT와 스티밋 서비스는 별도로 구분되어 관리 할 것같습니다. 현재의 스티밋은 블럭체인 코어와 디엡이 동일 형태지만.. 코어망의 우월성과 SMT 플래닝을 생각하면 별도관계가... 될 것입니다.
반갑습니다. 그리고 하시는일 성취하시길 기원합니다. 저는 기술은 모르지만 직감적으로 이오스는 나와봐야 아는것이고 스팀이 비지니스 하시는분들이 활용하시기 좋다고 느끼는 입장입니다.
1일 4.3B를 처리해야 50,000 TPS입니다. 그리고 VISA나 MASTER가 2,000 TPS로 상용화가 되어있는데 그보다 헤비한 블록체인에서 굳이 50,000 TPS까지 필요할까 싶으네요. ^^;
감사합니다(오류는 수정했습니다). 페북, 유투브, 메이저 결재회사 들을 올리려면 필요하다고 하네요. 바이낸스도 현재 요구 수준이 40,000 tps 인가 봅니다.
머리에 딱들어오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0초 댓글 룰이 없어져야 tps 한계체험이 가능하려나요 간혹 버벅거릴때가 있던데..시뮬레이션 한걸 유저들이 몸소 체험할 수 있게 보여주면 좋겠네요 알찬글 잘보고갑니다
20초 룰 하에서도 이론적으로는 트렌젝션이 더 늘어나면 가능하긴 합니다. 이론과 실전은 항상 다른거라서 실전검증이 중요하죠.
쉽게 이해가 갑니다 감사합니다
I am not surprised at the ranking......steemit is a platform that really has a lot of people actively engaged.
Nice update
전문가적 글들이 많은 이 곳에서는 글 작성할때마다 부담이 되고 위축되기까지 했었는데 이런글이라도 소통이되고 스팀잇에 도움이 된다니 그나마 힘이 납니다
부담가지시지 않아도 됩니다. 글을 많이 올리시고 보팅을 하시고 등등 트랜젝션을 많이 일으키시는게 가장 많이 기여하시는 겁니다. 비트코인은 겨우 5.7 TPS 정도가 실전 최고 기록입니다. 블록체인들이 무언가를 하겠다고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1,000 TPS 도 감당못합니다.
실전으로 50,000 TPS를 감당하는것을 보여주려고 사람을 모은다면 그 비용은 무척 고비용일겁니다.
스팀은 사용자를 통해 거져 먹는거거든요.
짧은 글이라도 열심히 포스팅하라는 의미로 들리네요 ㅎㅎㅎ 댓글도 포함이라고 생각하면 댓글 활동을 활발히 하는게 더 도움이 되려나요.
모든 트랜젝션은 도움이 됩니다. 증인들은 부담이 되겠지만요. 하지만 우리가 그들 염려할건 아니죠. 스팀잇에서 증인 걱정하는 것은 일반인이 연예인 걱정하는거랑 비슷하거든요.
dpos 보다 더 속도가 빠른 작업증명은 없는거겠죠 ㅎㅎ 댄은 정말 천재인듯 하네요.
아무리 찾아봐도 아직 스팀만한게 없는것 같습니다
API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글써서 보상도 받아보고 사람들과 소통을 해보면서 점점 확신이 생기네요
좋은 글이네요 잠이 안와 스티밋을 떠돌다가 제가 궁금해하던 딱 그 부분이 적혀있네요
개인적으로 저도 스팀의 가능성을 높게 보는건
실제로 돌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능성이 아무리 높고 기술력이 좋다한들
실제로 돌아가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그러니 믿고 기다려 봅니다.!
항상 좋은 글 잘보고있는데요
이글은 먼가 더 똑똑해지는 느낌을 받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글
잘보고갑니다!
이선무님 원래 별로 안 좋아했는데 (제목의 이유로) 이 글은 정말 좋네요. 방향성에 대한 다른 관점, 매우 좋습니다. @홍보해
그래봐야 저는 어뷰징을 부추기는 사람입니다. 제 반대편 사람들의 주장이 전혀 일리가 없는것은 아니지만 그게 그닥 좋은 방법도 아닙니다. 그냥 세력질 하는거 뿐이죠.
O님 글들은 너무 편향적이고 우기기식이라고 생각하는 편이라 전혀 옹호하고 싶은 마음이 안 들었는데, 선무님 글들은 지금 보니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있네요. 더 중립적으로 봐야겠습니다 ㅋㅋ
제 짐작대로라면 말씀하신분은 저보다는 몇배 훌륭한 분이십니다. 저보다 몇배 많은 리스크를 떠안으신분이구요. 최근에 정년퇴직하신 그분의 입장에서 쉬운게 아닙니다. 그분이 님보다는 못하신분일지몰라도 저는 개인적으로 그분에게 깊은 존중을 가지고 있답니다.
부디 스팀잇에서 원하시는바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많은 것을 할 수 있을거라고 기대했었는데 정작 뚜껑을 열고보니 처리능력이 너무 형편없는 상태인걸요. 언젠가는 해결될일이겠지만 pos 로 전환하면 될 것을 비탈릭은 수수료를 받겠다는둥, 샤딩이니, 플라즈마니 하면서 변죽만 울리고 있으니 말입니다.
물론 현재도 ico 도구로서 이더리움은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팀 사용 하다가 이더 사용하면 송금시 불안함이 장난이 아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