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와 형태소
(1) 단어의 개념과 특성
① 단어 : 홀로 쓰일 수 있는 말 또는 홀로 쓰일 수 있는 말 옆에 붙어 쓰이는 말.
② 조사는 홀로 설 수 없으나 앞의 말과 쉽게 분리되므로 단어로 인정함.
③ 조사를 제외한 모든 단어는 띄어 씀.
문장
단어의 분리
단어의 개수
손이 작다
손 + 이 + 작다
3개
영희는 방긋 웃었다.
영희 + 는 + 방긋 + 웃었다.
4개
봄이 오면 씨앗을 뿌려야 한다.
봄 + 이 + 오면 + 씨앗 + 을 + 뿌려야 + 한다
7개
(2) 형태소의 개념
① 형태소 : 단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이며 의미를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문장
형태소의 분리
형태소의 개수
손이 작다
손 + 이 + 작- + -다
4개
눈사람
눈 + 사람
2개
국밥
국 + 밥
2개
웃었다
웃- + -었- + -다
실질적인 의미 시제(과거) 종결어미
3개
② 형태소의 종류
분류 기준
종류
의미
홀로 쓰일 수 있는가
자립 형태소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예) 나-는 사과-를 먹-었-다.
의존 형태소
홀로 쓰일 수 없어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어미, 조사, 접사)
예) 나-는 사과-를 먹-었-다.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실질 형태소
실질적인 뜻(구체적 대상, 동작, 상태 등)을 지닌 형태소
예) 나-는 사과-를 먹-었-다.
형식 형태소
실질 형태소에 붙어 문법적인 뜻(종결, 연결, 높임, 시제 등)을 나타내는 형태소 (조사, 어미, 접사)
예) 나-는 사과-를 먹-었-다.
③ 풀어 봅시다.
문장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들에 꽃이 가득 피었다.
들, 꽃, 가득
에, 이, 피-, -었-, -다
들, 꽃, 가득, 피-
에, 이, -었-, -다
산이 매우 높다.
산, 매우
이, 높-, -다
산, 매우, 높-
이, -다
- 단어의 형성
◆ 형성 방법에 따른 단어의 종류
단어
단일어
복합어
합성어
파생어
(1) 어근과 접사
① 어근 : 형태소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할 때,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예) 풋사과 (어근 - 사과), 햇과일 (어근 - 과일), 개살구 (어근 - 살구)
② 접사 : 형태소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할 때, 어근에 붙어 뜻을 제한하는 부분
접두사
어근의 앞에 붙어서 뜻을 제한하는 접사
예) 덧(접사) + 버선(어근) -> 덧버선
접미사
어근의 뒤에 붙어서 뜻을 제한하는 접사.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하기도 함.
예) 욕심(어근) + 쟁이(접사) -> 욕심쟁이, 넓(어근) + 이(접사) -> 넓이
(2) 단일어와 복합어
① 단일어 : 하나의 어근(실질 형태소가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단어
예) 밤, 나무, 그네, 하늘, 바람, 놀다, 뛰다, 예쁘다 등.
② 복합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거나 어근과 접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
합성어와 파생어로 나누어짐.
예) 밤나무 -> 밤(어근) + 나무(어근), 알밤 -> 알(접사) + 밤(어근)
(3) 합성어와 파생어
(가) 합성어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
① 합성 방법에 따른 구분
대등 합성어
두 어근이 대등하게 본래의 뜻을 유지함.
예) 앞뒤 : 앞 + 뒤 / 손발 : 손 + 발 / 오가다 : 오-+가- / 검푸르다 : 검- + 푸르-
종속 합성어
한쪽의 어근이 다른 한쪽의 어근을 꾸며 주는 역할을 함.
예) 돌다리 : 돌 + 다리 → 돌로 만든 다리 / 떡국 : 떡 + 국 → 떡으로 만든 국
융합 합성어
어근들이 하나로 융합하여 본래의 뜻과 전혀 다른 새로운 뜻을 지니게 됨.
예) 강산 : 강 + 산 → 국토 / 밤낮 : 밤 + 낮 → 항상
② 형태의 변화에 따른 구분
결합할 때 어근의 변화가 없는 경우
책 + 가방 → 책가방 / 꽃 + 나무 → 꽃나무
결합할 때 어근의 변화가 있는 경우
솔 + 나무 → 소나무 / 말 + 소 → 마소
** 풀어 봅시다.
문제] 단어의 형성 과정이 잘못된 것은?
① 부삽 → 불 + 삽 ② 한두 → 하나 + 둘
③ 숟가락 → 술 + 가락 ④ 대여섯 → 대 + 여섯 ⑤ 오가다 → 오(다) + 가(다)
(나) 파생어 :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
① 접사의 의미와 파생어의 예
접사
의미
예
햇-
그 해에 난
햇병아리, 햇과일, 햇감자
풋-
처음 나온, 덜 익은, 미숙한
풋사과, 풋나물, 풋사랑, 풋잠
날-
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 지독한
날고기, 날것, 날강도, 날도둑놈
헛-
이유 없는, 보람 없는
헛고생, 헛수고, 헛걸음, 헛먹다
알-
겉을 덮어 싼 것이나 딸린 것을 다 제거한, 진짜, 작은
알밤, 알몸, 알거지, 알부자
맨-
다른 것이 없는
맨주먹, 맨발, 맨땅
엿-
몰래
엿보다, 엿듣다
샛-
매우 짙고 선명하게
샛노랗다, 샛말갛다
치-
위로 향하게
치솟다, 치뜨다, 치받다
개-
야생 상태의, 헛된, 정도가 심한
개살구, 개꿈, 개망나니
-개
사람, 간단한 도구
오줌싸개, 지우개, 날개
-꾼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거나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
일꾼, 사냥꾼, 낚시꾼, 잔소리꾼
-장이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
간판장이, 땜장이, 양복장이
-쟁이
그것이 나타내는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
멋쟁이, 겁쟁이, 떼쟁이
** 풀어 봅시다.
다음 중 합성어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3
① 가방, 옷장, 나무 ② 베개, 소나무, 국물
② 잠옷, 솔방울, 덮어쓰다 ④ 덧저고리, 윗옷, 옷소매
⑤ 치뜨다, 높푸르다, 덮싸다파생어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4
① 선생님, 내일 학교 가는 날인가요?
② 너 따위는 맨주먹으로도 한 방에 이길 수 있어.
③ 비빔밥에 들깨를 조금 뿌려 주면 고소한 맛이 난다.
④ 초등학교 때의 첫사랑은 지금쯤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⑤ 뒷사람이 문을 세게 밀치는 바람에 넘어져서 무릎이 깨졌다.‘기름’이란 단어의 앞이나 뒤에 접사를 붙여 파생어를 만들려고 한다. 파생어를 잘못 만든 것은? 3
① 기름기 ② 개기름 ③ 기름땀 ④ 참기름 ⑤ 기름지다다음 중 복합어로만 묶인 것은? 3
① 오르막, 일꾼, 구름, 춘추 ② 좁쌀, 검붉다, 놀다, 밤낮
③ 맨주먹, 날개, 오르막, 눈앞 ④ 뛰다, 불놀이, 선머슴, 나무꾼
⑤ 알몸, 지우개, 시나브로, 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