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페이를 3일 이상, 10회 이상 사용해 본 후, 스팀페이에 대해서 솔직한 평가를 내려보고 스팀페이가 어떻게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은 사용자 입장에서, 특히 스팀페이와 삼성페이에 대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삼성페이의 장점: 편리한 결제, 신용카드 혜택은 그대로
저는 삼성페이를 평균 하루에 한번 이상 씁니다. 편의점에서 간단한 물건 하나를 사던, 식사 결제를 하던. 사실 거의 모든 구매를 할 때, 가능하면 삼성페이를 쓰곤 합니다.
일반적으로 삼성페이를 왜 쓸까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포인트(삼성 리워즈) 적립, 2. 삼성페이 결제시 할인, 3. 결제 편의성.
포인트 적립: 사실 약간의 적립 혜택이 있긴 한데, 그건 너무 작은 것이라 무시할 만 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적어도 반년 사용하면서 모은 포인트가 2천 좀 넘던가 그래요... 이게 아무리 잘쳐줘봐야 5천원도 안할 겁니다. 무시해도 될 수준.
삼성페이 결제시 할인: 삼성페이로 이걸 사면 2만원에서 5천원 깎아드려요! 이런 것들입니다.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편이라 패스. 그리고 직접 확인해보진 않았지만, 저렇게 할인하는 것들은 아마... 삼성페이 아니라 다른 온라인 할인 쿠폰 등으로도 할인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요.
3. 결제 편의성: 이게 핵심입니다. 귀차니즘이죠.
신용카드 안 꺼내도 되고, 심지어 안 들고 다녀도 되니까요. 그냥 전화기 화면 아래부터 손가락으로 화면을 쓱 올리면 바로 카드 선택창이 뜨고, 거기서 홍채 버튼 클릭하고 화면을 바라보면 바로 결제창. 이제 POS (계산대에 있는 기계) 옆에 전화기 가져다 대면 끝. 시간상으로도 한 3초? 길면 5초쯤 걸릴 것이고, 화면을 손가락으로 쓸어올리기 + "홍채" 버튼 클릭의 두 개의 과정만 거치면 됩니다.
그리고 온라인에서 어떤 물건을 살 때도, 5초 정도 시간과 두세번의 클릭/탭 이 필요할 뿐입니다. 공인인증서로 열받는 일이 없어지죠.
그러면 단점은? 아이폰에서는 아마 안 된다 (확실하진 않습니다) 정도... 신용카드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다 그대로 받으니 신용카드 사용보다 못할 것은 없습니다 (혹시 아니면 알려주세요).
스팀페이의 장점: 1. 스티미언들끼리의 유대감, 2. 쿨해 보이는 효과
이제 스팀페이로 가보겠습니다. 스팀페이는 왜 쓸까요?
쿨해 보이니까. 뭔가 있어 보이잖아요. 암호화폐 어쩌구 하는데 사실 뭔지 모르는 사람이 태반인데, 심지어 나는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사용도 하고 있어! 이런 거죠.
스티미언들끼리의 유대감: 적어도 아직까지는 스티미언들끼리만 쓰다 보니, 서로 동질감을 느끼고 스팀에 대한 애정(?) 을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제가 스팀페이를 사용했던 주 이유기도 합니다.
스팀달러 환전하기 귀찮아서: 저는 역으로 스팀페이 쓰기 위해 거래소에서 스달 사서 보냈지만, 오래 스팀잇 활동 하신 분들은 쌓인 스달을 처리하기 귀찮을 때 요긴하게 스팀페이를 활용할 수 있겠죠.
이 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팀페이의 단점: 1. 신용카드 혜택 없음, 2. 결제 과정, 3. 지불 금액의 변동성
그럼 단점은?
- 신용카드 혜택을 못 받는다: 스팀페이는 "현금"결제이니까요. 이거 큽니다. 신용카드 사업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에게는 1% 정도를 이런저런 형태로 돌려주고 (마일리지, 캐시백, 할인 등), 가맹점 (판매자) 들에게 수수료를 1~2.5% 정도 받는 것과 신용카드 대금을 나중에 갚는 사람들에게 높은 이자를 받아서 (연 20% 이상) 충당하는 구조입니다. 한마디로 카드대금 제때 내면 사용자들은 무조건 이익이거든요.
2. 결제 과정: 스팀페이 결제를 하려면, 1) QR코드 스캔, 2) 스팀커넥트 연결, 3) 아이디와 액티브 키 (보통 아이디는 쳐서 넣고, 액티브 키는 복사해 넣지요) 정보 넣음, 그리고 결제 완료 의 단계입니다. 제가 10번 정도 써 본 결과, 평균적으로 결제 완료까지 10초 정도는 걸립니다 - 그나마 제가 여러 번 써서 능숙해져서 그정도구요. 과정에서 손으로 화면을 적어도 5번은 탭(또는 누름) 해야 하구요. 물론 이것만으로도 엄청난 것이긴 한데, 삼성페이나 신용카드에 비하면, 순수한 결제 측면에서는 시간도 더 걸리고 과정이 더 많아서 손이 더 많이 가는 것은 사실입니다.
3. 가격 변동성: 이것은 판매자에게 더 영향이 클 수도 있는데, 구매자에게도 영향이 있습니다. 소액을 한두번 결제할때는 큰 문제가 없는데, 자주 쓰거나 큰 액수를 결제하게 되면 결제액 차이가 무시 못할 수준이거든요. 제가 지난 일요일에 스팀시티 미니스트릿에서 스달 가격을 전혀 확인하지 않고 구매를 쭉 하였을 때, 스달 가격의 변화입니다. (너무 스크롤이 길어져서 스달 가격 부분만 잘라서 5개만 넣었습니다)
11:27분 1320원, 11:33분 1330원, 12:03분 1295원, 13:20분 1320원, 13:22분 1375원.
2시간도 안 되는 사이에, 스달 가격은 6% 이상 변합니다. 10만원이면 6천원의 차이니, 결코 무시할 수 없겠지요. 그리고 아시다시피, 저정도 변동성이 아주 특별한 경우도 아니고, 자주 일어나는 일입니다.
게다가 이것은, 속칭 "얍삽이" 를 없이 한 것입니다. 어느 정도 금액의 물건을 결제하기 직전에, 구매자가 업비트에서 스달을 한개 사서 스달 가격을 매도호가까지 올려버리는 방법으로 스달 가격을 올릴 수도 있고, 반대로 판매자가 스달을 한개 팔아서 스달 가격을 매수호가까지 내려버릴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스팀페이를 쓰게 하려면...?
1. 일단 소액 구매여야 합니다. 어느 정도 액수 (예: 10만원) 를 넘어가기 시작하면, 현재의 스달 변동성으로는 가격 차이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이죠.
2. 결제 과정이 조금 더 단순해지거나 빨라져야 합니다.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는 것 같지만, 삼성페이나 신용카드 수준 또는 그보다 약간 느린 수준은 되어야 경쟁력이 있을 것 같아요.
3. "쿨" 한 효과를 강조하면 좋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디자이너 분 (@dayoung) 이 새로 조인하신 것은 정말 다행스런 일입니다. 예쁘고 눈에 쏙 들어오는 마크가 있고, 사람들이 저게 뭐지? 할때 내가 "쿨" 하게 그 방법으로 결제하는 기쁨(?)이 있으면 확실히 더 쓸 것 같아요.
4. 사용자에게 어떻게든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 궁극적으로 필요합니다: 상징적인 $0.01 보팅이라도 판매자나 스팀페이에서 사용자 글에 날려준다던가 하는, 뭔가 유인책이 필요합니다. 주력으로 스팀페이를 쓰기에는, 신용카드를 씀으로써 얻을 수 있는 마일리지 등의 혜택이 너무 큰 기회비용이에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은, 판매자 입장에서 스팀페이의 장단점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스팀페이와 유사한 컨셉으로 이미 나와 있는 더드림페이와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렇게 스팀페이를 분석하고 비평하는 것은, 다 스팀페이가 잘 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 사실 관심이 없으면 아예 이런 글을 쓰지를 않겠죠. 스팀페이 화이팅입니다!
(jjangjjangman 태그 사용시 댓글을 남깁니다.)
[제 0회 짱짱맨배 42일장] 1주차 보상글을 발표합니다.(계속 리스팅 할 예정)
현재 1주차보상글이 6개가 리스팅되었네요^^
호출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스티밋하세요! https://steemit.com/kr/@virus707/3vcp7h-0-42-1
감사합니다!
날카로운 분석 잘 읽었습니다
결국 현재 장점은 유대감, 쿨한효과 정도 밖에 없는건가 싶어서 조금 아쉽습니다. 사용에 따른 페이백같은게 있으면 참 좋은데 그런건 시스템상 힘든부분 아닌가 싶네요
현재 장점은 냉정하게 말하면 그정도인것 같습니다. 자그마한 형태라도 혜택을 줘야 더 활성화될 것 같아요.
가격변화가 워낙 크니, 지불결제수단으로서 문제가 있겠죠. .. 이걸 어떻게 극복해 갈 지 궁금하네요.
가격 변동폭은 현재로서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
저도 스팀페이를 지속적으로 지켜보고 있습니다. 시장의 변동은 어쩔수 없지만 4번 정도는 필요하다면 추가해도 좋겠네요...
약간의 유인책이라도 있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가격변동을 보완해줄 보상구조가 필요해 보입니다. 스팀페이코 자체의 수익구조도 필요하구요. 장단점 비교분석 잘 읽었습니다. :D
감사합니다. 판매자로서의 사용 소감을 알려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생각이 정리되면 글로 정리해봐야겠습니다.ㅎㅎ 리스팀합니다. :D
마침 미니스트릿을 할 때 이틀간 변동폭이 커서 제대로 느낄 수 있었는데요.
3500원의 아이스아메리카노 2잔이 토요일에는 5.600스달이었다가 일요일에는 5.128 스달이 되는 것을 목격했던 것이죠.
제게는 그저 흥미로운 부분이었지만 향후 실물경제와 더 연관성이 생기면 큰 문제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되네요;
직접 체감하셨군요! 일회성 구매는 큰 상관없지만, 자주 계속 이어지는 거래이면 가격 차이는 큰 영향이 있겠지요.
앞으로 발전해야할 부분을 짚어주셨네요. 개발자들이 바빠지겠어요 ^^
감사합니다. 판매자로서의 사용 소감을 알려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이렇게 한걸음씩 성장해가는 거겠죠.^^ 미국에서도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ㅎㅎ
이제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면 곧 써보실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You received 21.01 % upvote as a reward From round 1 on 2018.07.05. Congrats!
잘 읽었습니다.
새로운 시도는 장기적 발전을 위해
아주 중요한데 그 부분을 직접 체험하고 분석해
주셔서 스팀이나 스팀잇 발전에 큰 도움이 되겠네요
잘 될거 같습니다. 노력해 주시는 분들이 많아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런 시도들이 모여서 발전이 있겠지요?
앞으로도 많은 시도와 도전
공유부탁드립니다. 전 하는거 없이
부탁만 드려 죄송하네요.
전 열심히 응원 및 스팀잇 활동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응원과 스팀잇 활동이 핵심 아니겠습니까. 다같이 화이팅입니다!
응원하러 자주 들를께여.
활동은 원래 좋아하니 계속 열심히 할거구요^^
0.01 보팅의 유인책보다 코인시세가 급등하는 보다 유용한 일이 제발 생기면 좋겠어요 ㅠㅠ
시세 변동이 크더라도 기분좋게 결제할 수 있게말입니다 ㅠㅠ
코인이 급등하면, 아무래도 약간의 차이에는 덜 민감해지겠지요.
삼성페이를 쓰는 이유는 진짜 편리함이 주를 이루는거같아요! 지갑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고, 핸드폰 하나로만 다 되는 세상이라니! 게다가 카드기에 대기만 하면 금방 결제가 완료되어서 좋아요. 스팀페이가 더 널리 상용화되길 바라긴 하지만, 일반 핸드폰에서는 큐알코드를 일반카메라에서 인식하지 못해 다른 페이지나 어플을 켜야하는데에서 시간 소모를 하고, 액티브 키를 넣고 결제한 후에도 송금까지는 시간이 걸려요. 분명 내 지갑에서 돈은 빠져나갔는데 내역에는 더 한참 있어야 올라오니까 불안해요. 제대로보냈는지. 스팀페이를 쓸 기회가 많아지다보니 특징이 더 잘보이는건 어쩔수없네요 ^0^
삼성페이의 편리함과 범용성은 정말 대단하죠. 저는 제 신용카드 실물은 언제 써봤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합니다.
큐알코드 넣는 건 안드로이드라 네이버 카메라 쓰는데, 생각보다 잘 안되더라구요.
마지막으로 말씀하신 송금 확인도, 카드보다는 오래 걸리니 불안한 건 맞습니다. 송금 잘 되었다는 확인창은 뜨지만, 내역에 올라오는 시간까지 좀 걸리니까요.
멋진 글입니다. 저도 농산물 때문에 관심이 있는데. 이용해볼려고해요. 도움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농산물 구매를 스팀페이로!
제가 물려 있는 (?)
크립테리움이란 코인과 스팀페이의 편이성이
결합되면 좋을 텐데요 ㅋ
https://steemit.com/busy/@luckystrikes/4ruwcw-crypterium-ico
링크 타고 가서 관련글들 읽어봤는데, 이 코인은 이해를 아직도 잘 못했습니다 ㅠㅠ. 일단 비트 기준으로 본전치기는 하셨다니 다행입니다.
이제는 매장에서도 현금 등 결제시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 수단으로 결제하면 수수료 만큼 할인해줬으면 하네요. 아니면 카드결제시 수수료를 더해서 청구하든지.
글 잘봤습니다~
아마 카드가랑 현금가를 차별 못하는 규정이 있을 겁니다. 실제 판매자분들이 잘 아실듯..
예 근데 과거 매출이 투명하게 집계되지 않았을때 카드사용 장려하면서 만들어진 규정이 아닐까 합니다. 최근 결제 수단이 다양해지고 거래가 과거대비 투명해진 상황에서 꼭 동일해야하는지는 의문이네요. 물론 카드사는 필사적으로 지키려고 하겠지만요
훌륭한 비교의 글이네요. 장점을 더 크게 생각해 볼 수 없다면
암호화폐의 효용성이 문제가 될 수 도 있겠네요.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지..
암호화폐의 실제 효용성은 아직.. 각종 규정들을 피해 갈 수 있다는 것 외에는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신용카드보다는 체크 카드와 비교하시면 더 정확할것같습니다.신용카드는 돈이없어도 쓸수 있죠.
좋은 지적이십니다. 대부분의 구매가 신용카드로 이뤄진다고 가정하고 쓴 글인데, 이런저런 이유로 체크카드를 쓰는 분들도 있겠지요. 체크카드도 결제 과정은 같고 신용카드만큼은 아니라도 사용자에게 혜택이 돌아오니, 글의 전반적 내용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 같습니다.
좋은 비교의 글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 장점은 살리고 느린 문제점은 보완해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아직 초기이니 더욱 발전해 나가겠지요.
분산화시스템이 중앙화시스템을 이기기에는 계란에 바위치기겠지만, 이런 좋은 글을 개발자들 혹은 암호화폐 결제영역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읽고 더 진보되고 효율적인 방안을 찾아주셨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지금은 마이너한 투자의 영역이라 유동성도 널뛰어 문제지만, 언젠간 메이저의 영역으로 들어와서 암호화폐 가격변동도 안정화되기를 바라봅니다. +_+ 빠샷
아직은 실제 사용자들과 개발자들의 간극이 큰 것 같습니다.
상징적인 0.01$보팅.. 오호
QR코드 읽어서 스팀페이를 활용하는 경우, 스팀페이 관련 계정이 지불자 계정의 가장 최근 게시글(페이아웃전)에 소액보팅을 해준다거나.. 요런 서비스가 카드사의 마일리지서비스처럼 이용될 수도 있겠네요!!
단위나 빈도가 커지면 상징적인 것을 넘어서 실제로 페이백이나 마일리지처럼 좀더 높은 액수의 보팅이 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을텐데, 언제나 그렇듯 문제는 수익성이겠죠.
스팀페이 얍삽이부분에서 빵 터졌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생각도 못했고 와 설마 저럴 사람이 있을까 싶긴한데,
진짜 요즘 호가창으로 보면 그냥 웃고 넘어갈 일은 아니네요 ㅋㅋㅋ
변동성도 그렇고 1번 패널티도 가볍게 여길 것이 아니네요.
이 난제들을 뚫고 잘 정착되기를 바랍니다.
10만원 정도 사면 호가창 1% 차이나면 천원이니... 작다면 작다고 할 수 있지만, 만약 업비트가 아니라 고팍스를 쓴다면 호가창 3~5% 차이는 일상이니 더 커지겠죠.
널리 쓰이기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그래도 이렇게 시도해 나가면서 고쳐 나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역시 좋은글!!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포스팅입니다.
잘 읽고 갑니다.!! 3번 읽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요즘 더우실텐데 힘내세요!
정말 좋은 의견 달아주신 것 같아요. 스팀페이를 사용하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기존의 방식보다 더 편리하거나 아니면 이득이 되거나 해야 확대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결국 이익 (금전적이건, 편의성이건) 이 되면 다들 알아서 도입하고 사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한 분석 프로젝트입니다.
굉장히 좋은 리뷰 같습니다. 비판으로 받아들이지만 않는다면 건설적인 내용들이니까요. 스팀 가격이 변동성이 적어지고 통화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어서 글쓰고 그걸로 닭사먹고 현금을 집어넣고 체크카드 처럼 쓸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
변동성을 버티려면 결국 1. 소액결제, 2. 대량 사용, 이 두가지 정도인 것 같습니다. 스달을 상당히 쌓아 놓고 있게 되면 소액의 스달 구매나 판매에는 큰 영향이 없어질 테니까요.
1글1닭, 또는 그 이상의 날까지 화이팅!
저도 참 중요하게 생각 하는 부분중 하나입니다.
이런 부분이 개선되면 , 추 후에 , steempayco토큰을 발행해서 사용 할 수 있게 준다던가.. 이런거면 엄청 좋을 것 같거든요. smt적이죠..
또 , 장점으로 !
자기가 열심히 한것에 대한 보상을 사용 할 수있어서 ,
보람차다!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구매자 분들께는 불편하고 , 우려되는 점 입니다.
하지만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또 다르게 생각합니다.
이 부분도 투자의 개념으로 다가서는 분들은 ,
판매를 안하고 묵히시죠 ,
그런데 실질적으로 판매를 하는 입장에서는
돈의 순환이 되야 하므로 ,
그런것 욕심 부리지 않고 바로 현금화를 한다면
크게 손해볼 일도 없고 ,
크게 우려할 부분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또 스팀페이코에 대해서 잘 적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glory7님
판매자의 생생한 후기 감사드립니다. 바로 현금화를 하면 큰 문제 없다는 부분이 핵심이네요.
맞습니다. ㅎㅎ 크게 손해보지않고 할 수 있습니다.
잘 받아들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팀페이도 삼성페이나 국내의 다른 페이(엘페이 등등) 처럼 국내 편의성이 높아지면 많이 활용할텐데 아직은 아쉬움이 많네요. 그래도 곧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초기 단계이니까 쭉쭉 개선되리라 믿습니다. 일단은 편의성보다는, "쿨" 함으로 승부하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