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서비스 벨트 2025의 핵심: 디지털 플랫폼

in #steempress7 years ago


스마트 서비스 벨트 2025의 핵심: 디지털 플랫폼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의 3단계 구성

(출처: 독일공학한림원 2015)

스마트 서비스로 연결되는 세상이 되기 위해서는 스마트 서비스를 창출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 디지털 플랫폼은 3단계로 구성되어진다.

첫째. 스마트 공간이라는 기술 인프라 상위에 우선 네트워크화된 스마트 제품들을 통해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연결된 물리 플랫폼 Netwoked Physical Platform'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그 위 중위에는 생성된 빅데이터를 알고리즘 등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요 맞춤형 스마트 데이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 Software-defined Platform'이 필요하다.

셋째. 가상 상위에는 제품, 공급자,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이 모두 연결돼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위치하게 한다.

서비스 플랫폼의 구조

alt
  1.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은 하드웨어 기반의 기술 인프라와 연결된 물리 플랫폼의 상위에 형성되는 기술 통합 층위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은 스마트 서비스를 엔지니어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적용하는 기술 컴포넌트들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의 핵심 원리는 가상화이며 응용 솔루션의 완전한 가상화를 통해 높은 유연성, 적용 가능성, 견고함 등을 갖춘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가상화된 정보 구조는 구조화되지 않은 대량의 데이터 또는 고도로 가치화된 스마트 데이터 패키지까지도 실시간 공정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공정 또는 저장에는 하나HANA, 테라코다 Terracotta. Apache Flink 드의 클라우드 컴포넌트들이 활용된다.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의 기술 구조는 일반 이네이블러Enabler, 아키텍처 패턴 및 서비스 번들의 세가지고 구성된다. 자기 학습 방법, 사례 기반 추론, 빅데이터 스트림 분석 등을 수행한다. 아키텍처 패턴은 일반 이네이블러들을 포함한 상호 작용하는 컴포넌트 간 복잡하게 구조화된 조합 체계로 플러그 앤드 자동화 방식, 데이터 보호 기준에 따른 정보 공정의 정책 관리, IT 시스템의 보호와 회복력을 높이은 패턴으로 조합된다.그리고 서비스 번들에서는 상품 공급자가 서비스 제공자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이력관리Track&Trace, 자산관리, 물류 및 시스템 관리 등이다. 예를 들어 독일의 캐져콤푸레셔의 주요 사업 분야는 압축기 판매였지만 압축기 공기 판매로 사업 전략을 수정함에 따라 기업이 제공하게 된 서비스도 압축 수리 서비스에서 기계가 제공하는 기능을 보완하는 것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스마트 서비스와 원격 서비스 이행에 따른 가치 창출

alt

(출처: 캡제미니 컨설팅Capgemini Consulting 2014)

  1.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통합 층위이다. 서비스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과 네트워크 연결 플랫폼의 상위에 위치한다. 아래 두 개 플랫폼이 '어떻게'의 기술적 층위라면 서비스 플랫폼은 고객에게 '무엇'을 제공할지에 대한 단계이다. 서비스 플랫폼은 새로운 파트너와의 협력, 자동화된 공정, 풍부한 데이터 소스에 기반을 둔 스마트 서비스와 서비스 번들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들을 조성한다. 또한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에서 데이터 공정을 통해 얻어진 스마트 데이터에 대한 마켓 플레이스도 조성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의 마켓 플레이스는 정보 생성, 교환, 계약, 배달 과정 등과 관련된 스마트 서비스들이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의 자세한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 모듈과 특화 모듈로 구성된다. 일반 모듈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공통으로 적용되는데 ID 및 접근 관리, 지불, 가격 책정, 계약 초안 작성, 규제와 규칙, 조직과 통합 서비스, 프로젝트 관리, 커뮤니케이션, 웹 스토어 , 포탈, 계약관리, 물류, 보험 등이 해당된다. 특화 모듈에서는 한개 비즈니스 모델에만 특화돼 적용 응용되는 것으로 공정 툴 킷Process Toolkit, 데이터 분석, 성과관리 지표KPI suite, 모델 개발Model Builder 등과 같이 특정한 서비스로 구현될 수 있다.

alt

산업별 스마트 서비스의 적용 유형

  1. 제조업

1) 스마트 제조 서비스 1

- 디지털 생태계 내의 생산성 향상

. 데이터 분석으로 고객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반영

. 제조 생산성 향상

2) 스마트 제조 서비스 2

- 기술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 고객 니즈를 분석하는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사업 창출

  1. 물류

1) 스마트 물류 서비스

- 항구와 중량화물의 최적 운송

. 실시간 분석 기술 적용으로 항구 인프라 최적화 시현

. 중량화물 이동 등도 최적화

  1. 에너지

1) 스마트 에너지 서비스

- 에너지 전환 앱 스토어의 감지 제공

. 에너지 및 에너지 관련 서비스 판매 및 구매 사업

  1. 농업

1) 스마트 농업 서비스

- 네트워킹을 통한 생산성 증대

. 네트워크 연결로 농업 생산성 향상 모델 구축

  1. 의료

1) 스마트 의료 서비스

- 환자 중심의 케어

. 의사, 환자, 보험사가 정보 공유로 환자 중심의 요양 제공

<출처: 독일공합한림원 2015 재구성>

alt

  1. 스마트 서비스의 유형

스마트 서비스는 분석된 데이터를 활용하며 사후적이 아닌 전체적 서비스가 일반화된다. 또한 현장 서비스의 효율성도 높아져 서비스를 통해 더 많은 이익이 생겨난다. 스마트 서비스는 스마트 제품에서 수집된 정보를 알고리즘 등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써 기계 기반 산업에서 예지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원격 서비스 작업자가 미리 데이터를 분석해 필요한 서비스 내용, 작업 방법 등을 현장 작업자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서비스도 효율화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서비스를 통한 매출액을 증대시키고 이익률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스먀트 서비스는 주로 금융, 쇼핑, 미디어 중심으로 확대돼왔지만 향후 디지털 비즈니스 성숙도가 낮은 제조업, 물류, 에너지, 농업, 의료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분야별로 보면 제조업은 제조 공정의 디지털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소비자 니즈 등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마켓플레이스와 같은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중량 화물의 운송까지도 최적화하는 스마트화가 진행될 것이다.에너지, 농업 및 의료 분야에서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들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중 독일의 '스마트 서비스 월드 2025' 문서에서 제시된 스마트 생산 서비스의 사례를 간략히 보면, 오늘날 생산 서비스는 제공자, 생산자, 소비자가 각각 생산 운영자와 연결돼 있으며 서비스도 문제 발생 시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스마트 생산 서비스가 구현되면 서비스 제공자, 생산자, 소비자 정보가 소프트웨어 정의 플랫폼과 서비스 플랫폼에서 분석되고 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화된 마켓 플레이스에서 정보와 지식을 활용해 생산 운영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이 사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 Industie4.0, 4차 산업혁명과 제조업의 귀환 - 김은, 김미정 등 -



Posted from my blog with SteemPress : http://internetplus.co.kr/wp/?p=249
Sort:  

좋은 정보네요, 참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