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  

그래요? @@ 놀랍군요.
그런 사람들이라면 적절한 대체복무를 만들어줘도 이런저런 핑계로 거부하겠군요.
그런데 병역 거부하는 사람 중에는 (그들이 다수긴 하지만) 여호와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니랍니다. (여호와가 아닌)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이번 대법원 결정이 잘못되었다 생각지는 않습니다.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는 적절한 대체복무제도가 만들어져도 거부한다면 그때 그들을 재단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변호사부터 재판 받은 사람까지 여호와였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병역의 의무를 군복무로 지고 싶지 않았습니다.
전차병으로 군 복무중 탱크에 발이 끼여 180도가 돌아갔던 사람으로서 자녀가 군복무를 대체할 수 있다면 권장하고 싶습니다.
애초에 좋아서 군대가는 사람은 없습니다.
국제표준이 징병제가 아닌데 '국제적 표준에 부합' 이 부분은 말이 안된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 사정인데 우리나라에 맞는 복무제도가 생겨야겠죠. 국제눈치보지말고.
후에 가서 평가해도 늦지 않다는 소리도 정말 무책임한 말 같습니다.
소 잃고 고칠 외양간은 없으니까요.

국제 표준이란 말, 그러지 않아도 쓰면서 오해하기 쉽겠다 생각했습니다. 저는 그냥 유엔 인권위에서 지적이나 당하지 않을 정도면 족하다는 의미로 썼습니다. 징병제 하는 국가중에 대체복무제 없어서 지적받는게 대한민국 하나인걸로 알고있어요.
군대에서 큰 부상을 당하셨군요. 전 다행히 큰 부상 당한적은 없지만, 맞습니다. 군대 위험하죠. 사망률도, 사고률도 높고 보상도 미미하죠. 사실 안가고 싶은게 99.9%의 사람들 마음일겁니다. 그런데 왜 가나요?
저는 신병교육대에서 뼈저리게 느낀게 있습니다. 여기 (군대) 정말 싫다고, 적응 못할 것 같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차마 탈영할 수 없었습니다. 전과자가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컸거든요. 대부분 비슷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누군가는 전과자가 되는 벌을 감수 하면서도 싫다고 말하더군요. 내가 극복할 수 없었던 '전과자'라는 낙인을 뛰어넘는 어떤 사람의 신념이라면 인정해주기로 했습니다. 이건 제 개인적인 경험에서 야기된 것이니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죠.
맞아요. 누군가는 나라를 지켜야죠. 하기 싫은 것도 해야죠. 그게 의무니까요. 그런데 총 잡기 싫어서 죽겠다는 사람에게 꼭 "감옥 아니면 총"의 둘 중 하나를 강요해야 할까요? 많은 병력을 잃지 않으면서 이런 사람들에게 선택을 주고, 국가는 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대체복무는 불가능한 걸까요?

그런데 이렇게 댓글을 달다 깨달았어요. 저에게는 이 문제가 '감옥 아니면 총' 2지선다를 '감옥 아니면 총 아니면 다른 무언가'의 3지선다로 바꾸는 문제인 반면에, 님에게는 '여호와=테러집단'이라는 인식 하에 그들의 어떤한 행동도 결국 '여호와 그들의 망상을 떠받드는 행위'로 해석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본 토대가 서로 판이하게 다르다면 결국 계속 얘기해봤자 헛바퀴 돌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님의 조곤조곤한 말투에 안심하고 갑니다. 대체복무 반대하시는 분 들 중에는 험한 분들이 많아서 사실 처음 댓글달 때에 좀 걱정했거든요. ^^

Loading...

아, 그리고 한가지 더요.
스티밋에도 있어요. 종교적 이유가 아니라 정치적 이유로 거부하신 분이요.

(제가 다 이해한다는 건 아니고, 이런 사람도 있다 하는 선에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https://steemit.com/kr/@daramzi/4dtbg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