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볼 : ZIL
플랫폼 : 이더리움 -> 질리카
시가총액 : 약 1조 7천억원 (5월 10일 코인마켓캡 기준 22위)
홈페이지 : https://www.zilliqa.com/
ZILLIQA
질리카(Zilliqa)는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 코인입니다. 기본적인 합의구조로 작업증명(POW)를 이용합니다.
질리카(Zilliqa)는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의 주요 문제점이었던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해, 샤딩이라는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샤드로 나누고 트랜젝션을 병렬적으로 처리합니다.
위 그림에서 샤드가 3개일 때, 4개일 때, 6개일 때 처럼 각각 샤드가 늘어날수록, 노드수가 늘어날수록 질리카(Zilliqa)의 확장성은 커지게 됩니다.
질리카(Zilliqa)는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로 트랜젝션을 검증하며, 여러개의 샤드에서의 다중 서명으로 고성능의 트랜젝션 처리속도를 실현합니다.
또한 Automata-Based의 SCILLA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스마트 컨트렉트를 구현하여서(Non-Turing Complete), 기존의 이더리움 솔리디티 보다 더 안정적이고 안전한 스마트 컨트렉트를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테스트넷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 해 3분기에 메인넷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질리카(Zilliqa)는 기존 플랫폼들의 확장성을 해결할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주목받아 왔습니다.
얼마전 고팍스에 상장하였고 현재 업비트와 빗썸에 각각 상장이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 한국에서 더욱 주목받을 코인이라 생각됩니다.
Reference
https://www.zilliqa.com/
https://ethereumworldnews.com/what-exactly-is-zilliqa-zil/
https://docs.zilliqa.com/zilliqa-slides-updated.pdf
짱짱맨 호출에 출동했습니다!!
짱짱맨 x 마나마인! 색연필과학만화
존버앤캘리에 이은 웹툰입니다
아이들이 보기에도 좋을꺼 같아요^^ 글작가님이 무려 스탠포드 물리학박사라고...... https://steemit.com/kr/@mmcartoon-kr/4cmrbc
ㅋㅋㅋ 웹툰 재밌네요 팔로윙하고 종종 봐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롱보드타는 코딱지예요!
샤딩기술은 이더리움에서도 도입하려고 하는 기술이라고 알고있는데 질리카에서 도입을 이미 했나봐요! 그런데 샤딩이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노드와 다른 개념인가요?ㅇㅅㅇ
이더리움에 도입하는 샤딩이랑 질리카에 도입하는 샤딩은 조금 다른개념인데요. 이더리움 같은 경우, 데이터의 크기를 나누는 것으로 알고 있고, 질리카는 트랜젝션(거래내역)을 나누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샤딩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조각, 조각으로 나눈다는 의미인데요. 예를 들어 기존에는 몇 천개의 노드 전체가 하나 하나의 거래내역을 중복적으로 검증하여, 블록체인의 속도가 느렸습니다. 그러나 질리카같은 경우, 몇 개의 노드마다 하나씩의 거래내역을 검증하도록 나누어서 노드가 많아질수록 거래내역을 병렬적으로 동시에 검증처리할 수 있게되어 빨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람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기존에는 노드1, 노드2, 노드3, 노드4가 트랜젝션1, 트랜젝션2를 처리하기 위해서 각 노드마다 2번의 검증을 했어야 했는데, 샤딩을 도입하면서 노드1, 노드2 -> 트랜젝션 1 / 노드3, 노드4 -> 트랜젝션 2 이렇게 동시에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