션즈화의 조선전쟁부록 16-6 스탈린 사후 소련의 한국전쟁 정전에 관한 입장

스탈린의 사망.jpeg

소련은 서방세계에 화해의 몸짓을 보여주었다. 3월 21일 모스크바 라디오 방송은 북한이 포로가된 9명의 영국외교관과 선교사가 석방되도록 적극적으로 돕는데 동의한다고 언급

며칠후 몰로토프는 김일성에게 편지를 보내 프랑스 국민 14명의 석방을 요구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현재의 상황에서 프랑스 정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화답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유리하기 때문”(480, 주59, 몰로토프가 라주바예프에게 보낸 전보, 1953년 3월 25일, АПРФ, ф. 3, оп. 65, д. 830, лл. 94-95.)

북한은 소련의 태도변화를 반겼다. 김일성이 환호를 지를 정도였다. 소련 특사는 “3월 29일의 2차회의에서 김일성은 소련정부의 조선문제에 대한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다시 한번 선언했으며, 이 제안이 반드시 신속하게 실현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일성은 현재의 상황을 더 지연시키면 조선과 중국 또는 전체 민주진영에게 불리하며, 소련 정부의 제안은 가장 현명하고 정확하다고 판단했다.

‘일선과 후방에서 북한의 손실(거의 매일 300-400명)이 매우 크기 때문에 미국과 송환포로의 숫자를 가지고 계속 토론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북한은 정전을 반대하는 중국의 입장을 못마땅해 했다.
중국이 정전을 반대한 입장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그것은 스탈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인해 한국전쟁으로 얻어야 하는 과실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실의 첫번째는 아시아 사회주의 운동에서 중국의 지도적인 역할이다. 스탈린의 사망으로 중국은 아시아 사회주의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모호해져버렸다.

두번째는 전쟁상황을 지속함으로써 소련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중국군을 현대화하는 것이었다. 소련은 중국의 의도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전쟁을 수행하는 이상의 충분한 군사장비를 지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탈린 집권 말기에 중국에게 군사장비를 많이 지원했는데 이는 중국으로 하려금 정전하지 말고 계속 전쟁상태를 유지하기를 바랐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소련의 중국에 대한 군사장비 지원의 양을 시기별로 분석해 볼 필요)

한참 전쟁을 실시할 51년과 52년보다 전선이 교착상태에 들어갔을 때 더 많은 장비를 제공해 준 것같음

중국은 소련의 입장변화가 달갑지 않았다. 그러나 모스크바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었다. 중국은 김일성에게 회담 재개를 통보했다.

러커농과 챠오관화는 3월 28일 개성으로 가서 클라크에게 회신을 전달하고, 3월 30일 조우언라이는 ‘조선정전회담에 관한 성명’을 발표했다.

Sort:  

Congratulations @wisdomandjustice!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more than 550 post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600 post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5 years ago  Reveal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