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가 참 많이 줄었죠. 누구나 공감합니다.
심지어 오늘 조금전 스몬 사장님 aggroed도 Steem is Dead!!!!!!!!!!!!!!!!!!!!! or is it? 라는 상당히 자극적인 제목의 글을 적었듯 영어권에서도 최근에 많은 위기의식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다는 취지의 글인데 제목이 너무 자극적이어서 오히려 더 불안하게 만드는 감이 없진 않네요ㅎㅎ) 얼마전 연락왔을때도 직접적으로 표현하진 않아도 그런 깊은 고민이 묻어나더군요.
과연 현 시점에서 뉴비만 많이 데려오면 무조건 좋을까?
주변에 추천할 때 스팀잇을 뭐라고 설명하시는지 또 스팀잇의 현재 상황을 어떻게 설명하면서 보통 추천하십니까?
안타깝게도 객관적인 설명보다 사람이 느는 것이 스팀 가격 상승에 도움이 될 것 같으니 추천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한명을 추가로 스팀잇을 시작하게 하는 것도 어렵지만 만약 그 사람이 스팀잇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되면 오히려 더 큰 역효과만 날 뿐입니다. 그 뉴비가 주변에 스팀잇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게 되겠죠.
특히 객관적으로 잘 설명해주지 않았다면 추천한 본인의 평판에도 분명 악영향이 갈 겁니다. 뭐야 자기가 투자해서 손해보고 있으니 나까지 끌어들인거 아니야란 생각도 하겠죠.
현 시점에서 스팀 구매에 관심 없는 유저가 스팀잇 시작해서 만족할 확률이 얼마나 높다고 보시나요?
인간은 누구나 상대적 비교에 민감합니다.
현시점에서 보팅봇형 토큰 구매나 스파임대 없이 괜찮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뉴비는 거의 없을 겁니다.
물론 스팀잇만큼 누구나 시작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없고 전 이부분만큼은 큰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보상의 크기에 대한 상대적인 불만이든 절대적인 불만이든 대부분의 유저는 그 글이나 그림 돈받고 받아줄 곳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 보상이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은 분명한 장점입니다.
본인 인건비는 커녕 최저시급이 안 나온다한들 취미 활동이라 생각하면 취미생활하는데 덤으로 보상도 좀 나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불만이 나오는 것은 결국 상대적인 비교 때문입니다.
나는 이렇게 열심히 글을 썼는데 저사람은 별거 아닌거 갖다 붙여도 저렇게 많은 보상을 받네. 그 순간 아무리 취미활동이라 생각하려해도 기분이 좋을 수가 없을 겁니다.
그럼 너도 투자하면 되잖아? 라고 말하는 순간 과연 그 길을 걸을 사람이 몇이나 될지.
최근 스팀잇은 점점 자신의 지분만큼 보상받는 추세로 가고 있습니다.
과거에 보팅봇 사용을 꺼려했던 분들 중 많은 분들이 이제는 사실상의 보팅봇 사용자 및 한 걸음 나아가 공동 소유주가 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부분도 이부분인데, 과거에 스팀잇은 이런 저런 서비스를 먼저 만들고 스파임대를 일종의 투자나 지원으로 받았고 전 그런 부분이 참 좋았습니다. 좋은 아이디어와 실체가 있으면 기꺼이 사람들이 보팅봇 등에 쓰는 것보다 당장 수익은 적어도 지원을 하는 모습 말이죠. 하지만 현재는 많은 부분 사실상의 보팅봇에 자금이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대안으로 지원할만한 신규 서비스들이 딱히 없는 상황과, 장기침체로 인한 피로 누적, 목빠지게 기다리던 SMT 비슷한 뭐라도 나온데에 대한 기대감 등 복합적인 이유가 있을 겁니다.
분명히 말하지만 이것이 잘못되었다라는 것이 아닙니다. 개개인이 본인 이득 추구하겠다는데 뭐가 잘못인가요? 현 스팀잇은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단 그렇게 쉽게 늘어나는 코인의 가치는 어떻게 될지.
물론 여전히 암호화폐 가격은 특히 스팀 가격은 외부 영향이 더 큽니다. 비트코인 갑자기 오르고 그러면 스팀도 덩달아 오르겠죠. 그래서 전 스팀의 가격에 대해선 알지도 못하고 예상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현재 스팀잇의 가장 큰 문제
무엇보다 적어도 현 시점에서의 스팀잇은 현실 속에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일수록 매력이 떨어지는 구조입니다.
해당 내용은 광고, 중앙화 큐레이션, 유료구독... 스팀잇이 살 길은?의 글에 자세하게 쓴 적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환경에서 좋은 작가가 왜 안들어올까 푸념하시는 분들보면 솔직히 이해가 안됩니다.
반대 입장이 상상이 잘 안 갈 수도 있겠습니다만 입장 바꿔놓고 생각하면 바로 이해가 될텐데 말입니다.
왜 현실에서 좋은 대접 받는 사람이 여기와서 남과 비교되며 고생합니까?
광고수익배분이나 압도적인 중앙화 큐레이션 없이는 정말 블록체인 SNS에 대한 호기심이라던지 취미로 하는게 아닌 다음에야 괜찮은 작가가 들어올 수 없습니다.
작년 연매출 150조 가까이되는 구글이나 60조 정도 되는 페북과 비교할 수는 당연히 없지만 트위터만 해도 연매출 3조 정도 됩니다. 물론 이 3회사는 매출 90%이상이나 그 가까이가 다 광고에서 수익을 얻습니다.
그 외부에서 오는 수입 없이 어떻게 좋은 작가에게 충분한 보상이 갈 수 있을까요?
(보상의 규모를 떠나 아직도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는 것도 현실적인 큰 걸림돌입니다.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는다는 것 자체가 많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보상 금액을 안보여주면 어떨까?
보상 금액을 보여주지 말자는 의견을 종종 보게 되고 초창기에 저도 잠깐 그런 생각을 해봤지만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스팀잇 자체가 보상이 주어지는 컨셉이라 메인 UI에서 해당 기능을 뺄리가 만무하고 뺀다할지라도 인간은 누구나 호기심이 있어서 보상을 보여주는 UI가 있다면 결국 그걸 더 많이 쓰게 될 것이라 실효성이 없습니다. 진정으로 보상을 숨기려면 블록체인 자체를 재설계해야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현실적 대안은 (물론 이도 블록체인 변경 필요) 보상 거절글(현재 존재하는 기능을 변경하든 새로운 보상 형식을 도입해서)에는 보상금액이 아예 블록체인 레벨에서 반영이 안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보상이 아쉽지 않은 인사는 보상 거절로 글을 쓰면 민망한 상황을 피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원한다면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스팀잇을 주변에 추천한다면
앞서 말했듯 누구나 보상을 시작부터 받을 수 있다는 점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겪어보지 않고는 모르겠지만^^) 본인이 남과 비교되는 것에 민감하지 않다면, 또 블록체인 자체나 블록체인 기반 SNS가 궁금하다면 충분히 추천할만하다 생각합니다. 또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어떤지 체험해보고 싶어도 추천해줄 수 있을 것 같고요. 아이러니하게 탈중앙화의 한계나 현 스팀잇의 문제점을 경험해보고 싶다면 적극 추천해줄 수 있겠네요^^
물론 한번 작성한 글은 수정을 하여도 모든 기록이 영구적으로 남는 등 로그인, 읽기 제외 거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는 기본적인 스팀잇에 대한 주의사항이라던지 원래 암호화폐 투자 경험이 전무한 사람이면 암호화폐 투자에 지나치게 빠져들지 않기를 주의시켜주면서 소개해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주변에 스팀잇을 잘 소개 못하는 이유가 잘 써있네요 :-)
네 현실적으로 집에서 소일거리 삼아 테이스팀 같은 것 포스팅하실 여력되는 분이면 모를까 마냥 소개하기 쉽지 않죠. 일단 현실적으로는 아직 암호화폐에 대한 거부감도 가장 큰 장애물입니다. 블록체인이나 암호화폐 이미 투자자가 아니곤 소개하기 부담되죠 그거 하나로도.
곰돌이가 @aaronhong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1을 보팅해서 $0.012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4537번 $51.479을 보팅해서 $57.555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dramatoken
왜 좋은(?) 작가가 안 들어오는지 모두 알지만 모두 쉬쉬하는... ^^ 여긴 글 써서 보상받는 곳이 아니라 블록체인 SNS일 뿐인...
네 광고수익 배분, 유료 미리보기 등의 기능 구현없이 솔직히 좀 힘들죠. 암호화폐로 보상이 나오는 것도 사실 엄청 큰 이유이고요.
그리고 상대적 박탈감과 민망함이 참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이게 정말 큰 이유 같습니다 ㅜ
zorba님이 blockchainstudio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zorba님의 [2019/5/8] 가장 빠른 해외 소식! 해외 스티미언 소모임 회원들의 글을 소개해드립니다.
잘 지내시죠? ㅎㅎ 그동안 유토피안 증인 글을 포함해 여러 글들 잘 보았습니다. (따로 댓글은 남기지 못했네요. 댓글이라고 하기에는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아서 ㅎㅎ) 유토피안도 그렇고 스팀잇 신규 유저 관련해서 제가 해당 서비스를 처음 이용해 본 시점을 기준으로 평가해봐도 딱히 개선된 점(SMT, 증인 선발, 커뮤니티 관리 등)이 떠오르지 않는다는게 현재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 같습니다. 문제점이 발견된 지 오래되었는데도 여전히 개선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시장에서 그냥 사장되는 거죠. 이정도 기간까지 버틴 것이 새삼 신기할 따름입니다. 신규 유저는 타겟(개인, 커뮤니티 구축, 기업)에 따라 조금씩 다른 전략으로 접근해야 겠지만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DApp 중에는 그나마 쓸만한 도구라고 추천은 할 수 있지만, "가치있는 글에 대해 커뮤니티 투표로 보상을 제공한다"는 스팀의 기본 원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이들을 활동적인 스팀 커뮤니티 구성원으로 정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기본 원칙이 문제가 있다면 개념 정립부터 재고해봐야죠) 기업의 제품 홍보 창구로 이용하는 측면도 인스타와 비교해서 접근성이 떨어지고(스팀 기반 APPICS는 소식조차 안들리네요), 해당 영역의 커뮤니티도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라면 기업 입장에서 스팀에 진출해야하는 이유를 느끼지 못할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스팀=보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같은데 제가 느끼는 스팀의 최대 강점은 평판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스팀 엔진 도입과 함께 등장한 JJM, ORG(귤 토큰), stablewon 같은 프로젝트는 누적된 평판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팀 엔진이나 SCOT 등이 메인에 반영될 가능성은 여전히 낮아보이기 때문에 스팀의 미래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지만(가격 펌핑오면 다시 이 모든 문제를 덮은채로 살아남을지도 모르겠네요), 스팀 3.0(어떤 프로젝트가 될지는 모르겠지만)은 보상보다는 평판쪽에 초점을 맞추고 중앙 집권형 큐레이션으로 진행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이 평등한 관계라는 착각에 빠져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우리는 블록체인 위에서 글을 쓰긴 하지만, 결국은 회사가 만든 플랫폼이며, 그걸 만들어서 제일 큰 돈 벌고 제일 유지해야 되는 건 그 회사라는 사실입니다. 유저들은 스팀잇에 목숨걸면 더 큰 문제가 생긴다고 봅니다. 근본적인 건 결국 우리가 바꿀 수 없어요. ㅇ_ㅇ;;;; 그건 고래나 뉴비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는 스팀 자체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팀잇 회사 안 쪽에 길을 열어야 되는 거구요. 위원이나 증인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고 보고요. 특히 KR에서 증인이나 위원이 많이 나와야지 스팀이 오릅니다. 이유는 여기 에이스인 사람이 제일 많아요.
그리고 유저들이 살 수 있는 건 결국 컨텐츠라고 생각합니다. 투자를 하든 컨텐츠를 만들든 간에 컨텐츠를 만들고 스팀과 연결하고 또다른 자신과 연결된 플랫폼과 연결하는 것. 그것으로 힘을 얻는다는 생각을 하는 게 살길이라고 봅니다. 대부분 여기는 투자자나 창작가 성향이신 분들이 많잖아요. 컨텐츠와 커뮤니티를 만들어가는 게 장기적으로 우리 모두에게 좋다고 생각해요.
곰돌이가 @urobotics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1을 보팅해서 $0.012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4549번 $51.562을 보팅해서 $57.748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아이고 살았다. ㅎㅎ 곰돌이 감사합니다, ㅎㅎ
개인별로 애드센스만 붙어도 홍보효과가 엄청날것 같습니다. 구글에서 검색되어지는 글로 유입되는 경우가 꽤 많은 걸로 알고 있고 그렇게 되면 티스토리 유저들이 건너올 확률도 많고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세 영향에서도 좀 자유로울 수 있을것 같은데 말이죠.
딴 이야기지만 busy내의 검색창은 그냥 아무 쓸모도 없어 보여요. 검색되는게 하나도 없습니다.ㅎㅎ
애드센스를 달 수 있으면 좋을텐데 그 과정이 현재는 좀 험난해보이네요. 일단은 UI를 많이 바꾸어야할텐데. 그리고 구글 심사가 잘 통과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스팀잇에서 구글에 일단 잘 이야기해서 전반적인 합의를 거친후 결국 개별 유저 심사에 들어가게 되는 식이 될텐데.
그렇다고 자체 광고수익분배시스템 만들 여력은 더 안될것이고요.
busy검색기능은 저도 지금 존재를 재확인했네요. 이전에 esteem검색기능 버그 고쳐줄때 비교해봤는데 네 유저 찾기정도 되는수준이었던가ㅎㅎ 그때빼곤 한번도 안써본듯. 어차피 그냥 구글에서 필요한거 검색하면 왠만큼 찾아지다보니^^
곰돌이가 @kiwifi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1을 보팅해서 $0.012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4538번 $51.490을 보팅해서 $57.567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가격이죠...천원이상이 되야 매리트가 잇는데..아님 광고수익을 스티머들에게 분배한다거나 그런것도 아니라서..어쨋든 버티면 좋은날 오겠죠...스팀 갯수도 소각시키던가 해서 물량을 줄이는것도 도움이 될테구.
곰돌이가 @futurecurrency님의 소중한 댓글에 $0.011을 보팅해서 $0.012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4543번 $51.529을 보팅해서 $57.643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이런 환경속에서 유저만 는다는게 악화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나 악질 유저의 증가는 스팀가격에도 좋지 않다고 봅니다.
JJM이 엔진토큰으로는 첫 시작이었으니 앞으로 역할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미 다른 활용방안에도 많은 고민을 하고 계신걸로 아는데 현실에서도 영향력 있는 분이시니 정말 뭔가 사례가 만들어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 저는 응원차원에서 소액 보내드렸다가 무상 보팅을 중단하신데다(물론 이부분은 어쩔수없다고 생각합니다. 스팀피플과 연계하면 모를까 솔직히 과거에 대충봐도 어뷰징이 정말 많긴했습니다. 게다가 무료로 제공해야할 이유도 없고요) 금액이 자꾸 커져서^^ 보팅만으론 가치 평가해봐도 더 상승여력은 있겠지만 부담되어서 적절할때 팔아서 스파업 했습니다. 투자를 딱히 제대로 해본적도 없지만 제 코인투자중 최고의 수익률이었네요ㅎㅎ 감사합니다.
스팀잇 유저가 많아지는 것보다는 스팀잇 투자자가 많아지고, 스팀잇을 검색해서 들어오는 트래픽이 많아지는게 더 좋은 것 같아요. :)
Here's your
DRAMA
. Don't spend it all in one place!To view or trade
DRAMA
go to steem-engine.com.무엇보다 중앙화된(코인을 대부분 보유한) 권력을
가진 스팀inc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자기들 자산을 지키기 위해 외부 기업의 투자를
유치한다든지 해야 하는데 느려터진 개발속도
외에는 보여주는 것이 없고
오히려 유저들이 미래를 걱정하는 이상한 상황...
아직은 탈중앙화가 되지 않은 중앙화 상태이므로
스팀inc에서 인큐베이팅을 해줘야죠.
그리고 탈중앙화를 외쳐야 하는데...
코인 판매만 하고 있으니 스캠급 코인이 1/10
떨어질때 스팀은 1/20 떨어진 것이죠
보상이 USD 로 표시되는 걸 일단 steem 이 됐든 뭐가 됐든 다른 단위로 표시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할 것 같아요. 본문 말씀 처럼 보이지 않아도 좋을 것 같고요.
스팀 시세 따라 표시 금액이 출렁이니 덩달아 멘탈 출렁이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덧붙여 단순히 새로 시작하는 분들의 증가는 크게 의미 없다는 데 공감하고요. 새로 시작하는 분들의 숫자가 아니라 새로 시작하는 이유가 더 의미가 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왜 스팀잇을 하고, 스팀잇에서 뭘 얻어가려고 할까 말이죠.
어떻게 나아갈지 모르겠습니다. 초기의 방향성은 이미 많이 희미해진 것 같은데, 앞으로는 어떤 방향성이 공감대를 형성할런지 궁금합니다.
zorba님이 blockchainstudio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zorba님의 [2019/5/06] 가장 빠른 해외 소식! 해외 스티미언 소모임 회원들의 글을 소개해드립니다.
zorba님이 blockchainstudio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zorba님의 [2019/5/7] 가장 빠른 해외 소식! 해외 스티미언 소모임 회원들의 글을 소개해드립니다.
UX디자인이 좀 엉망이긴 합니다.
사용하기가 쉽지 않아요 ㅠ.ㅠ 그렇다고 개선도 없고.
뉴비가 와서 이 UI에 적응하기 쉽지 않을 겁니다. 아마도..
이 불편함을 감수하고 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li-li님이 blockchainstudio님을 멘션하셨습니당.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연결되용~ ^^
li-li님의 한쿡세계시민 #61 (1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