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오히려 자정작용의 한 측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날이 있으면 저런 날도 있겠죠. 그 과정에서 얼마나 생산적이고 상생을 위한 대처를 하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마 비판을 하시는 측도 마음이 편하지 않을 겁니다. 그런 분들을 또다시 비판하고 또 이걸 비판하고 하면 끝이 없겠죠. 받아들일것 받아들이고, 정리할건 정리하고, 그러면서 서로의 입장을 더 이해하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오히려 자정작용의 한 측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날이 있으면 저런 날도 있겠죠. 그 과정에서 얼마나 생산적이고 상생을 위한 대처를 하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마 비판을 하시는 측도 마음이 편하지 않을 겁니다. 그런 분들을 또다시 비판하고 또 이걸 비판하고 하면 끝이 없겠죠. 받아들일것 받아들이고, 정리할건 정리하고, 그러면서 서로의 입장을 더 이해하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정작용이라는 것은 이런 과정을 통해서 무엇인가 실질적인 조치가 취해지고 다음에는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겠지요.
한번 이야기 하고 마치 아무일없는 것 처럼 지속된다면 그것은 자정이 아니라 기정사실을 인정해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우리는 선택해야 합니다.
정말 자정을 할 것인가
아니면 기정사실을 인정하고 @yoonjang0707과 그 일당들을 아무일 없었던 것 처럼 받아 들일 것인가?
맞는 말씀입니다. 드러난 사실에 근거해서 커뮤니티가 수용 가능한 행동을 해야 합니다. 다만 그 과정을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건 없었으면 합니다. 사실 이런 부분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약한 부분이기도 하고요. 시간될 때 짧은 글 하나 올리겠습니다
네 @clyop님 '정반합'에 의한 발전적인 비판은 당연한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소모전적인 비난의 수위가 높아지면 모두가 피해자가 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간 kr커뮤니티를 키우기 위해 노력한 @clayop님 마음만 하겠습니까만은 작금의 상황은 이제 두려운 지경에 도달한 것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이렇게 연락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쪼록 서로를 인정한 해결안이 조속히 나오기만을 고대하고 있습니다.
작금의 상황을 소모전으로 보는 것은...글쎄요
학교에만 스승이 존재한다는 생각보다 그 어디라도 따르고 싶은 사람은 스승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oldstone님의 글을 읽으며 항상 존경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겐 @oldstone님도 스승이라 믿고 있습니다.
지금의 상황을 스승의 선택에 맡기고 기대고픈 심정으로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비겁하고 수동적인 모습일 수 있지만 지금의 제게는 그 어떤힘도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그 친구가 저지른 부당하고 정직하지 않은 짓에 굴종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정리되지 않으면 kr 코뮤니티는 붕괴되겠지요.타산적인 측면에서 볼 때 @sochul님의 경우 스티밋에서@yoonjang0707이 일으킨 사태로 인한 손실이 그간의 이득보다는 더 크지요.
모두의 손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내가 사람을 죽였다면 제가 죽더라도 방어할 겁니다. 아내의 일에 대해서는 저 또한 이성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이외에는 이득의 유무보다 저 또한 제가 정한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정의롭지 않다고 느끼면 자신의 이익도 쉽게 포기하지요. ㅎㅎ
인간이란 존재는...
이익을 포기할 정도의 기준이 무엇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