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 완전정복 7. 가슴압박의 효과적인 방법 및 사례분석 How to do chest compression (심폐소생술 4)

in #kr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lylm 입니다.
차가운 칼바람이 부는 요즘입니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이 호발하는 계절이지요. 미끄러운 빙판길 때문에 교통사고 및 낙상 환자도 부쩍 늘어나고요. 모두들 건강 잘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youtube에서 발견한 인상적인 영상을 함께 보았으면 합니다. 심폐소생술의 실제 사례이며, 어떻게 이런 시리즈물을 만들었는지 감탄했습니다. 초반이 길게 느껴지시면 5분가량 부터 재생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오늘의 주제, 어떻게 가슴압박을 하는 자세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1. 손의 위치 좋습니다.
  2. 깊이는 적절해보입니다. 환자의 몸집이 큰 편이니 깊이가 깊어보이지만 제 경험상 적절한것 같습니다.
  3. 속도는 초반에는 과하게 빨라보입니다. 이후 구조자가 조금 지쳐서인지 느려졌는지 오히려 분당 100회에 가까워 보입니다.
  4. 환자의 몸집이 크지만 압박만큼 리코일도 훌륭하고
  5. 이 정도면 지속성도 좋아보입니다.

결론, 좋은 가슴압박으로 판단합니다.

그 외의 감상포인트를 몇가지 꼽아보겠습니다.

  • 앞선 포스팅에서 구조호흡 없이 가슴압박만 하면 된다고 설명드렸습니다. 이는 일반인의 경우이고 본 영상의 사례는 응급구조사 paramedic 팀에 의한 처치이므로 30:2의 가슴압박 및 구조호흡이 권장됩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 주인공은 가슴의 쥐어짜는 듯한(cramp) 통증을 호소합니다. 상지의 저림도 호소합니다. 식은땀을 흘립니다. 전형적인 급성심근경색의 증상입니다.
  • 엎드려서 숨을 쉬는게 편한 듯 합니다. 호흡곤란의 원인이 심장일때 보이는 증상입니다.
  • 대화가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의식이 흐려지다가 호흡이 멈춥니다. 의식 소실과 호흡 정지만으로도 급성심정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심장충격기를 최대한 빨리 붙이고 심정지가 의심되면 사용합니다. 적절한 조치입니다.

좋은 가슴압박은 다섯가지 항목이 적절할때 완성됩니다.

  1. 손의 위치와 모양
  2. 깊이(depth)
  3. 속도(rate)
  4. 누른만큼 빼기(degree of recoil)
  5. 압박의 지속성(Chest compression fraction)

첫번째, 손의 위치와 모양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 응급처치 완전정복 6 에서 자세히 말씀드렸습니다. 2~5번은 짧게 요약하겠습니다.


깊이

가슴압박의 깊이는 약 5cm가 강력히 권장됩니다.

이보다 얕은 깊이의 압박은 자발순환회복(Return of systemic circulation), 다시말해 맥박이 돌아올 가능성을 낮춥니다.
자발순환의 회복 이후 신경학적 예후(의식이 돌아오는 정도)도 안 좋습니다.

속도

분당 100회에서 120회의 가슴압박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
분당 100회의 메트로놈을 들어봅시다.

이 속도의 가슴압박이 자발순환회복과 생존퇴원률을 최대한 높입니다.
120회가 넘는 속도는 5cm보다 얕은 가슴압박의 가능성을 높이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가슴압박 후 누른만큼 빼기

연구결과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가슴압박 5cm 후 그만큼 빼주는것(chest recoil)이 합리적입니다. 다시말해 환자에게 기대지 말자는 것입니다.

1~2분간의 가슴압박만으로도 누구나 쉽게 지칩니다. 실제로 엄청 힘든 작업입니다.(위에서 본 영상에서 느끼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도움을 주는 사람이 많아야 합니다. 2분마다 교대할 것을 권장합니다.

압박의 지속성

급성심정지 총 시간 중 80% 이상, 가슴압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기대한다는...어설픈 표현 죄송합니다. 최소 얼마 이상 하라는 연구결과가 없습니다.)

다시 말해, 가슴압박외에 제세동기를 붙이거나(영상에서 보시듯), 의식을 확인하거나, 구조자가 교대를 하거나, 호흡보조를 하는 등의 시간을 최소화 하자는 말입니다.


저의 심폐소생술 시리즈는 미국심장협회 AHA 의 CPR & ECC guideline 2017 및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대한심폐소생협회가 제작한 2015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의 내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youtube 및 무료이미지 사이트의 도움을 받고요.

유튜브에 공개 되어있긴 하지만 어렵게 시리즈물을 만든 Bondi rescue 제작팀과 무사히 회복한 환자분께도 감사를 전합니다.
Thanks to producers and the patient from this youtube content. I really appreciate that you made and shared such a good TV series.


투명배경.png

의사들이 직접 쓰는 최초의 STEEM 의학 매거진

https://mediteam.us-바로보기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정말 귀중한 정보글입니다. 이런글 앞으로 많이 부탁드립니다.리스팀,보팅하고 갑니다

그렇게 생각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연재는 꾸준히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this youtube content

good? ;)

정리가 잘 된 좋은 글이네요ㅎㅎ

정리하는 법은 당뇨글보며 배웠습니다 ^^ㅎ

CPR은 주기적으로 반복 복습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ㅎㅎㅎ 리스팀해갑니다. 평생에 딱 1번 만날지라도 기본술기인것 같습니다 ㅎㅎ 덕택에 다시 학습하고 갑니다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forhappywomen 님 :)

Congratulations @lylm!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Good day. . .**

Good day~~**

좋은 하루 되세요..~!

이것 하나만으로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으니 정말 모두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몇번 교육을 받았었는데 잘 기억해두었다가 긴급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말고 실행해야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렇게 읽어봐주시니 감사합니다^^ 집짓기 포스팅을 재밌게 구독하고 있답니다!

심폐소생술 강의를 들을 때 위의 동영상과 비슷하게 해변에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영상을 본 기억이 납니다. 한 사람이 압박을 하다가 지치니 옆 사람으로 교대하며 압박을 하더군요. 시청각 자료를 보는 것 만으로도 큰 학습 효과가 있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