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으로의 초대 - 8. 도덕경(道德經) 8장 상선약수(上善若水)

in #kr7 years ago (edited)

대문이미지.jpg

노자의 도덕경 8장에 나오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선약수(上善若水) 수선이만물이부쟁(水善利萬物而不爭)
처중인지소오(處衆人之所惡) 고기어도(故幾於道) 거선지(居善地)
심선연(心善淵) 여선인(與善仁) 언선신言善信) 정선치(正善治)
사선능(事善能) 동선시(動善時) 부유부쟁(夫唯不爭) 고무우(故無尤)」

그 의미를 아래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가장 좋은 것은 물과 같다.
물은 온갖 것을 잘 이롭게 하면서도 다투지 않고,
모든 사람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머문다.
그러므로 도에 가깝다.
머물 때는 물처럼 땅을 좋게 하고,
마음을 쓸 때는 물처럼 그윽함을 좋게 하고,
사람을 사귈 때는 물처럼 어짊을 좋게 하고,
말할 때는 물처럼 믿음을 좋게 하고,
다스릴 때는 물처럼 바르게 하고,
일할 때는 물처럼 능하게 하고,
움직일 때는 물처럼 때를 좋게 하라.
그저 오로지 다투지 아니하니 허물이 없다.」

참으로 놀랍다.
비록 노자는 대성인의 지혜로움을 가진 분이라서
충분히 이렇게 비유적인 내용으로서 물의 성질을
가지고서 인간의 덕(德)을 펼침에 대한 방법론적인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분이겠지만, 그 적용과 통찰의 깊이가
참으로 대단하고도 놀랍다.

노자의 도덕경 8장 내용을 다르게는 인간이 가져야 할 올바른 덕목으로서,
수유칠덕(水有七德)이라는 내용으로 해석을 하기도 한다.

첫째, 겸손(謙遜)이다.
물은 욕심이 없다. 물은 항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만 찾아 흐른다.
이 땅의 모든 생명체가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높은 곳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고 있을 때, 물은 자신을 낮추고 낮춰서 낮은 곳으로만 찾아흐르니
이를 겸손이라 한다.

둘째, 지혜(智慧)이다.
물은 다투지 않는다. 흐르다가 막히면 곧장 돌아간다.
오늘날 자신을 거스른다는 이유만으로 묻지마 폭행,
살인을 일삼고 있을 때 물은 폭력보다는 양보의 미덕으로
돌아갈 줄 아니 이를 지혜라고 한다.

셋째, 포용력(包容力)이다.
물은 무엇이든지 다 받아 준다.
깨끗한 것이거나 지저분한 것이거나 모두 다 받아준다.
오죽하면 다 받아준다는 의미로 큰 물이 모인 곳을 '바다'라고 할까?
이것이 곧 포용력이다.

넷째, 융통성(融通性)이다.
물은 담기는 그릇을 가리지 않는다.
자신에 맞는 예쁘고 아름다운 그릇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질그릇이나 깨진 그릇에도 서슴없이 담기니, 이를 곧 융통성이라 한다.

다섯째, 인내(忍耐)이다.
물은 끈기와 인내로 지칠 줄을 모른다.
인위적으로 물길을 막지 않으면 끊임없이 흐른다.
물길을 따라 흐르고 떨어지는 낙수는 단단한 바위도 뚫는다.
하루 아침에 뚫는 것이 아니라 오랜시간 끈기를 가지고
결국 단단한 바위를 뚫어 내니 이를 인내라 한다.

여섯째, 용기(勇氣)이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찾아 흐르는 겸손을 가졌다.
낮은 곳을 찾아 흐르다보면 때로는 장엄한 폭포에서 자신을
투신해 작은 물방울로 부서지는 아픔을 참는다.
이를 용기라 한다.

칠곱번째, 대의(大義)이다.
작은 물줄기가 부서지고 깨지는 긴 여정을 견뎌 큰 강을 이루고 바다에
모이니 이를 대의라 한다.

위의 내용들은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그 내용을 비슷하게
해석을 해왔고 현실에 적용을 해오면서 인간의 덕목으로서 가장
중요한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간추려 낸 것들이고,
그것이 이미 널리 알려진 것들이라 누구나 다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B9%B0%BEȰ%B3.jpg

하지만 나 자신은 한 가지 다르게 보는 내용이 있다.

상선약수(上善若水): 가장 선한 것은 물과 같다.
이렇게 해석을 하지만, 과연 선한 것에 대한 개념을 인간의 머리로서
어디까지 어떤 것이라고 종 잡을 수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노자는 이미 인간의 선(善)함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를 지구문명의 범주를
벗어난 고차원적 차원에서까지 해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으니
물의 성질을 선(善)함에 대한 해석으로 적용을 시킬 수 있었겠지만,
인간들이야 선하다 혹은 착하다 라는 의미를,
너무나 주관적이고 개인의 체험적인 차원에서만 편협하게 이해를
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이 문제가 결코 간단하게 받아넘길 문제가 아닌것 같다.

사실상, 위의 수유칠덕이라는 내용을 찬찬히 음미해보시라.
과연 그 내용이 인간의 행동양식에 국한되어서 재해석된 내용이지,
그 내용자체가 진정 선함이 무엇인지를 원리적으로
간파할 수 있는 내용이던가?
결국은 인간의 머리수준에서만 판단할 수 있는 선함에 대한 개념의
차원을 가지고 재해석된 것일 수밖에 없다.

이것은 정말
너무나 쉽고 간단하고 가장 기초적인 문제이다.
선함의 진정한 의미, 착함의 진정한 의미
그러나 이것은 정말
알고보면 가장 난해하고 어렵고 해석이 불분명한 문제이다.

지구상 인간들에게 착한 선함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요?를 구체적으로
따지고 물어보라. 철학자나 인문학자들도 그 해석이 다양할 것이다.
그러고보면, 사랑이 무엇이냐? 라는 개념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사랑이 무엇이냐? 라는 너무나 단순하지만
너무나 어려운 질문과 마찬가지가 아닌가?

그래서, 우리 인간은 사랑이 무엇인지 완전히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체험의 여정을 걷는 미완성의 존재인 것이고,
결국 사랑이라는 단어는 정의(定義)가 내려지지 않는
불완전한 미정의(未定義)의 상태로 존재하는 단어일뿐이다.

이처럼 우리 인간은 선함이 무엇인지 완전히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체험의 여정을 걷는 未완성의 존재인 것이고
결국 선함이라는 단어 역시 정의(定義)가 내려지지 않는
불완전한 미정의(未定義)의 단어인 것이다.

Sort:  

와... 해주신 말씀에 공감합니다. 선과 악을 무엇이라 정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경험의 세계에 발을 들이며 스스로 선과 악을 구분하는 것이겠지요. 때문에 해주신 말씀처럼 경험이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선과 악을 무엇이라 정의 내릴 수 없지만
내 안에 선과 악을 끊임없이 구분해내고
수유칠덕을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수행의 시간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보팅하고 퍼가곗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선과 악의 의미를 깨닫기 위해서 우리는 윤회의 고리 속에서
계속되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겠지요.

현실에서 선함이란 ‘나에게 득이되면 선 아니면 악’으로 다가오지만
근원에서의 선함이란 ‘악이란 없으며 모두 선하다’ 아닐까요
조두순같은 살인마마저도 말이예요

저희집 텃밭에 여러 가지 잡초가 나는데
뽑다보면 둘로 나뉘어요
질경이 같이 참기름해서 무쳐 먹으면 한끼 찬으로 손색없는 잡초와
꼭 나도 지렁이가 꿈틀꿈틀 기어가는 것같이 나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쇠비름같은 잡초로요
하지만 최근에 알았는데 어떤이에게는 쇠비름조차 훌륭한 약재로 쓰이더군요
이처럼 우리의 이분법적 시각을 뛰어넘는 근원적 관점으로 보면
모두다 나름대로의 쓰임이 있고 효용이 있어
우리가 소위 ‘악’이라 일컫는 행위조차 (근본적으로는) ‘선’을 베푸는 건 아닐까요.?
크나큰 고통을 겪고나면 정신적으로 훌쩍 성장하게 되죠
깨달음이란 관점에서 보면 누군가의 악한행위가 득을 준 셈....

의문의 어미로 종결지을 수 밖에 없는 쉽지 않은 문제네요
생각의 폭을 넓혀볼 수 있는 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감되는 말씀입니다. 태초에 우주의 본성 자체는 완전한 선이지만,
이것이 가려지고 멀어지면 그것이 악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되는 것이겠지요.
그래서 악이라는 개념도 원래는 선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라는 것으로
볼 수도 있겠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돌아볼 말씀입니다.
리스팀합니다.

원문과 해석에 그치지않고 다시 한번 성찰해보는 학자의 파르란 눈길....참 매력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