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에서 필수여야만 하는 것은 없느 것 같습니다! 합의알고리즘도 필요에 의해 쓰는 것이고, 없어도 되고요. 블록을 안 만드는 분산원장들도 있습니다. ㅎㅎ
토큰도 마찬가지죠. 그게 인센티브 및 패널티 역할이 필요하기 때문에 쓰는 것이지, 굳이 필요없으면 안 써도 됩니다. 하지만 분산화 시스템에서 인센티브가 없으면 참여자들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필요한 것입니다. 만약 전자 문서 인증과 같은 경우, dapp을 활용하긴 하지만 중앙화된 시스템에서 처리하게 되면 굳이 토큰이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
오픈소스도 같은 맥락입니다. 신뢰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투명하게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소스를 오픈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신뢰할 만한 기업이 블록체인을 활용한다면(굳이 필요할까 생각도 되지만...) 소스를 오픈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블록체인은 하나의 고정된 체계가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만드는 것입니다! ㅎㅎ
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헉! 제가 댓글 적었다가 좀 더 생각하면서 검색해보니 스스로 질문에 대한 답을 대충 알 것 같아 질문을 (아직 안 보신줄 알고 ㅠㅠ) 수정했는데 답변을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위에서 블록체인이라 말한 것이 전부 '퍼블릭 블록체인'이라 당연히 여기고 생각을 해서 오류가 생긴 듯 합니다. 다 아실 텐데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지 궁금해서 적어보겠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인 스팀잇의 경우에서 '스팀잇이 광고를 받으면 광고주들은 누구에게 돈을 주어야하는가?'라고 생각한다면 광고주들은 스팀을 사서 그 스팀을 이용해 광고를 올리는 시스템과 비슷하게 광고를 해야할 것입니다. 그로부터 개발자를 비롯한 스팀 재단은 스팀이란 코인의 가격적 상승만 경제적인 이득으로 연결이 됩니다.
흔히 퍼블릭 블록체인이 분산화를 통해 중개자의 수익이 사라져 비용절감이 생긴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dapp 개발자들은 dapp '토큰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익'을 제외한다면 어떻게 지속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나요? 만약 지속적 수익이 있다면 탈중앙화가 덜 된 것이고, 중앙화가 된 탓에 중개자의 모습과 같이 수수료 성격의 수입을 받는 것 아닐까요?
소비자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기술이 '중개자들의 필요성을 없애 경제적 이득을 줄때'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것 같은데,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같이 중개자(개발자, 재단)가 지속적인 수익이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다면 블록체인이 추구하던 탈 중앙화의 개념에 반대된다고 생각이 됩니다.
제 글이 너무 이해하기 어렵게 적은 것 같습니다. 제가 관련 자료를 찾다가 본 글이 (https://brunch.co.kr/@jeffpaik/37) 이 분의 글인데 혹시 시간나시면 이 글에 대한 반대된 의견이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이 글 대로라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개발한 회사는 블록체인의 코인(토큰)을 이용한 수익밖에 없을 것 처럼 보이는데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하고요.
(추가) 자문자답하는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ㅠㅠ 크립토키티의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보다가
이글을 보게 되었는데 제 질문의 답변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Not all apps have all their code on the blockchain, some might have another closed source component. (for a service or something.) 이 말처럼 하이브리드 라고 할 수 있는 식으로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제가 너무 모든 것을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 올려놓으려고 하다 보니 잘못된 생각으로 빠져든 것 같습니다 ㅠㅠ
헉... 엄청 긴 글을 올려주셨네요 ㅎㅎ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우선 블록체인을 공부하다보면 자주 빠지게 되는 함정이 특정 개념의 덫에 갇혀있게 된다는 점입니다. 블록체인이란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 지나치게 어떠한 의미같은 것을 부여한다는 점이죠. 사실 블록체인이라는 것은 '사과'나 '귤'이런 것처럼 특정 사물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규약 체계를 일컫는 것입니다. ㅎㅎ
사람 간 거래를 하는 데 세상에 단 하나의 규약만 있을 수는 없잖아요? 다양한 형태가 있을 것인데요. 블록체인 하면 '탈중앙화' 이고 절대 중개자가 개입할 수 없는 형태로써 생각을 하게 됩니다. 또하나는 은행 VS 블록체인 이런 식으로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게 되죠. 그런데 세상 사는 일이 그렇게 단순하게 이뤄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관념의 세상과 실재는 많이 차이가 있고요. 블록체인도 세상에 들어오기 위해 여러 형태로 변모 중인 것 같습니다.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지요. 중요한 것은 고정 불변한 실체를 좇는다기 보다는 이 변화의 양상을 잘 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보통은 블록체인에 대해 공부하려면 몇 개월 정도 걸리냐는 질문을 하시는데, 이 트렌드를 따라오기까지는 몇 개월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지만, 그 연구에는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ㅎㅎ 개발자 BM도 마찬가지고요. 지금이야 옛날 인터넷 시대 생각하며 대입하는 수준인데, 그 정도라면 블록체인이 혁신이라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분명 파괴적인 무언가가 있는데, 그게 잘 안보이니 답답하기도 하고 빨리 봤으면 좋겠고 하겠지만, 아직 시간이 좀 필요한 것 같습니다. ㅎㅎ
탈중앙화에 목표를 둔 블록체인이 점점 덜중앙화쪽으로 흘러가고 있는 듯 합니다. 제도권으로 들어가기 위한 진통인데, 법 규제나 이런 상황에 따라 많이 달라질 것도 같습니다. 요즘엔 payment 용 코인과 플랫폼 코인 이렇게 나뉘고, payment는 아예 블록조차 만들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waves 같은 플랫폼 코인은 아예 제도권에 들어오기 위해 중개자를 참여자로 끌어오기도 하고요 ㅎㅎ 그래서 딱히 한 마디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ㅎㅎ
그냥 저도 @riverh 님처럼 찾아가며 자문자답하는 정도입니다. ㅎㅎ (아 보내주신 글 링크는 다 읽어봤고 특히 jeff 글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ㅎㅎ )
정말정말정말 ㅠㅠ 감사합니다 선생님!(선생님이라는 단어가 정말 잘 어울리십니다 핳핳핳)
제 전공과 지금 공부하고 있는 분야과 블록체인과 직접적 관련은 없지만, 지금 이렇게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것이 전공에 쓰여 도움이 될지도 모르기에 최대한 객관적이고 올바른 정보를 찾아보고 있습니다.(사실 새로운 거를 접하는 것이 재밌고, 마치 드라마 본방 사수 하는 느낌이기에 더 열심히 찾아보고 있는 것 같지만요 ㅎㅎ)
블록킹이랑 글쓰시는 것 계속해서 열심히 듣고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컥... 선생님이란 호칭은 정말 부끄럽네요 ㅎㅎ 아무튼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블록체인은 기술이 아니라 '사회'고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문학이든 경영이든 심리든 기계든 뭐든 어떠한 분야에도 블록체인의 '정신'이 깃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사회와 문화의 흐름을 읽는 사람은 미래를 좀더 잘 살아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여전히 이 기술이 어떠한 발전 양상을 가져올 지는 미지수이니 모든 사람에게 기회가 있는 것이죠. 자신이 딛고 있는 그 자리에서 블록체인을 꽃피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블록킹 많이 사랑해주시고 널리널리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