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격 변동성의 문제 : 지금은 급변합니다. 하지만 규모가 너무 작아서 그러합니다. 현재 암호화폐 시총이 100조입니다. 화폐로 본다면 정말 작은 장이라 움직이는 폭이 커죠. 이 작은 시총으로는 화폐로서의 가치는 없다고 봅니다. 아마도 100배는 더 증가해야 화폐로 가치를 받을것이고 그 정도되면 자본들이 많이 들어와 있는 상태와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을겁니다. 그때가 되면 현재의 달러나 원화와 같이 움직임이 느려질걸로 보입니다.
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암호화폐의 가치는 분산형입니다. 어느 누구도 그 숫자 조절을 못합니다. 최초의 계획된 대로 한정되어 있어요. 철저히 시장의 논리로 가치는 움직입니다. 이것이 전부 긍정적인 효과만 있을수는 없겠지만, 중앙관리형 화폐보다는 더 나을수 있다고 봅니다. 왕권사회에서 민주사회로 가는 것과 같다라는 생각입니다. 개발자가 하드포크를 통해서 갯수나 발행기간등을 변경할수도 있겠죠. 그러면 시장은 그에 대한 반응을 할것이고 그것으로 존폐의 위기도 맞을수도 있구요. 그리고 그러한 상황은 우리는 투명하게 지켜볼수 있어요.(현재 거의 모든 암호화폐는) 신뢰가 없는 암호화폐에 시장은 투자를 안하죠. 현재 우리가 정보가 있다고 하나 한국은행이 얼마의 원화를 발행하고 있는지 투명한가요? 찍어내는 실제 원화는 다 알려질수 있다고 보지만, 가상으로 숫자만으로 일반은행으로 보내는 원화는 투명하게 우리가 모두 알고 있나요? 저는 가맛솥의 개구리와 같이 우리는 불합리한 화폐경제속에 살고 있다고 봅니다. 그걸 해결코자 비트가 나왔고 이제 수많은 암호화폐가 더 나왔구요. 참고로 이더는 개발이 끝나면 관리하던 개발그룹인 이더리움재단은 해체한다네요. 그냥 흘러가게 놔두는 거죠.
말씀대로 화폐가 얼마나 발행되는지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을겁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보완책이 나오고 시장의 흐름에 따라 정부에서 적절하게 보이지않는 손을 통해서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자유시장경제를 지지는 하지만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 적정히 조정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우리는 이전에 겪었듯이 경제대공황 이후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경제문제에 개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선설보다 성악설을 믿는지라ㅎㅎ
이더리움 재단이 해체한다니 놀랍군요. 비탈릭은 욕심이 전혀 없는걸까요?
큰손이 미국과 중국이고 이들의 입장에 따라 화폐가치가 급락 급등이 있고 우리나라는 98 IMF 08 금융위기때의 피해는 엄청나죠. 현재는 필요악이 아닐까 싶습니다. 국가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개인이나 기업에 그 권한을 부여하는건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봅니다. 국가는 그래도 공시도 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과정도 거치고 시장에 조금씩 신호도 주지만 현재의 암호화폐는 큰손에 의해서 출렁이는 부분이 크다고 보거든요. 곧 국가와 암호화폐 큰손들간의 전쟁이 한번 치뤄질테고 그에따라 앞으로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 봅니다. 중국은 국가적으로 암호화폐를 만든다는데 그때 ANS나 Qtum의 가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보안성의 문제
보안문제는 진짜 하루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지갑이 나오면 돈을 들여서라도 사고 싶네요ㅎㅎ 개인적으로 신상보다 개인키나 백도어가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모수의 차이가 있겠지만 신상을 털리더라도 금전적으로 피해보는 경우가 드물지만 코인쪽은 순간 날아가는 것 같습니다. 1차적으로 거래소나 지갑 전송시 추가 인증수단이 더 강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